2022년 개최지 선정이 D데이를 맞게 되었네요 ^^
저의 주관이 깊게 들어간 입장에서 한번 생각을 해봤습니다.
경쟁국은 미국 호주 카타르 일본이 있습니다. 각 나라마다 크나큰 단점을 써보고자 합니다.
우선 가장 강력한 경쟁자인 미국입니다.
http://cafe.daum.net/stade/5ghm/41?docid=1DZEG|5ghm|41|20100315120739
아래 월드컵개최에 대한 글에서 퍼온 미국의 경기장 사진입니다.
모든 구장이.. 미식축구 경기장입니다. 단 한곳만 빼구요.
단 한곳은. 종합경기장입니다.
우리는 피파의 입장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피파는 무엇을 원하는가?
피파의 가장 큰 이벤트인 월드컵. 이것으로 내가 피파 위원이면 무엇을 원할까?
곰곰히 생각해보면, 첫번째, 돈 입니다; 당연합니다. 세계 최고의 축제에 관심을 가지니 "돈" 아주 중요합니다.
흥행면에서 남아공 월드컵은 독일월드컵에 비해서 큰 성공을 하였다고 보기 힘듭니다.
한일 월드컵도 나쁘진 않았지만 관중 면에서는 조금 부족했습니다.
이는 유럽과 남미 이외의 지역에서의 월드컵은 피파에서는 어느정도 각오해야 하는 입장입니다.
이미 2018월컵을 유럽에서 하기로 한 마당에 2022까지 피파에서 이것을 욕심내는것은
피파 욕심쟁이~-_-;;
두번째, 피파에서 추구하는 목적은, 축구의 확산. 세계적으로 조금 더 축구가 더 "확산"되는 마음.
그런 의미로 남아공 월드컵, 한일 월드컵이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전 월드컵은 거의 유럽과 남미
돌아가면서 개최를 하였죠.
세번째. 가장 도덕적이고 피파의 입버릇중 하나인, "평화"입니다.
이 단어를 도덕적으로는 아주 올바릅니다. 사실 약간은 상업성 위주의 이벤트라는것을 덮기위한
작전?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아무튼 대회 개최에 크나큰 "당위성"에는 중요하게 작용하리라 생각합니다.
다시 미국 이야기로 가면,
미국은 진정 미식축구와 NBA MLB 아이스하키 등등의 미국식 스포츠의 뿌리가 깊은 나라입니다.
월드컵도 전부 미식축구장을 개조해서 하겠다??
피파입장에선 좋아할리 없습니다.
미국 월드컵 개최로서 피파는 흥행이라는 "돈"에는 큰 이득을 얻겠지만,
축구의 확산이니 평화니 하는 목표는 그냥 끝입니다.
미국 정부에서 그래도 축구전용으로 5개만 짓겠다고 했다면 아마 미국의 개최는 80%정도라 생각합니다만,
미국 정부는 월드컵을 "수익을 내기위한 이벤트 유치" 정도로만 생각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기득권층들은 아주 미식축구를 사랑하고, 딱히 축구에 호의적으로 한국이나 카타르처럼 물심양면
축구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마인드는 상당히 소극적입니다.
피파입장에서는 무엇을 위해서 미국 개최를 하였나? 차라리 돈떄문이면 유럽에서 하지? 라는 비난을 면치 어려울듯 합니다.
일각에 의하면 피파에서 미국에게 넌지시 축구전용 만들면 크게 개최를 고려해줄게~ 라고 했다가.
미국이 한번쓰고 버릴거 ㅋㅋㅋ 했다는 말도 있습니다. 그냥 축구 알기를... 그렇게 아는 미국입니다.
미식축구 경기장은 전체길이 300피트(100야드, 91.4m), 너비 160피트(53.3야드, 48.7m)의 직사각형 필드 오브 플레이(field of play)와 그 양쪽 끝에 있는 길이 30피트(10야드, 9.1m)의 엔드존으로 이루어진다.
미식축구장의 경기장의 크기에 대한 정보입니다.
제가 피파라면 모든 경기르 미식축구장에서 월드컵을 한다? 자존심이 상할거 같습니다.
다음 국가는. 호주.
호주에 프로축구가 생긴지는...5년(A리그 기준) 팀은 11개 입니다. 메인스폰서는 현대자동차..
그리고 호주에는 크리켓, 럭비 등이 인기가 많습니다. 축구불모지에서 새롭게 태어나는 느낌은 좋습니다.
월드컵 유치 구장도 대부분 럭비 구장이 많습니다. A리그 평균관중은 만명이 조금 안됩니다.
월드컵 유치하는 6,7월의 날씨는 남반구이기 때문에 겨울이지만,,
크게 춥지는 않는 날씨입니다.
사실, 가장 큰 목적을 가지고 흥행요소가 많은 지역이 호주, 축구의 저변 확대라는 점에서는 큰 목적이 있지만,
흥행은 모르겠습니다.
아시아국가처럼 전국민의 열기 이런 개념이 좀 약한 국가들이여서,, 인구도 밀집이 적은 호주 입장에서는
정부의 의지가 중요할듯 합니다.
카타르.
모든 경기장에 에어컨을 틀어서 27도에 맞추겠다!
카타르는 입헌국주국 입니다. 네, 왕이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및 아랍에미리트와 가깝습니다.
축구 좋아하는 사우디, UAE왕자님들이 경기장 하나씩 쾌척한다면
자금면에서는 그냥 대단할듯 합니다.
문제는 중동, 그들만의 월드컵이 될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바다에 접해 있으나, 기후는 몹시 건조한 사막성 기후를 보인다. 최고 기온은 46~50도를 기록하고 있다.
흠.. 외국인들이 축구보러 갔다가.. 많이 힘들듯 합니다.
관광자원이 적은게 조금은 단점인듯 합니다. 정말 축구만 보고 그냥 호텔에 있어야 할듯..;;
카타르의 경제는
풍부한 석유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1인당 GDP는 2009년 기준(국제통화기금(IMF) 통계)으로 8만 608 달러로 전 세계에서 첫번째로 높다.(약간 부러워 지는군요;) 역사적으로 보면 카타르는 원래 UAE땅였는데 영국이 점령하다가 1971년 독립했습니다.
카타르의 개최는 피파 입장에서는 모 아니면 도 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치안이 나쁘지는 않지만, 중동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불안감.
그리고 방송이나 정보화 시스템 부분에서는 조금 불리해 보입니다.(돈으로 안되는건 없겠지만요.)
카타르가 중동의 평화 운운하는데,
사실 카타르가 친미국가, 친서구 국가인지라, 조금은 안와닿습니다. 차라리 이란 이라크에서 개최를 하면
모르겠지만, 아랍쪽도 친서구 국가들인 카타르 UAE 바레인 이쪽은 또 다른 아랍으로 부터 시선이 상당히 안좋더군요.
그리고 어짜피 민족적인 구성도 다른 마당에..;
일본.
일본은 2019 럭비 월드컵 개최 확정. 2020년 하계 올림픽 개최 총력.
사실 월드컵은 그냥 신청했으니 끝까지는 가보자. 이런 마인드.
평화라는 당위성 면에서도 한국에 밀립니다.
한국.
사실 강점은 다들 아시다시피, 개최 경험.
피파 입장에서는 좀 편할듯 합니다.
또 정부는 해외 행사에 상당히 신경을 많이씁니다.
한국은 외국인들에 보여지는... 뭐 이런거 정말 중요하게 생각하는 민족성?
남아공 월드컵처럼 피파와의 소통문제는 없을듯 합니다.
(사실 이 부분에서는 한국이 미국 호주 카타르에 비해서 압도적인 장점입니다. 한마디로 말을 잘들음;)
경기장 새거 그대로 있고, 또 개보수 하면서, 새로 증축도 가능.
나라가 작아서 이동에 불편함 없음. 호주 미국은 비행기 타고 다녀야 하며 시차도 조금이지만 다름..;(기후도 다름;)
방송이나 기술 부분에서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자국의 기술진들이 피파쪽 보다 뛰어날지도..;
가장 중요한 것은, 피파가 좋아하는 평화 컨셉을 맞출 수 있다는 점 입니다.
카타르도 표면적으로 중동의 평화를 부곽시키고 있고,
한국도 이를 이용할 수 있으면 이용을 함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12년 후에는 또 통일에 이미 한발짝 가까이 있을 가능성도 높다 생각합니다.
사실, 한국 개최의 가장 큰 장점은, 흥행 성공가능성 100%입니다.
중국의 축구팬들, 일본의 축구팬들, 가까운 한국으로 와서 경기 관람.
자국 경기만 보면 심심하기에 다른 나라 경기도 당연히 관람.
특히 중국의 상위 삼천만 중산층의 경제력은 대단합니다.
중계권 면에서도 중국 일본 동남아에는 황금시간대에 방영 가능하니 그냥 제대로 중계권 비싸게 팔 수 있음.
치안 완벽.
관광자원 풍부, 월드컵 한국에서 보고 인접국 일본 중국으로 가서 또 한달 더 놀수 있음.
유럽인들에게 동아시아는 판타지 오리엔탈리즘의 나라입니다;
축구적인 측면에서도 아시아챔피언스리그 2회 연속 우승.(아시아 깡패축구)
여자축구, 청소년 축구 성장(다 2002월드컵의 후광, 유소년 시스템 키운 덕분)
k리그 프로팀 꾸준히 증가.
집단적인 대표팀에 대한 응원 모습. 등
피파가 요구하고 필요하는 체크리스트에서는 한국은 고른 득점은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
마지막으로, 2022가 안되면 그 다음 월드컵은 중국, 일본의 당위성이 더 커지기 때문에
힘들듯 보입니다. 비슷한 장점을 가진 국가들이기에 그렇습니다.
사실 비교우위에서 한국이 일본 중국보다는 조금 인지도가 떨어진다 생각합니다.
찬스는 눈앞에 있을때 빠르게 캐취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음 버스는 정말 늦게 올지 모르고,
우리가 할아버지 되서 할지도 모릅니다 ㅠ
정몽준 씨가 피파 부회장에 있고, 이번처럼 아시아에 대회가 배분이 되는 상황, 언제 또 오겠습니까?
또, 월드컵의 열기를 이번에는 정말 잘 이용해서 K리그까지 끌고오도록
고민해서 K리그가 한국 제 1의 프로스포츠가 되길 희망합니다.
첫댓글 PT가 카타르가 가장 최고로 인상적이였다고 하며 한국과 일본은 아웃사이더 개념으로 보고있어 유치는 힘들것입니다.
우리보단 유치경쟁에 앞서있지만 호주도 마찬가지로 가능성이 적다구하네요.
카타르 미국 2파전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이 PT때 엄청난 수익에 대해 강조했다네요.
그리고 카타르가 복병이 될수 있겠구요.
이번은 아쉽지만 다음 기회를 노려야 할듯합니다.
물론 외신들과 관계자들의 반응이나 생각일 뿐이고 뚜껑을 열어봐야 알겠지요.
그래도 미국 카타르 호주 세나라가 유력하다는건 변함없지만요
그리고 한가지 바라는 점이 있다면 이번 투표는
최저표수 나라를 떨어뜨리는 방식 즉 요즘 유행하는 슈퍼스타K같은 방식으로 최후의 1인 뽑듯이 하는건데요.
첫번째 탈락이 우리나라가 아니였으면 좋겠네요 ㅠㅠ
일본이 제일 먼저 떨어지고 그 다음에 카타르(아니면 호주)가 떨어졌으면 좋겠어요.. 그러면 아시아지향적표가 우리나라로 결집되고 충분히 미국과 상대할수 있다고 생각되는데요..
베팅률 꼴지가 우리나라고 그다음이 일본
카타르는 어느 베팅업체에선 1위입니다.
전 그냥 크게 안바라고 일본이 먼저 떨어졌으면 합니다.
동 하계 올림픽 선정부터 다른 메이져대회 유치를 보면 당위성보다 앞서는게 로비라고 봅니다. 그런면에서 도전해 볼만 하다고 봅니다. 5표 정도만 나와도 예선은 무사통과라고 하지요. 정부회장님의 아성은 아직 무너지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카타르가 되길 바랬지만 경기장내에 에어컨가동에 실망이네요. 그 한 부분만 시원하자고 나머지를 더운 공기를 만들고 가동시 들어갈 전기세등을 감안한다면 환경을 해치는 월드컵이 되겠네요.
제목엔 '객관적으로'...
본문엔 '주관이 깊게 들어간'... ㅎㅎ
나른한 점심시간에 빽태클 한번 날려봅니더 ㅋ 죄송.
ㅎㅎ 그런데 카타르가 월드컵 본선을 진출한다는것.. 어떻게 보면 좀 아니지 않나요?
축구실력이 안되는데 월드컵을 돈으로 삽니까? 당위성 문제에서 큰 문제가 일듯.
만약 한국이 카타르 실력이라면 자격지심으로 개최한다는 말 안나왔을듯 하군요.
미국은 전용구장 안짓고 풋볼구장 개조한다는 부분에서는....-_-;
수익이야 잉글랜드에서 충분히 내고
비유럽남미 지역에서는 수익보다는 피파가 당위성으로 접근했음 좋겠습니다.
안그래도 돈독오른 피파라는 소릴 많이 듣잖아요 ^^
지들도 양심이 있다면 ㅋ
무튼 한국이 로비력은 좋은편 아닌가요?
2002때도 늦게 유치 시작해서 로비를 잘해서 공동까지 간것으로 알고있고, 노하우도 쌓이고 블래터회장과 정몽준의 빅딜까지 있다는 말이 있던데, 원래 투표가 옳고 그름보다는 자신의 정치적인 이익이 큰 쪽으로 기울기 때문에
까봐야 알지만, 한국도 당위성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수익 구조는 잘 모르겠지만, 방송 중계권료와 광고료가 제일 클것 같은데, 이런 측면에서 보면 사실 관중동원은 큰 의미 없을 꺼 같고, 결국 피파가 지난 월드컵때 불거졌던 엄청난 수익 규모에 대해 안좋은 시각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결국 스포츠 정신과 축구가 공헌할 수 있는 부분을 어필 하고 싶을껀데, 아마 이런 부분에서 크게 작용한다면, 한국이 선정될 가능성이 가장 커 보입니다.
우리나라 개최가능성 낮다고는 생각치 않습니다. 어차피 여론대로 개최지가 결정된적은 거의 없었고, 더군다나 일본의 1차탈락은 누가봐도 뻔합니다! 이유는 윗글에 있습니다. 개최한다는 장담은 할순 없지만 좀 어려울것 같다는 생각은 전혀 들지 않습니다. "함 해볼만한 경기다" 정도...
어차피 외신의 의견과 피파의 결정은 다릅니다 유로때도 외신들이 터키에게 손을 들어줬지만 결과는 프랑스가 가져갔던거 처럼요 한국도 충분히 승산있습니다
설레발일지 모르겠지만 전 은근히 우리나라 가능성 꽤크게보고있습니다..투표는 다른사람들이 하는게 아니라 피파위원들이 하지요.. 이사람들 솔직히 뭐 인프라니 명분이니 그런거 크게신경안씁니다.. 오로지 자신의이익과 혹은 정치적이익만을 보고 움직이죠.. 그런면에서 정몽준씨가 밑밥좀 많이깔아놨을꺼같은데.. 그거 기대합니다..흐흐..
정몽준(한국) 피파부회장
하야투(카메룬) 아프리카연맹회장 : 아프리카는 전통적인 우리편/한국을 찍어줄것이 분명함.
아누마(코트디부아르) 집행위원 : 아프리카는 전통적인 우리편/한국을 찍어줄것이 분명함.
아보리다(이집트) 집행위원 : 아프리카는 전통적인 우리편/한국을 찍어줄것이 분명함.
마쿠디(태국) : 정부회장님과 각별한 사이라고 함.
베켄바워(독일) : 친한파, 한국은 2006독일월드컵 개최를 지지해줬다, 정부회장님의 인맥
그외 한국을 지지해 줄것 같은 위원들...(확률은 반반)
미야르(스페인) 피파부회장 : 며느리가 한국인..
플라니티(프랑스) 유럽연맹회장
----------------------우리는 살아남고 일본or카타르가 먼저 떨어졌을경우----------
함만(카타르) 아시아연맹회장 : 먼저 카타르가 떨어져야 한국 or 일본 지지
레오스(파라과이) 남미연맹회장 : 먼저 일본이 떨어져야 한국 지지
그론도나(아르헨) 수석부회장 : 먼저 일본이 떨어져야 한국 지지
오구라(일본) 집행위원 : 먼저 일본이 떨어져야 한국 지지
이 12명 정도면 최후의 승자가 될수 있음...(집행위원이 22명이니까)
※첫판에 넉아웃만 안당한다면..
1차때 일본, 2차때 카타르가 무조건 떨어져야됩니다..
어제밤에 라이브로 카타르 프리젠테이션만 봤는데 정말 혹하게 만들어 놨더군요.
경기장 쿨링 시스템은 멋져보였습니다. 경기장 지붕에서 태양열로 에너지를 끌어와서 경기장을 27도로 쿨링시키고, 그 때 CO2는 방출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또한 지리적으로 유럽과 아시아쪽에서 가운데에 자리잡고 있어 접근성이 좋다는걸 강조하더군요. 하지만 프리젠테이션에서 강조한 장점 빼고는 아는것이 드물고, 축구 이외의 관광측면에서 부족한게 사실이죠.
박문성 위원님이 관련해서 글을 올리셨더군요... 수익 or 명분에 따라 개최지를 선정하는 피파의 행동패턴을 봤을 때 분명 가능성이 낮은 건 사실이지만 개최지선정방식(최저득표국가 탈락방식)과 얽히고얽힌 이해관계를 고려하면 의외의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정도로 요약할 수 있더군요..
근데... tip1에 배당률 말인데요. 윌리엄 힐은 한국을 최하로 봤지만 cnn이라든가 다른곳에서는 미국과 한국을 가장 유력한 후보로 보고있습니다. 윌리엄 힐만 올려서 약간은 편협한 시각으로 보일까봐 말씀드립니다. 가능하다면 다른 자료도 공정하게 올리시는게 좋지 않을까요? 네이버 댓글 펌.
경쟁국들이 그렇게 막강해 보이는 국가가 없어서 가망성이 없지 않아 보이기는 하지만 불과 20년만의 재개최가 가능할지는 상당히 조심스럽네요.
어차피 위원들 투표라 선정고려요소는 물막기 일뿐입니다..말이야 그때그때 만들어 내면 그만이지요..당위성에서 부적합한 국가는 없습니다. 정치권력가들과 다를바 없다 생각합니다..ㅎㅎ
살다보면님
cnn이나 다른외신에서 우리나라를 유력한후보로 보고있다고 하는 주소나 자료좀 알수 없을까요?
피파는 공익집단이 아닌 철저한 이익집단이고 정치집단입니다. 그들이 축구를 통한 평화, 하나 됨을 부르짓는 것은 어찌보면 전세계에서 지속적으로 이익을 내고 그것을 자기들에게 귀속시키기 위한 슬로건일뿐이죠. 실제 결선에서도 저런 명분으로 투표결과가 좌지우지 되진 않을겁니다. 그런면에서 피파내에서 가장 힘있는 리더 중 한명을 보유한 한국이 미리부터 탈락걱정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일본만 이기면됩니다.....
어쨌든 우리나라에 유치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죽기전에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월드컵을 또한번 볼 수 있게 된다면...
저를 포함한 우리 세대들은 지구상을 통털어서 정말 정말 엄청난 행운을 잡는 셈이 아니겠습니까?
유치 성공을 기원합니다!
CNN사이트가면 우리나라는 "아웃사이더"로 분류해놨던데.
씨앤앤은 미쿡 이니까요 ㅎㅎ
만약 한국ㅇ ㅣ 개최지로 선정된다면
정말 정회장의 영향력이 대단하다는 걸 새삼 느낄 것 같다는.....ㅎㅎ
유치 되면 좋죠!! 40대에 기꺼이 열정 한번 불태워 보죠!!!!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