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가 지난주 목요일부터 계정공유를 금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계정을 공유할 경우 5천원의 추가사용료를 내야합니다.
초기에는 가입자수를 늘리기위해 계정공유를 권장하던 넷플릭스가 매출증대정책을 시행하는 것입니다.
가입자의 정서로는 화가나는 일이지만 기업으로서는 자연스러운 마케팅행위입니다.
가입자의 이탈여부는 지속적으로 흥미로운 콘텐츠를 공급하느냐 여부입니다.
Koreans set to boycott Netflix as crackdown begins on account sharing
계정공유에 대한 단속이 시작되면서 한국인들, 넷플릭스를 보이콧
By Park Jae-hyuk 박재혁 기자
Posted : 2023-11-02 16:58 Updated : 2023-11-03 17:29
Korea Times
Netflix announced on Thursday that it will restrict account sharing in Korea, drawing a severe backlash from its users in this country where “Squid Game” and other popular films and series from the American streaming service provider were filmed.
넷플릭스(Netflix)는 목요일 한국에서 계정공유를 제한한다고 발표해 '오징어게임'을 비롯한 미국 스트리밍 업체의 인기영화와 시리즈를 촬영한 우리나라 이용자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The U.S. firm sent an email notifying account owners of an additional 5,000 won ($3.7) fee for account sharing with people who do not live together. This came after the company started a crackdown on account sharing in other countries last year.
이 미국회사는 지난해부터 다른 나라에서 계정공유 단속을 시작한 데 이어 계정주들에게 계정 공유 비용 5천원(3.7달러)을 추가로 통보하는 이메일을 보냈다.
As a result of the measure, children who do not live with their parents or couples who live in different regions because of jobs, for example, will no longer be able to enjoy content with a single account, unless they connect their devices to the account owner’s network every month.
이번 조치로 부모와 함께 살지 않는 자녀나 예를 들어 직장 때문에 다른 지역에 사는 부부는 매달 자신의 기기를 계정소유자의 네트워크에 연결하지 않으면 더 이상 하나의 계정으로도 콘텐츠를 즐길 수 없게 된다.
Netflix expects its crackdown in Korea to lead to larger revenues as it has already witnessed sharp increases in subscribers after taking similar measures elsewhere.
넷플릭스는 이미 다른 곳에서도 비슷한 조치를 취한 뒤 가입자가 급증한 만큼 국내 단속이 더 큰 수익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However, Korean consumers are set to withdraw from the streaming service, saying the quality of its content is not worth the additional cost.
하지만 한국소비자들은 콘텐츠의 질이 추가 비용을 들일 가치가 없다며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손을 떼려 하고 있다.
“I will leave Netflix for a while, and I will return when it streams really good content,” one Korean user said.
"저는 넷플릭스를 잠시 떠날 것이고, 넷플릭스가 정말 좋은 콘텐츠를 스트리밍할 때 돌아올 것이다."라고 한 한국사용자가 말했다.
Consumers also criticized Netflix by referencing a social media post in 2017 that said, “Love is sharing a password,” in an apparent attempt to attract more users.
소비자들은 더 많은 이용자들을 끌어들이려는 의도로 2017년 "사랑은 비밀번호를 공유하는 것"이라는 소셜미디어 게시물을 언급하며 넷플릭스를 비난하기도 했다.
Given that Disney+ also began a crackdown on account sharing and the Korean service Tving decided to raise its fee, the streaming service market is expected to undergo a major change, amid “streamflation,” a portmanteau of streaming and inflation.
디즈니+도 계정 공유 단속에 들어갔고 한국 서비스 티빙이 요금 인상을 결정한 점을 감안하면 스트리밍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인 '스트리밍플레이션' 속에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은 큰 변화를 겪을 것으로 보인다.
Under the post-pandemic era, the industry has already faced a slowdown in growth.
팬데믹 이후의 시대에서, 이 산업은 이미 성장 둔화에 직면했다.
According to the domestic app market tracker Mobile Index, the monthly active users of Netflix stood at 11.6 million in September, down from 12.2 million in August and 12.6 million in January.
국내 앱 마켓 추적회사 모바일 인덱스에 따르면 넷플릭스의 월간 활성사용자 수는 9월 1,160만 명으로 8월 1,220만 명, 1월 1,260만 명에 비해 감소했다.
#Accountsharing계정공유 #Boycott보이콧 #SquidGame오징어게임 #Content콘텐츠 #Streaming스트리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