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내림낚시의 정의부터 보겠습니다.
내림낚시=밸런스바닥낚시. 양바늘이 바닥에 닿는 낚시입니다.
단차바닥낚시는 일단 논외로 하겠습니다.
찌가 침몰한다. 수심측정과 찌맞춤은 분명히 정상인데....
본래의 수심측정은 찌가서는 곳에 편납이 떨어지게 하여서 측정합니다.(점투척)
본 낚시를 진행할 때 찌가서는 곳 수직아래보다 조금 더 멀리에 편납과 밥, 바늘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지요.
그런데 찌는 왜 침몰 하느냐 몇가지 복합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사용하시는 찌의 부력과 복원력 보다 바늘과 밥의 무게가 과한 경우(밸런스가 무너진 채비운영)
만일 낚시터의 바닥이 수영장 바닥같이 평평하고 매끈하다면 이 문제는 어느정도 완화되겠지만 그러한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굴곡이 있거나 장애물이 있거나 뻘이여서 파뭍히거나 여러가지 상황이 밥의 정상적인 바닥안착과 복원을 방해합니다. 때문에 투척은 본래정상적으로 찌가 서는 곳 보다 30~50센티(수심과 목줄 길이에 따라 조금 다릅니다.) 정도 멀리 편납이 떨어지도록 합니다. 이유는 목줄과 바늘을 정상적으로 정렬시키고, 약 2~3눈금 정도의 목내림 폭을 확보하기 위함 입니다. 이 목내림 폭의 깊이나 찌맞춤 눈금까지 서서히 복원되면서 나오는 건드림의 횟수와 강도, 그리고 복원의 속도로 물속의 이미지를 그리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투척을 정상적으로 한다면 침몰을 막을 수 있으나 찌의 부력과 복원력이 약하다면 본래 찌맞춤 목수까지의 복원이 어려워 질 것입니다. 침몰은 막아도 정상적인 낚시가 불가능 하다는 것입니다.
찌의 복원력을 확인하는 방법과 복원을 개선하는 법.
찌맞춤과 수심측정을 정확하게 하신 후에 빈바늘로 풀투척을 해봅니다. 두바늘이 바닥에 안착된 잠시 후에 낚시대를 당겨서 찌가 수면아래로 몇눈금 정도 잠기게 해주고 대를 다시 놓아주어 찌가 원래 찌맞춤 목수까지 복원되는 속도를 봅니다. 예를 들어 7눈금을 맞춘 찌가 바늘에 아무것도 안달고 위의 사항을 진행하였는데 7눈금이 나오지않거나 너무 느리게 7눈금이 수면위로 드러난다면 복원력이 약하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 복원력을 개선해 주기 위해서 편납을 조금씩 잘라내어 찌맞춤을 조금씩 더 땁니다. 이후 정상적인 속도로 복원되고 8눈금이 수면위에 보이게 복원된다면 이것이 일단 적정한 상태로 보고 밥을 달아서 낚시를 진행해 봅니다.
(물론 찌맞춤이 변하면 수심도 그에 맞게 윗바늘 살짝닿기 상태로 조정해 주어야 합니다. 수심조정없이 그대로 진행하면 윗바늘이 뜨거나 윗바늘무게로 8눈금이 영원히 나오지 않습니다.)
밥을 달고서 복원이 아예 안되거나 한다면 편납아래쪽의 밸런스가 깨진 것으로 밥이 너무 무겁거나 바늘이 너무 크거나 무거운 경우입니다. 이러한 경우 한두홋수 큰 찌로 교체하거나 편납아래쪽 밸런스를 가볍게 가져가서 개선합니다.(바늘사이즈 줄이기, 밥의 사이즈 줄이기 등)
간혹, 바늘의 무게는 바닥에 닿기때문에 상쇄되어 상관 없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바늘의 무게는 "밥무게+바늘무게"가 작용하는 바닥과의 마찰력과 관계가 있어 복원에 큰 관계가 있습니다.
복원력(반발력)이 너무 강한 경우 나타나는 현상
이렇게 정확하게 투척하고 찌의 복원력을 살려주고 나면 복원은 정상적으로 나오실 겁니다. 이제 붕어의 줄건드림과 입질의 구분도 어느정도 구분하기 좋은 상태가 됩니다. 다만 분명한 입질인데 히트로 이어지지 않고 헛방이 나오는 부분을 해결하는데 애를 먹는 분들이 꽤 되십니다. (사실 이것이 바닥낚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 아래는 분명한 입질에 헛방이 빈번하게 나오는데에대한 대응순서 입니다.
- 먹이밥의 사이즈를 줄여본다.
- 먹이밥에 물을 추가해 부드럽게 만들어 본다.
- 찌를 0.5센티 단위로 초릿대 쪽으로 올려주어 목줄의 긴장도를 줄여 흡입하기 쉽게 해본다.
위 3가지를 순차적으로 진행했음에도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찌의 부력 자체가 너무 강한 것(일명 캥긴다)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찌를 한두홋수 낮은 것으로 교체하여 낚시를 진행하는 것만으로도 해결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외에 바늘사이즈를 줄여보거나 목줄의 길이를 늘려보는 것도 좋습니다. 모든 것은 붕어입에서 가까운 쪽부터 하나씩 차근차근 대응해보며, 붕어의 입장에서 자연스럽게 흡입하는 것을 중심으로 이미지하되, 이것이 과하면(과한 저부력, 과도한 목줄길이, 떡밥의 과도한 부드러움으로 인한 바늘에서의 이탈) 아예 낚시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습니다.
추가적인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따라가시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순서대로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다만 떡밥에 관련한 내용은 금년 필드에 맞도록 조금 수정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최근 공주 자연농원에서 사용했던 배합입니다. 조금 더 손봐야 하겠지만 사용하기 편하실 겁니다.
집어제(윗바늘) 겸 바닥 양당고(양바늘) 배합
[파워펠렛 대립 100 + 파워펠렛 마이크로 50 + 더블당고 400 + 슈퍼젤 10] 고루섞고
물 200을 붓고 저어주어 완성, 적당히 반죽하여 사용합니다.
세트 먹이밥(아랫바늘만 글루텐 혹은 슈퍼젤, 어루) 또는 양글루텐(양바늘)
알파경, K3, K5 표준배합. 작고 원형으로. 유지가 안되는 듯 하다면 손등으로 공기를 빼고 살짝 주물러 단다.
다시 한번 가입환영 드리며, 오프라인 출조에서 즐거운 만남 기대하겠습니다.
http://cafe.daum.net/bupuri/DaEE/23 : 기법공략) 환절기_양당고 바닥낚시와 글루텐 세트(밸런스소꼬즈리_글루텐세트)
http://cafe.daum.net/bupuri/DaEE/25 : 기법공략) 엄한기 바닥낚시(소꼬즈리)의 유의점과 기법전환
첫댓글 기타 대류에 대한 문제는...기본적인 투척이나 밸런스를 맞춰가시다 보면 그 다음단계에서 깨닫게 되실부분이라 생략하였고,
수심측정 오류에 대한 문제는 기본적인 수심측정 요령 부족일 수 있으나 침몰이라고 표현하심에 사선문제(투척과 채비밸런스 문제)로 설명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