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가 말하는 ‘仁(인)’ 이란 과연 무엇인가
인간으로서의 참된 도리는
이웃을 진정 사랑하는 마음에서 싹 튼다.
道理(도리)
眞正(진정)
만약 서로를 이해하고 사랑하는 마음 없이
세상 가득 미움과 질투 그리고 복수로만 이어진다면
理解(이해)
嫉妬(질투) 復讐(복수)
우리 또한 얼마나 절망해야 할 것인가.
진정한 이웃사랑만이 우리의 미래일 것이다.
絶望(절망) 未來(미래)
공자(孔子)는 ‘仁(인)’을 설명하기 위해
논어(論語)라는 인문서(人文書)를 저술하였다.
說明(설명)
著述(저술) / 드러날(저)
공자가 말하는 ‘仁(인)’이란 무엇인지
한 마디의 말로 요약해 보자.
要約(요약)
人
사람(인)8
우리들 서로(丿) 서로를(乀) 일으켜 세워주는 이
丿 삐침(별)
乀 파임(불)
사람이기에(人)
人間(인간) 人生(인생)
- 뭉치면 산다(合)
⺅一
나쁠(인)
우리들은 나 하나만의 세상을 간직한
나 하나밖에(一) 모르는 사람(⺅),
* 창안 글자
나뿐인(⺅一) 사람이 아니라
⺅(사람인변) / 人
나뿐인 사람→나쁜 사람
仁
어질(인)5
너와 나(二) 더불어 살아,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사람(⺅)
仁慈(인자)
仁德(인덕)
곧 어진(仁) 사람의 실천이 되어야 할 것이다.
仁愛(인애)
무인도에서 홀로 살아갈 수 없듯
實踐(실천)
열매(실) / 밟을(천)
인간은 인간 속에서 참다워지고
그 의미가 되기 때문이다.
意味(의미)
무시 당하지 않으려면 무시하지 말며
無視(무시)
심판 받지 않으려면 심판하지 말라.
審判(심판)
그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진정한 이유이다.
理由(이유)
사자성어
殺身成仁(살신성인)
- 자기 몸을 희생하여 仁(인)을 이룸.
完成(완성) / 이룰(성)
仁者無敵(인자무적)
- 어진 자에게는 적이 없다.
敵軍(적군) / 원수(적)
출처: 스토리텔링 벽운한자 원문보기 글쓴이: 벽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