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수(癸水) 일간이 수생목(水生木), 목생화(木生火)로 흘러 격(格)의 구성이 그럴 듯하였으나, 오화(午火)가 현침살(懸針殺)로 구성이 된 양인살(羊刃殺)이다. 양인(羊刃)이 3개 이상 있으면 농아맹자(聾啞盲者)가 되는 수가 있다. 이것은 양인(陽刃)이 국(局)을 이루어 불에 달군 현침(懸針)으로 병재(病財)가 되어 갑목(甲木)의 시신경(視神經)을 찔렀는데 불이 태강(太强)한 즉, 화(火)의 질환은 안맹(眼盲)이고 병든 갑목(甲木)의 공망(空亡)은 묘목(卯木)이니 낙정관살(落井關殺)에 빠진 까닭에 그는 절름발이며 맹인이었다고 한다. 비록 식신(食神)이 도화(桃花)이니 재능(才能)이 출중(出衆)하여 수재(秀才)로 문장이 빼어났는데, 다만 공망(空亡)으로 빛을 보지 못하였다.
도화(桃花)가 공망(空亡)인데 낙정관살(落井關殺)에 빠지고 양인(羊刃)형살, 육해(六害), 겁살(劫殺)등의 흉살(凶殺)이 결집(結集)이 되면 귀인(貴人)도 힘을 발휘하지 못하니 그능 평생 빈궁(貧窮)하였다고 한다[연해자평 전응빈 명조]
時 | 日 | 月 | 年 | 명 조 |
식신 | 일간 | 상관 | 정재 |
|
乙 | 癸 | 甲 | 丙 | 天 干 |
卯 | 亥 | 午 | 午 | 地 支 |
식신 | 겁재 | 편재 | 편재 |
|
도화공망 낙정관살 학당문창 | 겁살천덕 | 양인육해 현침 | 양인육해 현침월덕 | 신 살 |
자료출처: 신살정론(神殺正論)[풍수신살개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