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젊은 인구 사이에서 헬스,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 급증 –
- 최근 신설되는 헬스장은 대형화, 고급화 되어가는 추세 -
- 헬스제품 뿐만 아닌 헬스장의 고객관리 서비스 등 다각적인 시각에서의 시장전략 구출 필요 –
□ 캄보디아 헬스 시장 인기 Up
ㅇ 인구가 젊어지면서 헬스 관심 증가
- 캄보디아 젊은 인구 층(15세 ~ 24세) 이 전체 인구의 18.9% 차지(2018기준)하며 신흥 소비세력으로 부상 중
-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6년 이상 7%대를 유지할 만큼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소득 수준이 향상하면서 웰빙(well-being)과 운동, 몸매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 급부상. 특히 프놈펜의 경우 평균 소득이 1만불에 육박하고 있으며 많은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어 다양한 헬스산업이 빠르게 확산중
- 특히 캄보디아는 인터넷 사용자 수가 폭발적 증가하며 SNS 이용자 급부상, 이를 통해 온라인상으로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는 소위 “인증문화”를 빠르게 흡수(캄보디아 인터넷 사용자 12.5백만명 돌파, 2018년말 기준)
- 이에 자신이 헬스장에서 운동한 모습이나 건강제품을 사용하는 경험을 공유하며 헬스, 몸매관리 문화 확산에 추진력을 가하고 있음.
사진 : 다양한 매개체로 자신의 운동경험을 인증하는 캄보디아 SNS 이용자들
출처 : (오)Facebook.com(#phnompenh workout), (왼)Instagram(#the place fitness)
ㅇ 현지 소비자들에게 듣는 생생한 시장현황
자료원 : 인터뷰를 활용한 무역관 자체제작
아이콘 출처 : shutterstock
□ 고급화되는 헬스장, 건강 보조제품 시장은 아직 걸음마
ㅇ 헬스장
- 수도인 프놈펜을 포함한 주요도시에는 개인이 운영하는 소규모의 헬스장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그 형태도 고급화 및 대형화(2~4층짜리 건물을 통째로 사용)되고 있음.
- 최근 지어지는 헬스장은 수영장이나 스투디오 등 기타 설비를 함께 갖추고 있고, 전문 트레이너 혹은 강사를 고용하여 PT, 요가, 스피닝, 복싱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
- 이전 소규모 형태의 이용가격보다 이용가격은 3배 이상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쾌적한 환경과 다양한 프로모션이나 운동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어 이용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중
캄보디아 주요 헬스시설 동향 비교
구분 | 이전 | 최근 |
운영 | 개인이 운영, 소규모, 에어컨 등의 시설 미비 한 개의 층으로 운영, 기타시설(수영장, 스투디오) 없음 | 브랜드화 중이며 현지 헬스 및 스포츠용품을 여러 개 취급하는 업체가 헬스장도 함께 운영하는 경우가 많음, 기타시설(수영장, 스투디오) 보유 대형화(3,4층짜리 건물을 통째로 헬스장으로 사용) |
사진예시 | | |
운동기구 | 주로 저가 중고품(주로 미국산, 중국산) | 수입품이 주를 이루며 이태리의 ‘Techno Gym’등 국제적으로 유명한 고급 제품들을 설치 |
프로그램 | 별도의 프로그램 미비 | 요가, 스피닝(spinning), 복싱, 수영 등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
트레이너 | 전문 트레이너 미비 | 전문 트레이너 고용하여 안전관리 및 펄스널 트레이닝(PT) 제공 |
주이용자 | 주변 거주인, 2~30대가 주를 이룸 | 주변 거주인, 10대~40대 등 이용자 다양함 |
이용가격 | 1회 0.5~1달러 내외 | 1개월 기준 100달러 내외 |
대표브랜드 | 없음. 개인 운영 | The Place, Super Fit 등 |
자료원 : 무역관 자체 조사
사진출처 : 무역관 자체촬영, SuperFit Cambodia
ㅇ 보조제
- 의료품, 의약품에 대한 전문인의 부족으로 운동 보조제에 대한 인식이나 소비는 아직 미미 한 편이며 마트 등의 일반 유통점이나, 의약품을 전문으로 판매하는 유통점에서 일부 판매하는 경우도 있지만 브랜드 종류나 보조제의 종류가 아직 소규모임
- 전문 보디빌더나 소규모 도매상이 운영하는 보조제 전문 상점들이 생겨나고 있으나 시장의 수요가 크게 없기 때문에 증식속도가 느리고 판매수익을 크게 올리고 있지 않음.
- 젊은 인구층 사이에서는 최근 미국산 프로틴(단백질 보충제) 등을 직접 도매하여,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서 개인이 직접 수입 및 판매하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음.
사진 : 캄보디아 시내 위치한 헬스 보조제 전문 판매점
사진출처 : 무역관 자체촬영
ㅇ 운동기구, 스포츠 웨어
- ‘Sports Shop’이라는 제목의 소매상들이 시내에 위치하며 주로 중간 유통업체를 통해 중국, 태국, 미국산 저가 제품을 판매함. 다품종 소량판매 형태가 많으며 런닝머신등의 대형 운동기기의 경우 중고제품을 판매하는 경우도 많음.
- 프놈펜 등의 주요 시내에 위치한 호텔 헬스장이나 신식의 대형 헬스장에 설치되는 고급형 운동기기를 주로 유통하는 중간 유통 업체들이 있으며, 해당 업체들이 별도로 헬스장을 운영하거나 유명 글로벌 스포츠웨어 브랜드(리복, 아디다스 등)의 전담 딜러를 하는 경우가 많음.
- 최근 ‘스포츠계의 이케아’ 라고 불리는 세계적인 스포츠용품 소매 업체인 Decathlon이 대형 쇼핑몰 이온몰2(Aeon Mall 2)에 캄보디아 공식 매장을 열며, 스포츠용품 전문 브랜드 샵의 포문을 열기도 하였음.
사진 : (오)이온몰에 오픈한 Decathlon 전문매장, (왼)Decathlon Cambodia 홈페이지
사진출처 : Phnom Penh Post, Decathlon.kh.com
- 나이키(Nike), 리복(Reebok), 아디다스(Adidas) 등의 스포츠웨어 글로벌 브랜드 전문샵이 시내 대형몰(Mall)에 입점하고 있으며, 외에도 공장제를 직수하여 판매하는 아울렛(outlet)형태로 스포츠웨어를 주로 취급하는 가게들이 생겨나고 있음.
□ 수입현황 스포츠용품 시장규모 현황
ㅇ 캄보디아내 스포츠용품 업체 매출량 추이
- Euromonitor Passport 통계치에 따르면, 캄보디아 진출 스포츠용품 업체의 매출량은 2014년 기준 195백만불이상으로 추정되며 2018년 기준 2배이상 증가
- 2017년까지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 2018년 기준 소량의 감소세를 보였지만 시장 내 진출하는 브랜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운동기구 혹은 스포츠용품의 종류도 다양해지는 추세를 보임
- 소득수준의 꾸준한 향상 추세에 힘입어 캄보디아내 스포츠용품 업체의 매출량은 지속적으로 상승 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캄보디아내 스포츠용품 업체 매출량 추이
(단위 : 천불)
연도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제조업체 매출량 | 19,593 | 22,475 | 27,871 | 33,387 | 31,895 |
자료원 : Euromonitor
주 : Production (turnover) Manufacturer Sales Production 기준
ㅇ 주요 국가 수입 동향
- 캄보디아의 스포츠용품의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수입품의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2018년 HS Code 6506 기준 총 수입규모는 1억불로, 2014년 기준 46% 이상 성장함
- 가장 큰 수입국은 중국으로 전체 수입의 50%이상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으나, 베트남이나 태국 국경을 통해 육로로 들어오는 제품(공식적인 수입통계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가 다대)을 고려한다면 국가별 분포도가 공식 통계치 보다 클 것으로 분석됨
- 한국 제품의 경우 2014년에 비해 약 6배 이상이 증가하여 2018년에는 총 22만불 이상의 스포츠용품이 수출되었으나 아직 시장의 규모가 작아 아직 큰 대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출은 없는 것으로 분석
캄보디아 스포츠용품(HS Code 9506) 주요국 수입 현황
(단위 : 천불)
수입국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전체 | 7,338 | 7,610 | 8,584 | 8,923 | 10,734 |
중국 | 2,186 | 3,695 | 5,360 | 4,251 | 5,579 |
태국 | 939 | 935 | 873 | 1,183 | 2,046 |
이태리 | 992 | 945 | 768 | 912 | 1,220 |
싱가포르 | 2,255 | 315 | 228 | 351 | 516 |
미국 | 85 | 358 | 204 | 191 | 388 |
대만 | 211 | 454 | 476 | 547 | 354 |
한국 | 32 | 70 | 290 | 124 | 226 |
일본 | 75 | 88 | 112 | 84 | 179 |
호주 | 8 | - | 3 | 116 | 101 |
자료원 : Trade Map
주 : Mirrored Data
□ 시사점
ㅇ 아직 초기 단계의 시장, 유통 어려움은 여전히 큰 벽
- 우리기업은 캄보디아의 헬스시장은 확실하게 성장하고 있으나, 전체적인 소비층의 규모나 소비력이 낮아 아직은 초기 단계의 시장으로 판단해야 함
- 주요 시내에서는 글로벌 브랜드 제품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는 있으나, 아직 판매수익을 거두기 보다는 시장 진입을 위한 초기 투자 단계로 보여짐
- 제조업이 약한 시장으로 수입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만, 동시에 유통 인프라가 아직 미미하여 수출입시 유통비용이 높아 유통에의 어려움은 여전히 수출기업들에게 큰 과제
ㅇ 전용 헬스장이 일상화 된 건물들 : 건설붐과 함께 기회 요인을 노려야
- 최근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아파트, 레지던스, 호텔 등이 주요 시내에 다수 건설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건물 내 전용 헬스장이나 수영장을 설치하는 것이 일상화
- 이를 관리하는 서비스나 수영장 설치에 필요한 건설 제품, 수영장 정수 기능제품 등의 수요가 갈수록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며 헬스 시장의 성장을 단순 헬스제품의 판매뿐만 아니라, 캄보디아의 건설산업 호황의 기조와 함께 전략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다각적인 시장접근이 필요
- 민간에서 주도적으로 시장을 이끌고 있지만 아직까지 보다 전문화된 서비스가 약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서비스 및 관리, 점포 등의 진출 유망
ㅇ 다양한 관련 서비스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헬스산업 규모가 커질수록 고객관리나 서비스 관리에 대한 개인 운영기업들의 관심이 증가 할 것으로 전망 됨.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나 어플리케이션 등의 서비스는 아직 경쟁이 크지 않은 블루오션(Blue ocean) 으로 미래의 성장성이 보임
- 실재 캄보디아 호텔, 레스토랑, 헬스장에 온라인 매니지먼트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epenh co., ltd 기업의 마케팅지원 담당자 Mr. Huy Darith 은, "캄보디아 시장의 헬스 시장 전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과 동시에 관광시장 또한 꾸준히 성장하고 있어 대형 호텔이나 헬스장등이 생겨나고 있다"고 하며, 이러한 트렌드에 "이용객이 많아질수록 고객관리 시스템, 웹사이트 제작, 광고에 필요한 이미지 제작 등의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에 대한 수요 또한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하며 대비하는 중"이라고 분석하였다.
사진 : 캄보디아의 헬스장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epenh.com)
사진출처 : epenh.com
자료원 : Euromonitor, Trade Map, Phnom Penh Time, Khmer Times, 프놈펜 무역관 해외시장 뉴스, Findmygym.com, Decathlon.kh,com, Facebook, Instagram, 무역관 자체조사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