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소(Phonemes)와 음절(Syllables)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최소의 언어단위.
음소는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최소의 언어단위이다. 음소는 자음이나 모음과 같이 시간적 연장을 가지고 실현되는 소리들로, 소리의 길이나 높낮이·강약 등과 같이 음소에 얹히는 운율적 요소들을 가리키는 운소와 함께 음운에 속한다. 음소는 한 언어에서 의미를 변별시키는 구실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음성과 구별된다. 음성적으로 다른 설측음 [l]과 탄설음 [r]은 한국어에서는 의미변별력이 없어 하나의 음소 ‘ㄹ’을 이루는 반면에, 영어에서는 의미변별력이 있어 두 음소를 이룬다. 현대 국어의 자음음소는 조음위치와 조음방식에 따라, 모음음소는 혀의 전후 위치와 높이에 따라 변별된다.
음절(syllable)
일상 생활에서 ‘글자’라는 말을 사용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그런데 집도 한 글자이지만 ㅈ도 한 글자이므로 ‘글자’가 지칭하는 대상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글자’는 문자언어의 단위이므로 말소리를 다루는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은 용어입니다.
음성언어를 다루는 경우에는 ‘글자’를 대신하여 ㄱ, ㄴ와 같은 단위에 대해서는 ‘음소’라는 단위를 설정하고 집과 같은 단위에 대해서는 음절(syllable)이라는 단위를 설정합니다. 일상적인 언어생활의 음성언어에서 홀로 발화될 수 있는 최소의 단위가 바로 음절입니다.
음운론의 단위 가운데 음절은 유독 화자의 머릿속에 확고하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는 말실수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깐 콩깍지를 빨리 발음하다 보면 첫 깐이 칸이 되거나 콩이 꽁이 되기도 합니다. 이는 콩이라는 음절의 첫소리가 깐의 첫소리로 옮겨 가고, 깐의 첫소리가 콩의 첫소리로 옮겨 갔기 때문입니다. 음절에서 동일한 위치인 음절의 첫 자음끼리 영향을 주고받고 있는 셈입니다.
또한 한글은 음절 단위로 모아서 쓰도록 고안되어 있습니다. 음절에 대한 인식이 그만큼 오래되었음을 알려 주는 증거입니다.
한국어에서 모음은 모두 홀로 발음될 수 있지만 자음은 항상 그 앞이나 뒤에 모음이 있어야 발화될 수 있습니다. 각, 난, 닫은 하나의 음절이며 모음 아도 하나의 음절입니다. 그러나 ㄱ, ㄴ 등은 일상 발화에서 홀로 발음되지 않으므로 음절을 이루지 못합니다. 한국어 음절 구조는 그림1과 같습니다.
한국어에서는 단모음(Vowel)이 있어야 음절이 이루어지므로 단모음을 성절음(syllabic)이라고 합니다. 음절은 성절음만으로도 성립할 수 있으며 단모음 앞에 활음(Glide)이 오거나 자음(Consonant)이 모음의 앞뒤에 결합하여 성립되기도 합니다. 이때 성절음인 모음의 앞에 오는 자음을 초성(onset)이라고 하고, 음절말의 자음을 종성(coda)라고 합니다. 단모음(성절음) 혹은 이중모음(단모음+활음)을 종성 혹은 음절핵(nucleus)이라고 합니다.
그림1 한국어 음절 구조
한국어 음절의 구체적 유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그림1 차례대로 C-G-V-C 순서대로 표기). 이 가운데 종성이 없는 1~4 유형을 개음절이라고 하고 종성이 있는 5~8 유형을 폐음절이라고 합니다.
- /아/ : V(모음), ∅-∅-ㅏ-∅
- /야/ : GV(활음+모음), ∅-j-ㅏ-∅
- /가/ : CV(자음+모음), ㄱ-∅-ㅏ-∅
- /갸/ : CGV(자음+활음+모음), ㄱ-j-ㅏ-∅
- /악/ : VC(모음+자음), ∅-j-ㅏ-ㄱ
- /각/ : CVC(자음+모음+자음), ㄱ-∅-ㅏ-ㄱ
- /갹/ : CVC(자음+활음+모음+자음), ㄱ-j-ㅏ-ㄱ
한국어에서는 위와 같은 음절 구조를 만족시킨다고 해도 모든 자음이나 모음이 실현되지는 않습니다. 각각의 음소들이 음절을 이루거나 음절끼리 연결될 때 음소 실현이 이뤄지지 못하도록 막는 제약이 있습니다. 다음 네 가지입니다.
자음은 바로 다음에 오는 모음과 동일한 음절에 속하여 그 자음 앞에 음절의 경계가 생깁니다. 먹어를 예로 든다면 문자언어나 형태소를 인식하는 차원에서는 먹어이지만 실제 발음에서는 머라는 음절과 거라는 음절의 결합인 머거로 실현됩니다.
인간은 연속적인 소리를 서로 분리된 분절적인 소리로 인식합니다. 마치 무지개를 일곱가지 색깔로 분리하는 것처럼요. 지금까지 다룬 자음, 모음 등의 음소들은 연속적인 실제 발음과는 달리 각각 독립된 단위로 인식되는 분절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분절음(segment)이라고 합니다.
운소(韻素)란 단어의 의미를 분화하는 데 관여하는 음소 이외의 운율적 특징을 가리킵니다. 소리의 높낮이, 길이, 세기 따위가 있습니다. 이러한 운소는 분절음에 얹혀서 사용되기 때문에 초분절음(suprasegmental phoneme)이라고도 불립니다. 음소와 운소를 합쳐 음운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운소의 대표 사례로 언급되는 것이 눈[雪]과 눈[目]입니다. 음소만으로 구별할 수 없고 음장(말의 길이)으로 뜻이 분화됩니다. 하지만 현대 한국어에서는 음장의 구별이 차츰 사라지고 있는 추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