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물 물(物)자는 의부(義符)로 소 우(牛)자에 성부(聲符)로 말 물(勿)자를 했습니다. 말 물(勿)자는 새의 날개를 그려서 날아가 없어졌다는 부정의 뜻을 표시하였습니다. 없다는 뜻의 말 물(勿)자가 ‘하지 않는다, 만다.’는 뜻으로 전주(轉注)된 것입니다. 물건(物件) 물주(物主) 동식물(動植物) 물품(物品) 만물(萬物)
힘쓸 미(亹)자는 돼지해밑 두(亠)자 아래에 틈 흔(舋)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돼지해밑 두(亠)자는 집안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집안에서는 틈이 나지 않도록 서로 힘써야 합니다. 틈 흔(舋)자는 성부(聲符)로 일어날 흥(興)자에 의부(義符)로 또 차(且)자를 했습니다. 피 바를 흔(釁)자도 일어날 흥(興)자가 들어 있어서 ‘흔’으로 읽습니다. 틈 흔(舋)자는 또(且) 일어난(興) 일입니다. 좋은 일이 또 일어나면 좋겠지마는 전쟁 같은 불행한 일이 또 일어나는 것을 둘 사이를 벌어지게 하여 틈을 내는 것이지요. ‘틈’은 ‘흠’이라는 말과 비슷한 발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미곡(亹亹曲) 미미장(亹亹章) 미원(亹源) 정자미(鄭子亹) 정사미미(政事亹亹) 이입공자미(而立公子亹)
활 미(弭)자는 활 궁(弓)자에 귀 이(耳)자를 했습니다. 활의 귀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활 미(弭)자는 활고자를 표시한 글자로써, 활고자란 활의 양 끝을 이르는 말입니다. 시위를 걸기도 하고 활을 걸어 주는 끈을 매기도 합니다. 곧 활의 귀에 해당하는 곳을 가리키는 글자입니다. 활 미(弭)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미란(弭亂) 미병(亹兵) 미환(亹患) 미즙(弭戢) 미도(弭盜) 미멸(弭滅) 미변(弭變) 아미리다(阿弭哩多)
어루만질 미(敉)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쌀 미(米)자를 했습니다. 살 미(米)자는 벼의 이삭을 표시해서 쌀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미란(敉亂) 미평(敉平) 미통(敉通) 미치(敉治) 미무(敉撫) 김미(金敉) 이미라(李敉羅)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