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들 물을 물같이 보지만 물이 세상에서 가장 강한 것이라고
일찍부터 老子(노자)는 ‘道德經(도덕경)’에서 깨우쳤다.
지극히 선한 것은 물과 같다(上善若水)며 만물을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않는 물을
이 세상에서 선의 표본으로 삼았다.
도덕경의 8장 易性章(역성장)에 나오는 이 말은 한 편의 시처럼 잘 요약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구절이기도 하다.
해당 부분을 인용해 보면.
‘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爭 處衆人之所惡 故幾於道(상선약수 수선리만물이부쟁 처중인지소오 고기어도)’로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해주고 넉넉하게 해 주지만 다투지 않는다.
모든 사람이 싫어하는 낮은 곳에 머물기에 가장 도에 가깝다’란 뜻이다.
노자는 세상을 물처럼 살아야 한다고 하면서
먼저 남과 다투거나 경쟁하지 않는 不爭(부쟁)과 남이 싫어하는 낮은 곳에 임하는 謙遜(겸손)을 가르친다.
이것은 소극적인 방식이 아니다.
물과 같이 만물을 길러주고 키워주지만 자신의 공을 남과 다투려 하지 않는 것이고
낮은 곳에 임하기에 강이 되고 바다가 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러면서 이어서 물의 정신을 일곱 가지로 예찬한다.
낮은 땅에 즐겨 임하고(居善地), 연못처럼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心善淵),
아낌없이 누구에게나 은혜를 베푼다(與善仁). 말은 훌륭하고 믿음이 있으며(言善信),
깨끗하게 다스려지게 하고(正善治), 일을 맡으면 잘 융화하여 처리하고(事善能),
움직임은 옳다고 여길 때를 고른다(動善時)는 것이다. 바로 水之七善(수지칠선)이다.
물처럼 순리대로 살아가는 것이 최선이지만 세상을 살아가는 보통 사람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공을 세워서 자랑하려 하고 남을 깎아내려 그 위에 군림하려는 것이 非一非再(비일비재)하다.
그래서 다툼이 끊임없다. 남들이 싫어하는 낮은 곳이 가장 오래 가는 높은 곳일 수도 있는데 깨닫지 못한다.
물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물 절약 분위기를 확산시키려는 것이 목적이지만
上善若水의 정신도 함께 생각했으면 한다.
-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
올해 영주문학 특집으로 유명을 달리하신 선배 문우를 기리기로 했습니다
저는 영주시조 문단의 큰별이셨던 고 약수 이무식 시인을 추모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어느 누구보다 영주문학을 사랑하고 많은 일에 솔선수범하면서 영주시조문학의 터를 닦으셨기에
말과 행동이 늘 일치하는 약수 시인의 삶에 대한 그리움이 더 간절했습니다
원고를 마감하고 시집을 다시 한번 읽으면서 영주문학 40년사를 편집하던 그때를 생각했습니다
水之七善(수지칠선) 속에서 약수의 모습이 생생하게 떠오르는 음력 시월 초하룻날입니다
하룻길 천천히 걸으며 자주 웃으시길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