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소월의 시 "초혼(招魂)"에 숨겨진 슬픈 사연
사진: 다음 카페
한국 최고의 시인 김소월님의 첫 사랑은?
초혼(招魂)에 얽힌사연 가슴아픈 사연의 시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던 이 시엔 슬픈 사연이 깃들여있습니다.
1902년 평안북도 구성군에서 김정식이란 이름의 아이가 태어났다.
아이가 3살때, 김정식 아버지는 일본인들에게 폭행을 당해 정신 이상자가 됩니다
정식은 할아버지 집으로 옮겨져 아픈 상처를
가진채 성장했다.
이후 오산학교에 진학한 그는 3살 많은 누나 오순을 알게 된다.
정식은 종종 오순과 마을 폭포수에서따로 만나며 마음을 의지했다.
정식이 14살이 될 때까지 둘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고, 일제강점기하에 서로
의 상처를 치유해 주며 연인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그러나 정식에게 행복은
너무나도 짧았습니다.
그가 14살이 되면서 그 해에
할아버지가 강제로 혼인을 올리도록 했습니다
혼인의 상대는 할아버지 친구의 손녀 홍단실 여인
당시엔 집안 어른의 말을 거역할 수 없는 분위기
였고, 정식은 말 한번 제대로 해보지도 못하고
홍단실과 결혼을 합니다
세월이 흘러 오순이 19살이 됐을때,그녀도 다른
사람과 결혼식을 올립니다.
이후 둘의 연락은 끊겼지만 정식은 자신의 아픔을 보듬어주던 오순을 잊지 못합니다
더욱 가슴 아픈 일은 이후에 일어납니다
세상은 정식에게 작은 그리움도 허용하지 않았다.
3년뒤 오순이는 매일 남편에 맞고 살다가 기어코 남편에
맞아 사망하게 됩니다
오순의 남편은 의처증이 심했고 폭력을 일삼는 사람
이었읍니다.
정식은 아픈 마음을 안고 오순의 장례식에 참석하여
그리고 사랑했던 오순을 기리며 한편의 시를 씁니다.
ㅡ 초 혼 ㅡ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죽을 이름이여!
심중에 남아 있는 말 한마디는
끝끝내 마자하지 못하였구나.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붉은 해가 서산 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떨어져 나가 앉은 산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선채로 이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김정식, 아니 시인 김소월이 남긴 초혼(招魂)이라는
시입니다.초혼은 사람이 죽었을 때 그 혼을 소리쳐 부르는 일을 뜻합니다.
김소월은 사랑하는 이를 떠나 보낸 처절한 슬픔을 글로 담겼던 애절한 글이 초혼입니다
카톡으로 온 이야기
첫댓글 엠마우스 요셉 님 늘 좋은 글 고맙습니다.
네 조나단님 건강하시디요 공삽습니다^^^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아픈 그리움이 귀한 시로 탄생이 되였으니 감사하네요
글 올려주신 요셉님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산숲나라님 건강하세요~^^
감사합니다 ^^
그런 슬픈 사연이 있었군요..
네 그러게요 건강하세요 수선화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