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뉴스) ‘사용방법과 빅 데이터 활용’ 등 ‘가습기살균제 참사 (신)해법 토론회’ 열려
- 이덕환 교수, “만성 독극물 세정제 흡입과 판매 등 허용이 참사유발 근본원인!”
피해자 등 참가자들, “항소심 재판부는 SK 등 유죄취지로 엄벌하라!”
‘사용방법과 빅 데이터 활용’ 등이 ‘가습기살균제 참사 (신)해법인가?
지난 16일(토)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 회의실에서 ‘가습기살균제 환경노출확인 피해자연합’(대표 박혜정),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모임 및 가족모임’, ‘가습기살균제 3단계 피해자 및 유가족과 함께(모임)’, ‘독성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모임’, ‘전북 가습기살균제 환경노출확인 피해연합’, ‘가습기살균제 사망 유가족 모임(3/4단계)’,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비상대책위 등 7개 피해자단체와 남인순 국회의원실이 공동“가습기 살균제참사 (신)해법 국회토론회(논점의 전환)” 함께 열었다.
김선홍 ‘글로벌 에코넷’ 상임회장이 사회를 맡은 국민의례 등 제1부 사전행사에서 남인순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송파구병)은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면서 취지 등을 설명한 뒤, 총선을 앞둔 연말 바쁜 일정에도 제2부 발제와 지정토론이 끝날 때까지 그 내용 등을 경청하면서 약 2시간 동안 자리를 지켰다.
새로운 해법으로 ‘사용방법과 빅 데이터 활용’ 등을 강조하는 제2부 토론회에서 좌장을 맡은 송운학 ‘공익감시 민권회의 대표’는, 토론회가 끝나갈 무렵 “SK 등 항소심 재판부가 유죄취지로 판결을 내리도록 하는 것이 발등에 떨어진 불처럼 최우선 긴급과제다. 엄벌판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공동으로 개최하고, 오늘 토론내용 등을 법원에 제출하자”고 제안하여 참석자 전원으로부터 만장일치 합의를 이끌어 냈다.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 미국 EPA 홈페이지 최상단에는
누구나 가장 먼저 볼 수 있도록 올바른 가습기 사용방법이 게재되어 있어
- “세정제의 살인적인 사용방법, 과장허위 광고 등이 문제!”
'살인적 사용법'을 허용한, 기업과 정부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사람은 쥐가 아니다. 동물을 통해 사람의 질병을 진단할 수 없다!”
* 전체 기사 보기
http://www.a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