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미 예수님!! 주님의 평화를 빕니다. 제가 6월 5일부터 12일까지 독립운동 전적지 탐방 여행을 떠납니다. 그래서 그 동안 묵상을 올려드리지 못할 형편입니다. 여행 후에 뵙겠습니다. 제가 잘 다녀올 수 있도록 기도해 주십시오. 감사합니다.
2024년 6월 5일 수요일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 기념일
<하느님께서는 죽은 이들의 하느님이 아니라 산 이들의 하느님이시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2,18-27 그때에 18 부활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두가이들이 예수님께 와서 물었다. 19 “스승님, 모세는 ‘어떤 사람의 형제가 자식 없이 아내만 두고 죽으면, 그 사람이 죽은 이의 아내를 맞아들여 형제의 후사를 일으켜 주어야 한다.’고 저희를 위하여 기록해 놓았습니다. 20 그런데 일곱 형제가 있었습니다. 맏이가 아내를 맞아들였는데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죽었습니다. 21 그래서 둘째가 그 여자를 맞아들였지만 후사를 두지 못한 채 죽었고, 셋째도 그러하였습니다. 22 이렇게 일곱이 모두 후사를 남기지 못하였습니다. 맨 마지막으로 그 부인도 죽었습니다. 23 그러면 그들이 다시 살아나는 부활 때에 그 여자는 그들 가운데 누구의 아내가 되겠습니까? 일곱이 다 그 여자를 아내로 맞아들였으니 말입니다.” 24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너희가 성경도 모르고 하느님의 능력도 모르니까 그렇게 잘못 생각하는 것이 아니냐? 25 사람들이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다시 살아날 때에는, 장가드는 일도 시집가는 일도 없이 하늘에 있는 천사들과 같아진다. 26 그리고 죽은 이들이 되살아난다는 사실에 관해서는, 모세의 책에 있는 떨기나무 대목에서 하느님께서 모세에게 어떻게 말씀하셨는지 읽어 보지 않았느냐? ‘나는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사악의 하느님, 야곱의 하느님이다.’ 하고 말씀하셨다. 27 그분께서는 죽은 이들의 하느님이 아니라 산 이들의 하느님이시다. 너희는 크게 잘못 생각하는 것이다.”
사람이 죽으면 왜 강을 건너서 간다고 할까?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된다는 이야기가 많은데 흔히 황천(黃泉)을 건넌다든가, 요르단 강을 건넌다느니 이와 유사한 말들을 타종교에서도 한 결 같이 말해서 흔히 사람이 죽으면 정말 강을 건너야 하는구나 하고 의례 짐작들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강을 건너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아마 특별한 그 무엇인가 필요할 것입니다. 지금은 다리를 잘 놓아서 강을 건너기가 쉽지만 예전에 사람들은 강을 건널 때는 늘 나룻배를 타야했습니다. 그래서 죽어서 강을 건너기 위해 배를 탈 때에 망인도 노잣돈이 있어야 사공에게 뱃삯을 낼 수 있다고 사람들은 관에 돈을 조금 넣어주기도 합니다. 황천을 건널 때 저승사자와 같이 잘 갈 수 있도록 집 대문 앞에 사자 밥이나 짚신 그리고 노잣돈도 놓아주는 관행이 아마 이런 이유에서 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사람이 죽으면 왜 강을 건넌다고들 하였을까요. 예전에는 강을 건너기 힘들었기 때문에 죽음은 건너뛰기 힘든 가장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하였고 강은 쉬지 않고 계속 흘러가기 때문에 현세와 저승 간에 놓여있는 모든 미련과 많은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깨끗하게 씻어 흘러갔으면 하는 간절한 마음은 아니었을까요? 이 세상에서 잘못한 것을 저승에서 조상을 어떤 면목으로 대할 것인지도 크게 죽음을 두려워하고, 죽기 전에 선행을 쌓아서 선대(先代)를 대하여야 한다고 누구나 말합니다. 흔히 '기언야선'(其言也善)은 ‘임종에 이르면 그 말함이 착하다.’는 뜻으로 이는 임종 전에 하는 마지막으로 남기는 말들은 아무리 악인이라도 착하고 선하게 다가온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도 오늘 죽음과 부활에 대하여 명쾌하게 대답을 주십니다. 이미 모든 것을 성경을 통해서 명백하게 말씀하셨다고 했습니다. 세상에 사는 동안 사람들은 심판을 받는 기준에 대하여도 가르쳐 주셨는데 용서할 것은 용서하고 잘못한 것은 뉘우치고 다시는 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겠다고 하느님과 약속하고 그 모든 것을 잘 지키라는 것입니다. 또한 우리는 영원히 죽지 않고 살게 되며 마지막 날에 다시 살아난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다른 모습으로 살아있다는 말로 하느님께서 마련한 나라에서 살게 된다는 것입니다. 선인과 악인의 구별은 있을 수 있으나 하느님 앞에서 시집가거나 장가들고, 내 사람이고 네 사람이고의 구분이 없이 모두 하느님의 의향으로 하느님 나라의 자손으로 함께 영원히 살게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살아계신 사람들의 하느님'이라는 데에 큰 위안을 받습니다. 얼마 전 제가 참으로 사랑하던 형제가 주님 품으로 갑작스럽게 안겼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슬펐습니다. 그 형제는 열심히 최선을 다하여 봉사하였기에 그 분을 위해서 끊임없이 기도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분은 죽은 것이 아니라 주님 품에 살아있는 형제이기 때문입니다. 이 세상에서는 주님 품에서 활동하면서 육신을 가지고 살아 있었고, 하늘나라에는 육신을 이 세상에 남겨놓고 주님 품으로 다시 돌아갔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살아있을 때에 하던 것과 똑 같이 천상의 교회에 있는 형제에게 우리들은 늘 함께 기억하여야 할 것입니다.
우리보다 먼저 하느님 나라에 가신 분들이 주님 품에 안겨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면 가슴 가득히 행복한 느낌도 듭니다. 내가 항상 잊지 못하는 아버지와 장인어른, 어머니와 장모님, 그리고 친구들, 교회 안에서 우정을 나누었던 형제, 자매들 그리고 주님의 품에서 영원한 행복과 사랑으로 살아 있을 모든 돌아가신 분들을 지금 기억합니다. 슬퍼하는 마음이 아니라 기쁨으로 그분들의 부활을 진정으로 믿으며, 모든 성인의 통공을 믿으며, 그렇게 주님과 함께 행복하실 것입니다. 이제는 두려움 없이 죽음도 맞이하고 후회 없이 진실로 봉사하면서 하느님 나라를 이 세상에 만들어 가야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