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대구서머나카페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영웅
    2. 최정혜
    3. 장춘복
    4. 청지기
    5. 최현식
    1. 인자봉께
    2. 홍용원
    3. 바나바
    4. 시리
    5. 최용희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좋은습관
    2. 에녹76
    3. 석보야
    4. isaac
    5. 사층
    1. 감사한
    2. 곽행숙
    3. 최순남
    4. 다니엘 초이
    5. 깜상
 
카페 게시글
일반게시판 안수가 뭔지나 알고 안수기도를 하나?
강구만 추천 0 조회 545 21.09.17 14:49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1.09.17 14:55

    첫댓글
    성경에서 안수에 대한 기록은 출 29:10절의 “너는 수송아지를 회막 앞으로 끌어오고 아론과 그의 아들들은 그 송아지 머리에 안수할지며”라는 구절로부터 시작됩니다. 따라서 안수에 대해서는 이러한 구절을 근거로 해서 안수가 어떤 배경에서 어떤 의미로 시작 되었는지 부터 살필 필요가 있습니다.
    출 29장은 아론과 그의 아들들에게 제사장 직분을 맡기는 내용입니다. 제사장 직분을 맡기는 과정에서 송아지 머리에 안수하는 것이 처음 등장합니다. 출 29:1-3절에 보면 “네가 그들에게 나를 섬길 제사장 직분을 위임하여 그들을 거룩하게 할 일은 이러하니 곧 어린 수소 하나와 흠 없는 숫양 둘을 택하고 무교병과 기름 섞인 무교 과자와 기름 바른 무교 전병을 모두 고운 밀가루로 만들고 그것들을 한 광주리에 담고 그것을 광주리에 담은 채 그 송아지와 두 양과 함께 가져오라”라고 말합니다.
    이 구절에서 ‘그들을 거룩하게 할 일은’라고 말하고, 3절 뒤에 송아지와 두 양을 가져오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따라서 송아지와 두 양은 제사장을 거룩하게 하는 것과 연관이 있으며, 여기에 안수가 등장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안수는 죄로 인해 부정한 인간인 제사장을 거룩하게 하는

  • 작성자 21.09.17 14:58

    방편인 것입니다.
    송아지와 양은 희생제물입니다. 희생제물에게 안수하는 것은 안수하는 자의 모든 죄가 안수 받는 제물에게로 전가됨을 뜻합니다. 즉 제사장의 모든 죄가 희생제물에게 전가되는 것으로 제사장이 거룩하게 된다는 것이 안수입니다.
    희생제물은 자신에게 전가된 제사장의 죄로 인해 죽게 됩니다. 이것이 제사입니다. 따라서 제사장이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면서 제물에게 안수하게 하는 것은, 제사장의 모든 죄를 대신 지고 하나님의 저주를 받은 희생 제물로 인해서 하나님과의 화목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이처럼 제사장이 제물의 머리에 안수할 때 중요한 것은, 자신이 저주의 존재라는 사실을 직시하는 것입니다. 자신이 안수한 제물이 제단에서 불에 태워져 죽는 것을 보면서 하나님의 저주가 제물에게 임하였음을 깨달아야 하는 것이고, 그것을 통해서 자신이 저주의 존재이며 자신이 받아야 할 저주를 제물이 대신 받게 하신 것에서 하나님의 사랑과 자비하심을 알아야 한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이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을 미리 가르쳐주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사장이 자신이 저주의 존재라는 것을 인식했다면, 자신이 존재하는 모든 근거가 자신이 아니라

  • 작성자 21.09.17 15:05

    하나님의 사랑과 자비하심에 있음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제사장이 가르쳐야 하는 것은 인간의 무능과 무가치함입니다. 인간의 의가 아닌 제물의 피와 희생 덕분에 존재한다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 제사장다운 것이고 제물의 피와 희생을 믿는 것이 참된 이스라엘인 것입니다.그래서 안수에는 안수 받는 자가 안수 하는 자의 운명으로 들어간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안수하는 제사장의 운명이 저주인데, 안수 받은 희생 제물이 제사장의 저주의 운명으로 들어간 것입니다.
    마태복음 3장에 보면 예수님이 세례요한에게 세례 받는 내용이 있습니다. 세례를 위해서는 머리에 손을 얹게 됩니다. 즉 안수를 하는 것입니다. 세례 요한도 죄인입니다. 그런데 예수님이 굳이 죄인 된 인간에게 세례를 받으시는 것은, 예수님이 가시는 길이 구약의 희생제물과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즉 예수님이 죄인 된 인간의 운명에 들어오셔서 인간이 가야 할 저주의 길을 대신 가신다는 것을 의미하는 세례인 것입니다. 그러면 복음서에서 예수님이 안수하신 내용들은 어떻게 이해하면 될까요? 안수 받은 자가 안수한 자의 운명에 들어감을 의미한다고 했으니까 예수님으로 인해서 생명 되신 예수님의 운명과 하나 됨을 뜻합니다.

  • 작성자 21.09.17 15:03

    이것을 위해서 성령이 오신 것입니다.
    복음서에 보면 예수님이 안수하여 병 고치는 내용들이 있습니다. 이것도 안수 자체가 어떤 능력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으로 인해서 저주 아래 있는 인간이 고침을 받고 예수님의 생명을 누리게 됨을 보여주시는 것입니다.
    사도행전에는 사도가 안수하여 성령을 받는 내용들이 있습니다. 이것도 사도의 안수에 능력이 있어서 성령을 받게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도의 안수는 예수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도는 예수께 붙들려서 자기의 길이 아니라 예수님이 가신 길에 있습니다.
    따라서 사도의 안수로 성령이 임하는 것은 사도와 동일하게 예수님이 가신 길로 가게 하기 위해 성령이 오심을 뜻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성령을 받게 되면 사도처럼 그리스도의 십자가만 높이고 자랑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러한 안수의 의미가 묻혀지고 변질된 것이 지금의 현실입니다. 목사가 안수를 받는 것은 목사라는 직분이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를 위한 것임을 자각하는 현장이 되어야 합니다.
    예수님의 십자가에서 인간의 무가치함을 깨닫고 죽음의 존재인 인간이 어떻게 생명에 속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내막을

  • 작성자 21.09.17 15:05

    십자가에서 깨닫고 온전히 십자가의 희생의 피의 은혜만 전달하라는 의미로 주어지는 것이 안수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안수는 안수하는 목사의 이름이 아니라 예수의 이름으로 받는 것입니다.
    그래서 환자에게 목사가 안수하는 것은 목사의 능력이 안수를 통해서 환자에게 전달되어 병이 고침 받는 그런 의미가 아니라 병으로 인해 죽는다 해도 그리스도로 인해 생명에 속한 자로 육신을 벗는 것이기에 그 또한 오히려 축복임을 전하는 의미가 되어야 합니다. 때문에 굳이 목사가 환자에게 안수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면 안된다는 것이 아니라 무의미하다는 것입니다. 병 낫기 위해서, 능력 받기 위해서 안수를 받고자 하는 것이 자기 유익을 위해 안수를 이용하는 것일 뿐이기에 그것이 곧 저주에 속한 존재라는 것을 여실히 드러내는 증거일 뿐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자녀의 머리에 손 얹고 부모가 하는 축복기도도 결국 부모의 욕망을 드러내는 것일 뿐입니다. (질문 답변란에서)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