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S는 On Base Percentage plus Slugging의 약자로 출루율과 장타<Br>
율을 더한 값이다. 토털베이스볼(Total Baseball)의 편집인 피트 파머
(Pete Palmer)가 고안한 타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지수로 타율이나 출
루율처럼 소수점 3자리의 수로 나타내지만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 아
니므로 편의상 3자리나 4자리의 정수로 쓰기도 한다.
야구는 득점을 해야 이기는 경기이며 공격의 목적은 득점을 얻는 것
이다. 따라서 타자의 능력을 측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팀의 득점에
얼마만큼 공헌을 했느냐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통적인 통계인 타율
(Batting Average)은 안타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잘 나타낸다.
그러나 타율은 타수(AB, At Bat)로 계산되지 않는 타석(PA, Plate
Appearence)을 완전히 무시하고 있으며 단타, 2루타, 3루타, 홈런을
모두 1안타로 취급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득점 공헌도를 보여주는 데
에는 불충분하다. 홈런은 야구 경기에서 매력적인 요소이지만 홈런만
으로는 타자의 공헌도를 충분히 알 수 없다. 야구선수들은 타점을 가
장 중요한 기록으로 꼽기도 한다.
그러나 타점은 타자가 뽑아낸 점수를 직접 보여준다는 장점은 있지만
타점이나 득점에는 다른 선수들의 플레이가 개입된다는 점에서 개인
기록으로는 적절하지 않다.
야구경기에서 득점은 루상에 주자가 출루한 후 그 주자가 2루, 3루를
거쳐 홈으로 들어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따라서 타자에게 요구
되는 가장 중요한 능력은 안타나 볼넷 등의 방법으로 아웃되지 않고
누상에 살아나가는 것과 타자 자신을 포함한 주자를 더 먼 베이스
로 보내는 것이다.
OPS에서 전자는 출루율에서, 후자는 장타율에서 표현된다.
OPS는 출루율과 장타율을 단순히 더함으로써 안타를 만드는 능력(타
율은 출루율에 포함된다), 볼넷을 얻어 걸어나가는 능력, 장타 능력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 이 공식은 기술적으로는 수정될 여지가 있으며
지금까지 개발된 다른 지수들(빌 제임스의 RC, 피트 파머의 LWTS,
키스 울너의 VORP, 클레이 데이븐포트의 EQR, 존 F. 저비스의
OERA 등)에 비해 정교함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가장 간편하며 쉽게 타자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 프로야구에서 리그 OPS 평균은 투고타저의 시즌에는 690에서
700 사이이며, 역대 최저 기록은 86년의 673이었다. 반면 역대 최악
의 타고투저 시즌이었던 99년의 OPS 평균은 793으로 2번째와 3번째
로 높은 값을 기록했던 92년과 82년의 747, 746을 훨씬 넘어선다.
일반적으로 OPS가 800을 넘어서면 좋은 타자로 평가된다. 역대 OPS
최고 기록은 82년 백인천의 1.242 이다
■ 홀드규정
a) 승리투수, 패전투수 그리고 세이브 기록을 얻은 투수에는 홀드를 주지 않는다.
b) 세이브규정에 준해 해당조건을 갖추면서 도중에 물러난 투수에게 홀드1을 준다
즉, 구원투수가 등판한 시점이 경기종료때까지 리드를 유지한 채 끝까지 던졌을 경우 세이브를 줄 수 있는 상황이라야 하며, 또한 리드를 유지한채 강판하는 것이 홀드부여의 기준이 된다.
c) 조건만 충족한다면 여러명의 투수에게 홀드를 기록할 수 있다.
d) 위의 조건을 충족하면, 그 다음에 나온 구원투수가 점수를 내주어 동점 및 역전이 되더라도 해당투수에게는 홀드1을 준다.
단, 해당투수가 이닝 도중에 주자를 남겨놓고 물러났을 때에는, 그 남겨진 주자로 인해 구원투수때 경기가 동점 또는 역전이 되었을 경우에는 홀드기록을 제외한다.
■ 홀드를 주는 조건
홀드기록 투수는 원칙적으로 세이브규정을 충족시키면서 도중에 강판된 중간계투 투수이다.
경기를 마무리한 투수를 제외한 모든 구원투수에 대해서 다음의 1, 2, 3항 중에서 어느 항이든 충족시킨 구원투수에게는 홀드를 기록한다.
새로운 규정 ) - 2001. 12.12일 결정안
동점이나 지고 있는 상황에서 등판한 투수도 역전승을 거뒀을 경우
홀드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기존 규정)
1) 루상의 주자 또는 상대하는 타자 또는 그 다음 타자가 득점하면 동점이 되는 상황에서 출장하여 최저 1아웃을 시킨 다음 리드를 유지한 채 다음 투수와 교대한 경우
(홀드조건 충족 최저필요이닝 : 1/3회 이상)
2) 주자 없이 3점의 리드상황에서 등판해 최저 1회이상 투구한 다음 리드를 유지한 채 다음 투수와 교대한 경우
3) 4점차 이상 리드 또는 루상에 주자가 1명일 경우 4점 리드, 루상에 주자가 2명일 경우 5점 리드, 루상에 주자가 3명일 경우 6점 리드인 상황에서 등판해 3회 이상 투구하고, 등판시의 리드를 유지한 채 다음 투수와 교대한 경우 (홀드 필요 이닝 : 3회 이상)
단 위 1), 2), 3)의 어느 항에 대해서도 이닝 도중에 주자를 남겨놓고 물러난 뒤에 그 남겨진 주자가 동점 및 역전의 득점이 된 경우에는 홀드를 주지 않는다.
홀드관련 보충규정
가. 등판시에 세이브 대상은 아니지만, 홀드 대상이 되는 경우
리드하고 있는 팀의 선발투수가 5회를 채우지 못하고 물러났을 때, 다음에 등판한 투수에게는 승리투수를 얻을 수 있는 권리가 남아 있는 관계로 세이브대상이 될 수는 없다. 그러나 홀드조건 중 1), 2), 3)의 어느 항이든 충족시킨 투구를 한 다음, 결과적으로 승리 또는 패전투수가 되지 못한 경우에는 홀드가 주어진다.
나. 등판시에는 세이브 대상이었으나 경기를 마무리 짓지 못하고 물러났을 때 홀드대상이 되지 못하는 경우
최종회 무사때 주자없이 3점 리드 상황에서 등판한 경우, 원칙적으로 세이브 대상이지만, 1회 미만의 투구이닝을 기록하고 물러난 경우에는 홀드가 주어지지 않는다.(투구이닝 부족)
■출루율 ( OBP: on base percentage )
▽ 출루율의 중요성은 타율의 모순과 연관이 깊습니다.
타율은 ' 안타수 / 타수 ' 입니다.
타수는 BB(볼넷)과 SH(희생타) 는 계산에 넣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팀 공헌도를 측정하기가 애매한 구석이
있습니다.
▽ 출루율은 BB가 높지 않고서는 절대 높아질 수없는
것이기 때문에 타자의 선구안과 침착성의 측정지수가
될 수있습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당^^
중호야 존경 스럽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