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장생지에 의지하는 천간, 지지를 형충(刑沖)하면 위태롭다
時 | 日 | 月 | 年 | 건 명 |
정관 | 일간 | 정재 | 정관 | 六 神 |
甲 | 己 | 壬 | 甲 | 天 干 |
戌 | 巳 | 申 | 戌 | 地 支 |
겁재 | 정인 | 상관 | 겁재 | 六 神 |
▶ 사/주/풀/이
이 명조는 년간(年干)에 갑목(甲木) 정관(正官)이 투간하였는데 시간(時干)에도 갑목(甲木) 정관(正官)이 투간하였습니다. 그런데 월지(月支)의 신월(申月)은 갑목에게는 절지(絶地)에 해당하므로 정관(正官) 이위(二位)의 상(像)이 분명합니다. 자식(子息)의 이위(二位)에서는 첫 번째의 자식은 인연이 없고 두 번째에 만나는 자식에게 인연이 있다는 사실이 분명합니다. 그러므로 갑목(甲木)에게는 절처봉생(絶處逢生)이 시급한 팔자가 되었습니다. 절처봉생(絶處逢生)이라 함은 갑목(甲木)이 금(金)에 의해 피상(彼傷)을 당할 우려가 있는데 임수(壬水)로 인해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으로 통관(通官)이 되면 살 수가 있다는 뜻이 됩니다. 고로 월간의 임수(壬水) 정재는 곧 나의 처성(妻星)이 되는데 정관 자식에게는 귀한 존재가 되는 육친이 됩니다. 그런데 신금(申金)이 역마(驛馬)이고 임신(壬申) 장생(長生)지의 처성(妻星)이 놓인 겁니다. 적천수에서 말하기를 장생지에 전적으로 의지하는 천간의 지지를 형충(刑沖)하면 위태롭다고 하였습니다. 고로 이 장생을 충극하는 사신형(巳申刑)이 된 임수의 입지는 상당히 위태롭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신축년(辛丑年)에 축술형(丑戌刑)이 되면 사신형(巳申刑)을 충극(沖剋)하므로 임수(壬水)가 흔들리는 상황인데 축술형(丑戌刑)으로 술(戌)중의 정화(丁火)가 충출(沖出)하였은 즉, 정임(丁壬)합거(合去)가 되면 임수(壬水)와 정화(丁火)가 제거가 될 수 있습니다 임수(壬水) 제거(除去)시에는 처성(妻星)이 사라지는 해가 되므로 처(妻)에게 사건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근황
신축년(辛丑) 무술(戊戌)월에 태중(胎中)의 처자(妻子)가 모두 사망하였다.
【핵심키워드】
적천수에서 말하기를 병인(丙寅), 무인(戊寅), 정유(丁酉), 임신(壬申), 계묘(癸卯), 기유(己酉)는 모두 장생(長 )일주이다. 이와 같은 것들은 일주가 쇠약한데 충을 만나게 되면 곧 뿌리가 뽑히게 되어 재화(災禍)가 더욱 심한 것이다. 곧 지지가 장생궁에 의지하는 천간은 충극에 허약하다는 뜻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자료 출처: 사주간명의 열쇠 육친론[곧 출간 예정임]
목차(目次) 소개
1. 육친(六親)의 개념(槪念)과 적용(適用)
1 육친(六親)의 개념(槪念)
2 육친(六親)의 적용(適用)
3 십신(十神)의 조합물(組合物)
4 삼명통회에서 말하는 육친론(六親論)
5 신봉통고에서 말하는 육친론(六親論)
6 육친(六親) 잡론(雜論) 살펴보기
7 육친(六親) 통변(通辯) 사례
2. 육친(六親)의 동정론(動靜論)
1 십이운성법(十二運星法)으로 육친의 왕쇠(旺衰)를 추리한다
2 육친성으로 초년운과 말년운을 보는 방법
3 생극(生剋)의 선후에 따라 길흉이 달라진다
4 육친의 성공여부는 격국법을 따른다
5 지장간의 숨은 육친을 찾아내자
6 물상대체로 일어나는 육친 사건을 찾아내자
7 형충회합(刑沖會合)으로 변하는 육친을 읽어낼 줄 알아야 한다
3. 실전(實戰) 육친법(六親法)
1 부모(父母)의 육친법(六親法)
2 형제(兄弟)자매(姉妹)의 육친법(六親法)
3 배우자(配偶者)의 육친법(六親法)
4 자녀(子女)의 육친법(六親法)
5 고부(姑婦)갈등(葛藤)
6 조부(祖父)조모(祖母)의 육친법(六親法)
7 십신의 직업을 추리(推理)한다
8 기타(其他) 육친법(六親法)의 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