種樹郭橐駝傳
종수곽탁타전
柳宗元
무슨일을 하든지 자연스런 본성에 따라 하면 힘들이지 않고 성공하는데,
무리하여 잘 하려고 하면 고생할 뿐 아니라 결과가 나빠진다.
이 유종원의 '종수곽탁타전'은 나무 심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백성을 다스리는 경우에도 그 방법은 같음을 이야기 한다.

善解人意 민승준 작품
나는 다른 사람이 진정으로 바라는 뜻을 잘 이해하고 있을까?
原文:
郭橐驼,不知始何名,病偻,隆然伏行,有类橐驼者,故乡人号之“驼”。
驼闻之,曰:“甚善,名我固当。”因舍其名,亦自谓橐驼云。
其乡曰丰乐乡,在长安西。驼业种树,凡长安豪家富人为观游及卖果者,皆争迎取养。
视驼所种树,或迁徙,无不活,且硕茂,早实以蕃。他植者虽窥伺效慕,莫能如也。
有问之,对曰;“橐驼非能使木寿且孳也,能顺木之天,以致其性焉尔。
凡植木之性,其本欲舒,其培欲平,其土欲故,其筑欲密。既然已,勿动勿虑,去不复顾。
其莳也若子,其置也若弃,则其天者全而其性得矣。故吾不害其长而已,非有能硕茂之也;
不抑耗其实而已,非有能早而蕃之也。他植者则不然,根拳而土易,其培之也,若不过焉则不及。
苟有能反是者,则又爱之太恩,忧之太勤,旦视而暮抚,已去而复顾,甚者爪其肤以验其生枯,
摇其本以观其疏密,而木之性日以离矣。虽曰爱之,其实害之;
虽曰忧之,其实仇之。故不我若也。吾又何能为哉!”
问者曰:“以子之道,移之官理,可乎?”
驼曰:“我知种树而已,官理,非吾业也。然吾居乡,见长人者好烦其令,若甚怜焉,而卒以祸。
旦暮吏来而呼曰:‘官命促尔耕,勖尔植,督尔获,早缫而绪,早织而缕,字而幼孩,遂而鸡豚。’
鸣鼓而聚之,击木而召之。吾小人辍飧饔以劳吏者,且不得暇,又何以蕃吾生而安吾性耶?
故病且怠。若是,则与吾业者其亦有类乎?”
问者曰:“嘻,不亦善夫!吾问养树,得养人术。”传其事以为官戒。
"내가 나무를 오래 살게 하고 무성하게 하는 것이 아닙니다.
나는 다만 나무로 하여금 자기의 본성을 다하게 할 따름입니다.
나무의 본성이라는 것은 뿌리는 뻗고자 하고, 북을 돋울 때는 편편하게 해주는 것을 좋아하며,
흙은 본래부터 자라던 곳의 것을 좋아하며, 뿌리를 다질 때에는 꼭꼭 밟아서
흙이 뿌리에 잘 붙게 해 주는 것을 좋아합니다.
이렇게 해서 이미 다 심은 다음에는 움직이지 말아야 하며, 걱정하지도 말아야 하며,
일단 가 버린 다음에는 두 번 다시 돌아보지 말아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심기는 사랑하는 자식같이 하고 버리기는 미운 자식같이
하면 나무는 자기의 천성을 온전히 하여 그 성질대로 잘 자랄 것입니다."

善解人意 민승준 작품
남의 마음을 잘 헤아리는 사람이 되자.
译文:
郭橐驼,不知最初叫什么名字。
他患了脊背弯曲的病,脊背突起而弯腰走路,就像骆驼一样,所以乡里人称呼他叫“驼”。
橐驼听到后说:“很好啊,给我取这个名字确实恰当。”
于是他索性放弃了原来的名字,也自称起“橐驼”来。
곽탁타는 처음 이름이 무엇이었는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곱사등이어서 솟아나 허리를 구부리고 다니니 낙타와 비슷하였다.
따라서 마을 사람들이 그를 탁타라 불렀는데,
그는 그 소리를 듣고 참 좋다 나한테 꼭 맞는 이름이구나, 하며
자신의 이름을 버리고 스스로 탁타라 불렀다.
他的家乡叫丰乐乡,在长安城西边。郭橐驼以种树为职业,
凡是长安城里富豪人家从事园林游览和做水果买卖的,都争着接他到家中奉养。
看到橐驼种的树,有的移植,没有不成活的;甚至长得高大茂盛,结果早又多。
别的种树人即使暗中观察模仿,也没有谁能比得上。
탁타가 사는 마을이름은 풍악이니 그곳은 장안의 서쪽이다.
탁타는 나무 심는 것이 본업이니 장안의 권세 높은 양반들과 부자들 중에 나무를 완상하거나
과일을 사려는 사람은 모두 앞다투어 그를 맞아들여 나무를 관리하게 했다.
탁타가 나무를 가꾸거나 옮겨 심으면, 죽는 일이 없으며 언제나
잎이 무성하고 다른 나무보다 일찍 열매를 맺었다.
다른 사람이 가만히 엿보아 배워서 그대로 해보곤 했지만, 같지 않았다.
有人问他,他回答说:“橐驼我并不能使树木活得长久而且长得很快,
只是能顺应树木的天性,来实现其自身的习性罢了。
어떤 사람이 그 이유를 물으니 이렇게 대답하였다.
“제가 나무를 오래 살게하고 잘 자라게 하는 것이 아닙니다.
나무가 지닌 본성에 거스르지 않고, 그의 본성을 다하도록 돌보아 주었을 뿐입니다.
大凡种植树木的方法是:它的根要舒展,它的培土要均匀,它的土要是旧的,给它筑土要紧密。
这样做了之后,就不要再去动它,也不必担心它,种好以后离开时不再回顾。
栽种时就像对子女一样,栽好后就像丢弃它一样。
나무의 본성이란 뿌리는 바르면 뻗으려 하고, 북돋움은 고리길 바라고
그 흙은 옛것이고 싶어하고 뿌리사이를 꼭꼭 다져주기를 바랍니다.
그런 다음에는 건드리지 않고 걱정하지 말며, 더 이상 돌아보지 않고 내버려두어야 합니다.
처음 심을 때는 자식과 같으나 심은 다음에는 아주 내버린 것처럼 하면
나무의 본성이 온전히 보존되어 잘 자라는 것입니다.
那么它的天性就得到了保全,因而它的本性就不会丧失了。
所以我只不过不妨害它的生长罢了,并不是有什么能使它长得高大茂盛的诀窍;
只不过不抑制耗损它的果实罢了,也并不是有什么能使果实结得又早又多的诀窍。
그러므로 나는 나무의 성장을 해치지 않았을뿐입니다.
나무를 크고 무성하게 하는 재능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열매를 맺는 것을 억눌러 손상시키지 않았을 뿐입니다.
일찍 맺게 하고 많이 맺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别的种树人却不是这样,种树时树根蜷曲,又换上新土;
培土如果不是过多就是不够。如果有与这做法不同的,又爱得太深,忧得太多,
早晨去看了,晚上又去摸摸,离开之后又回头去看看。
更过分的做法是抓破树皮来验查它是死是活,摇动树干来观察栽得是松是紧,
这样树的天性就与实际情况一天天地相背离了。
다른 이들은 이렇게 하지를 않습니다.
뿌리를 한데 모아 심고 흙을 새것으로 바꾸며
뿌리에 흙을 북돋우는 것도 지나치게 많이 하거나 너무 모자라게 합니다.
본성을 위반하여 나무를 가꾸는자는 나무를 지나치게 사랑하고 너무 걱정하여
아침에 돌보아주고 저녁에 어루만져 주고 이미 떠나서도 다시 생각하며
심한 경우에는 껍질을 손톱으로 쪼아 나무가 살아있는지 죽었는지 시험해 보기도 합니다.
나무를 흔들어서 흙이 제대로 채워져 있는지 알아보기도 합니다.
그러니 나무의 본성과는 날이 갈수록 멀어지고 마는 겁니다.
这虽说是爱它,实际上是害它,虽说是担心它,实际上是仇恨它。
所以他们都比不上我啊,其实,我又能做些什么呢?”
나무를 사랑하기 때문이라 하지만, 사실은 해치는 것이 됩니다.
걱정되어 그런다고 하지만 실은 원수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나는 그 같이 하지 않을 뿐입니다.
내게 무슨 능력이 있겠습니까?
问的人说:
“把你种树的方法,转用到作官治民上,可以吗?”
橐驼说:
“我只知道种树的道理而已,作官治民不是我的职业。
물었던 이가 말한다.
“그대의 나무 가꾸는 방법을 백성을 다스리는 데에 사용하면 좋을 것 같소. 그렇지 않소이까?”
탁타가 대답한다.
“나는 나무 가꾸는 법을 알 뿐입니다. 백성을 다스리는 일은 제 일이 아닙니다.
但是我住在乡里,看见那些当官的喜欢不断地发号施令,
好像很怜爱百姓,结果却给百姓带来灾难。
하지만, 제가 고향에 있으면서 번거롭게 명을 내리기를 좋아하는 수령을 본 적이 있습니다.
그는 백성들을 가엽게 여기는 것 같았으나 결과적으로는 화를 초래했습니다.
早早晚晚那些小吏跑来大喊:
‘长官命令:催促你们耕地,勉励你们种植,督促你们收割,
早些煮蚕茧抽蚕丝,早些织你们的布,养好你们的小孩,喂大你们的鸡猪。’
아침저녁으로 관리들이 나와 고함치길:
'나라의 명이니; 빨리 밭을 갈아라! 부지런히 심어라! 힘써 수확하라!
빨리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아내라! 옷감을 짜라! 어린아이들을 잘 키워라! 닭이나 돼지를 길러라!
一会儿打鼓招聚大家,一会儿鼓梆召集大家,
我们这些小百姓放下饭碗去招待那些小吏尚且不得空暇,又怎能使我们人丁兴旺,人心安定呢?
所以我们既困苦又劳累, 这样看来,它与我种树的行当大概也有相似的地方吧?”
북을 울려 사람들을 모이게 하고 딱따기를 쳐 사람들을 불러냈습니다.
힘없는 우리 백성들은 아침저녁으로 관리들을 위로하기 위해 한가한 틈이 없었으니,
어떻게 그들의 생활을 풍성하게 했겠으며, 사람들의 본성이 편안할 수 있었겠습니까?
결국 사람들은 힘들어 지쳐서 병들고 말았습니다. 이런 점으로 보자면
백성을 다스리는 것이 나의 나무 가꾸는 일과 흡사한 것 같기도 하군요?
问的人说;“这不是很好吗?我问种树,却得到了治民的方法。”
于是,我把这件事记载下来,作为官吏们的鉴戒。
물었던 이가 기뻐하며 말한다:
"정말 좋지 않소이까? 나무 가꾸는 법을 물었다가 사람을 돌보는 법을 터득하게 되었으니 말이요"
이에 이 일을 후세에 전하여 관리들이 지켜야 할 계칙으로 삼고자 했다.
............................................
柳宗元
유종원(773-819)
중국 당나라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 자는 자후. 산서 하동 출신.
시문에 뛰어나 좋은 작품을 많이 남김.
"내가 나무를 오래 살게 하고 무성하게 하는 것이 아닙니다.
나는 다만 나무로 하여금 자기의 본성을 다하게 할 따름입니다.
나무의 본성이라는 것은 뿌리는 뻗고자 하고, 북을 돋울 때는 편편하게 해주는 것을 좋아하며,
흙은 본래부터 자라던 곳의 것을 좋아하며, 뿌리를 다질 때에는 꼭꼭 밟아서
흙이 뿌리에 잘 붙게 해 주는 것을 좋아합니다.
이렇게 해서 이미 다 심은 다음에는 움직이지 말아야 하며, 걱정하지도 말아야 하며,
일단 가 버린 다음에는 두 번 다시 돌아보지 말아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심기는 사랑하는 자식같이 하고 버리기는 미운 자식같이
하면 나무는 자기의 천성을 온전히 하여 그 성질대로 잘 자랄 것입니다."
...........................................
parent.ContentViewer.parseScript('b_15711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