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우리역사문화연구모임(역사문)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갈메기
    2. 삼산이수
    3. 剩愛
    4. 최해덕
    5. 단대
    1. 대종교천부경학회
    2. 슬픈고양이
    3. buff
    4. 1학년
    5. 솜소밍
 
 
카페 게시글
고구려 토론방 우씨왕후와 형사취수혼
공실불 추천 0 조회 821 24.09.05 21:30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09.06 11:24

    첫댓글 軍君이 “임금님의 명을 어기지 않겠습니다. 바라건대 임금님의 부인을 저에게 주시면 그런 다음 떠나라는 명을 받들겠습니다” 라고 대답하였다. 加須利君은 임신한 부인을 軍君에게 주며 “나의 임신한 아내는 이미 해산할 달이 되었다. 만약 도중에 아이를 낳게 되면, 바라건대 1척의 배에 태워서 따라서 이른 곳이 어디건 속히 나라에 보내도록 하라”고 하였다. 마침내 작별하고 조정에 파견되는 명을 받들었다.- [일본서기] 권14 雄略天皇 5년 - 이 기록에는 혼군(곤지)가 개로왕에게 형수를 달라고 요구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이 또한 형사취수제의 한 유형으로 볼 수 있다. 흉노, 부여, 고구려, 백제까지 모두 전사사회에서 나온 풍습이라고 할 수 있다. 기록이 부족한 것은 역시 유교적 윤리와 맞지 않기 때문에, 후대에 생략한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

  • 작성자 24.09.06 22:51

    일본서기의 곤지의 취수 기록은 일반적인 형사취수혼이라고 보기가 어렵습니다 형이 사망한 후에 형수를 취하는게 아니고 국왕인 형이 생존한 상태에서 신하인 동생이 국왕인 형에게 왕비인 형수를 아내로 달라는 등의 비정상적인 무례와 불경을 수반하는 모습이라 상명하복적 위계가 엄격한 왕조 국가의 현실과 심각하게 괴리되는 내용이라고 볼수밖에 없지요 형사취수제의 일반적인 개념은 형수의 남편인 형의 사망을 전제로 하는 것이지요

  • 24.09.08 14:28

    @공실불 고대의 성풍습은 우리와 매우 다릅니다. 상명하복적 위계가 엄격하다고 단정하기도 어렵습니다. 개로왕이 왕비를 보내 준은 여러가지 의미가 있다고 해석해야 합니다. 비정상적인 무례와 불경. 조선시대라면 당연하겠지만, 삼국시대에는 다르게 받아들였을 것입니다. 형사취수제의 뜻이 형의 사망을 전제한 것이지만, 보다 넓은 의미의 공처(共妻) 개념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형수와 시동생 관계가 가장 예의를 차려야 하는 관계지만, 삼국시대에는 전혀 그렇지 않았습니다. 곤지의 사례가 백제에도 형사취수제가 시행되었을 것으로 볼 근거로 본 것입니다.

  • 작성자 24.09.09 07:47

    @김용만 고대의 성풍속이 조선시대 등 근세와 현재의 현대등 후대와 다른 면이 있다 해도 자기 부인과 연인에 대한 기본적인 소유욕은 인간 누구나 시대마다 다 동일한 법이어서 이 경우는 가족 형제간에도 예외가 되기 어려운 법이지요 곤지가 주군이자 형인 개로왕에게 형수인 왕비를 자기 아내로 달라고 하는 의미가 무엇일까요 개로왕의 왕비는 개로왕의 신하 신분인 곤지에게 자신의 상전이나 다를바 없는 법 한 국가의 국모인 왕비를 신하 신분인 자신의 아내로 삼겠다는건 국모 신분인 왕비의 법적 지위를 격하 시키는 것이나 다를바 없으므로 아무리 상명하복 위계가 근세 조선 중세 고려보다 약한 삼국시대라도 기본적인 위계에서는 이것이 허용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법이니까요 왕을 압도하는 권신이 아닌 이상

  • 작성자 24.09.09 08:30

    @김용만 백제는 중국과 많이 교류하여 기본적인 군신관계에 관한 유가와 법가 등 중국문화를 도입하여 기본적인 군신윤리
    알고 있는 국가이기에 일본서기의 곤지의 취수 기록은 이런 백제의 현실로 본다면 무리한 감이 있지 않을까 그리고
    곤지의 취수를 기록한 일본서기는 백제 당대의 기록이 아니고 후대 타국인 일본측의 기록이라 일본서기의 기록만 가지고 백제의 취수제가 공처제라고 단정짓기가 어렵고 백제 유민들에 의해 백제 자료 원본이 일본서기에 인용되어 곤지의 취수가 사실일 가능성이 있어도 그러나 부풀리기 윤색 인용 가능성이 있는 만큼 백제측 원전 자료와의 대조없이 곤지의 취수 기록을 사실로 보는건 신중해야 될것 같습니다 게다가 일본서기에 곤지의 취수와 비슷한 여러 사례가 없는 만큼 그 점도 고려해 봐야 될일이지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