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무제 즉위 후, 신료들에게 이런 말을 남겼다 합니다.
"만약 조선이 군사 20만을 내어 요동을 쳐들어 온다면, 막을 수 있겠는가?" 정도전이 조선 초, 요동을 노릴때 한 말입니다.
이를 뒤집어 본다면...'조선이 20만 이하로만 쳐들어 온다면 막을 수 있겠지?"라는 말이 되지 않겠습니까? 명 조정에서도 한창 건국 초 기세가 오른 조선의 군세에서 20만 정도만 아니라면 막을 수 있다고 보는데, 황혼의 제국 고려의 7만을 두려워 하였을까요?
물론 당시 명의 지휘체계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았지만, 각 군벌들(이렇게 번역해야 할 듯?)은 충분한 군사력을 갖추고 있었으며, 그때 명군의 사기는 드높았습니다. 이민족을 북쪽으로 몰아내고 한족의 북벌에 성공하여 통일을 눈앞에 둔 군대와, 농사철에 끌려나온 군대의 사기는 뻔하지 않습니까? 더구나 공격측의 사기가 더 드높아야 함은 당연한데...
그리고 고려군은 정예 기병이지 않았습니다.
고려군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좌군: 도통사 조민수 이하 3만 8천800명의 병졸과 말 2만 2천600필
우군: 도통사 이성계 이하 3만 9천명과 말 2만 7천 필.
요동의 명군은 대략 20여 만정도로 추정됩니다. 이중 요동으로 나올 고려군을 막을 수 있는 군대는 대략 10여만...또한 명군의 주력은 기병이니까...명군이 가진 기병전력은 절반인 5만...다만 방어측이므로 병참에 신경쓸 이유는 없겠죠.
위의 구성을 보면 병졸 8만, 말이 5만필이니 많아 보입니다만...
고려군이 진격을 거듭할 수록, 병참선은 길어집니다. 이에 대비하려면
병졸 한명에 말 2필이 따라 가야 합니다. 한 예로 고선지 장군이 서역을 정벌할때 병졸 한명에 말이 3필따라갔다는 기록을 본적이 있습니다. 그 밖에 잡역에 쓰일 말을 생각하면 실제 전투에 쓸 수 있는 병력은 약 6만명정도, 이중 기병은 2만 정도로 보입니다.
그 드넓은 요동을 이 정도 전투 병력으로 휘저을 수 있을지...그나마 오합지졸인데...
또한...이성계 자신이 장군 지용수와 함께 동녕부를 공격, 북진하여 일시적이었지만 요동을 점령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때도 사정이 여의치 않아 물러났죠. 이성계는 (위화도에서)아마 그때를 생각하며 이번에도 좋지 못할 거라고 생각했을 겁니다.
결론은...이래저래 좋은 조건은 아니었다는 겁니다...
--------------------- [원본 메세지] ---------------------
전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당시 몽골족이 세운 원은 대륙에서 완전히 밀려나지 않았읍니다. 여진족도 한족이 자신의 영역을 짓밟는것에 대해 분노하고 있었읍니다. 명의 경우 많은 군사를 확보하고는 있었지만, 아직 그통제체계가 일원화되지 못했기 때문에 요동지역에서 장기전을 치를 형편은 아니었읍니다
이에 비해 고려는 정예기병을 중심으로 장기전을 벌일 군사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후방의 안전을 각 지역에 주둔한 둔전병과 최영이 거느린 예비부대로써 충분이 감당할수 있었읍니다 또 왜구는 계속된 패배와 고려의 전시체제로 1380년 이후에는 주로 중국해안지역을 약탈대상으로 있었고
더구나 명의 내부에는 반란의 가능성이 일상적으로 남아있던 탓에 군대를 요동으로 동원할수도 없었읍니다. 1377년에 평정된 비주번 및 송주번이 완전히 안정되지 못했으므로 거기에도 늘 군대를 주둔시켜야 할 형편이었으며 탕화가 이끄는 군대는 왜구를 막는데 주력하고 있었으며 원나라도 힘이 약해지긴 했지만 여전히 명의 군사력을 분산시키고 있는 형편이었읍니다. 이런 상황에서 대부분이 정예기병인 고려의 4만대군이 요동을 공격했다면 명은 쉽게 감당할수 없엇을 것이며 장기전이 될 경우 요동이라는 지역은 주민의 구성상 명나라보다 고려에 훨씬 유리했읍니다
전투경혐이란 측면에서도 원과 명 그리고 왜구를 상대로 한 전투경험을 충분이 가지고 있었으므로 고려말 좌절된 요동정벌은 충분한 가능성이 잇었읍니다.물론 전쟁이란것이 군사력 경제력 지휘능력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어 잇으며 그 실체는 실전에서만 확인되는 것이지만 당시의 요동정벌은 무모하지도 않았으며 그실현성은 충분했다고 봅니다.
--------------------- [원본 메세지] ---------------------
전 무리 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당시에는 장마에다가
전염병까지 돌아 고려군사들의
사기가 바닥으로 내려갔었구.
심심찮게 왜구들의 침입 땜시
불리 했었던것 같습니다.
그리고 요동으로 갈려면 강을
건너야하는데 그강은 장마로 인해
물이 많이 불어나 있었기 때문에
고려군이 건너기엔 좋지않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최영장군이 잘못 생각
한것 같습니다.
--------------------- [원본 메세지] ---------------------
곡 한번 물어보고 싶은게 있는데여.
최영장군의 요동정벌에 대해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듣고 싶어영.
과연 최영장군의 요동정벌이 무리한 것이었을까여?
많은 사서에는 최영장군의 요동정벌이 무리한 것이 었다고 나오는데 진짜 그렇다고 생각하는지 알고 싶어영.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