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소고기 시장 수출량 감소
□ 호주산 소고기 수출량 변동 배경
○ 최근 3년간 가뭄으로 호주 현지 시장이 악화됨에 따라 호주산 소고기의 공급량이 감소하며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중국, 인도네시아, 중동 등지에서는 오히려 호주산 소고기 수입량을 늘리고 있어 물량확보에
어려움을 겪음
○ 특히 한국은 소고기 총 수출량의 11%인 15만톤을 수출중이지만 최근 공급량의 감소로 호주 소고기 시장에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측됨
○ 반면 미국산 소고기는 최근 3년간 안정적인 가격을 유지함에 따라 미국산 소고기의 수출량이 확대되며 한국 외에 중국과
인도네시아 또한 호주산 소고기 수입 증가세에 영향을 미침
□ 한국 소고기 시장 현황
○ 호주 소고기는 국내 수입 소고기 시장에서 50%가 넘는 높은 점유율을 보유하고, 미국산 소고기가 그 뒤를 이어 왔었지만
2003년 12월 이후 154개월만의 미국산 소고기가 호주산 소고기를 제치고 1등 수입국자리를 차지함

구분 | 미국산 소고기 | 호주산 소고기 |
수입량 | 1,3920.6 | 1,309.5 |
(단위: 톤)
2015년-2017년 수입소고기 연간 평균 소매가격 변화
구분 | 2015년 | 2016년 | 2017년(1/1~1/5) | 상승률(15년 대비 17년) |
미국산 갈비살 (냉장,100g) | 2,891 | 2,739 | 2.789 | -3.5 |
호주산 등심 (냉장, 100g) | 4,725 | 4,989 | 5,082 | 7.6 |
(단위: 원/%)
○ 국내 대형마트에서 수입하는 미국산 소고기의 비중도 늘어남에 따라 롯데마트가 수입한 소고기 중 미국 소고기의
비중은 2014년 전체 19.8%에서 2016년 32%로 증가한 추세
□ 호주산 소고기 시장의 전망 및 시사점
○ 한우 가격이 고공행진하며 호주산 소고기 수급에 문제가 생김에 따라 미국산 소고기 소비량은 계속해서 증가할 전망
○ 한국의 국내 소비 트랜드가 수입 소고기에 우호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미국산 소고기 소비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임
○ 산지가 한곳으로 편중되면 가격이 상승할 우려가 있으므로 유통업체들은 사전 계약 물량을 늘리거나 가공업체 등과
파트너십 또는 합작투자를 통해 가격을 안정화 시켜야 함
○ 세계적인 소고기 시장 확대 흐름에 따라 수입산 소고기에 밀려 한우 소비가 위축되지 않도록 우리 기업의 발빠른 대처가
요구됨
참조: 관세청 수출입 무역 통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외식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