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고혈압 방치하면 혈액투석 위험 높아져
- 혈액투석 환자의 3명중 2명 꼴로 당뇨병·고혈압 때문인 것으로 나타나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은 2009년부터 수행한 혈액투석 적정성평가 자료로 혈액투석 환자의 원인질환을 분석해 결과를 발표했다.
○ 정기적으로 외래를 찾아 혈액투석 하는 환자의 원인질환을 살펴본 결과전체 68.6%가 당뇨병·고혈압인 것으로 나타났다.
○ ’18년 혈액투석 평가대상 환자 31,238명 중 당뇨병이 12,749명(40.8%)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고혈압이 8,691명(27.8%)으로 많았다.
※당뇨병 (’09) 5,203명(36%)→(’18) 12,749명(40.8%), 고혈압 (’09) 3,850명(26.6%)→(’18) 8,691명(27.8%)
<혈액투석 환자 원인질환>
(단위: 명, %)
구분 원인질환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2009년 | 2010년 | 2012년 | 2013년 | 2015년 | 2018년 |
대상자 | 14,460(100) | 18,900(100) | 20,163(100) | 21,839(100) | 35,496(100) | 31,238(100) |
당뇨병 | 5,203(36.0) | 7,245(38.3) | 7,756(38.5) | 8,831(40.4) | 14,716(41.5) | 12,749(40.8) |
고혈압 | 3,850(26.6) | 5,002(26.5) | 5,452(27.0) | 5,906(27.0) | 9,530(26.8) | 8,691(27.8) |
※ 평가대상기간 중 동일요양기관 외래에서 혈액투석을 주2회(월8회)이상 실시한 만 18세 이상 환자(건강보험, 의료급여)
<출처; 심사평가원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보고서, 2018년>
<출처 : 심사평가원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보고서, 2018년>
□ 당뇨병과 고혈압을 관리하지 않아 혈당과 혈압이 기준치보다 높은 상태가 지속되면 콩팥의 작은 혈관이 손상돼, 결국 혈액 속 노폐물을 거르는 콩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만성 콩팥병에 이를 수 있다.
○ 만성 콩팥병이 말기신부전으로 악화되면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 등이 불가피하며, 그 중 혈액투석이 보편화 돼 있다.
○ 대한신장학회 김성남 보험법제이사는 “당뇨병으로 인한 투석환자는 다른 원인질환 환자에 비해 낮은 생존율을 보이므로,만성콩팥병을 예방하기 위해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한다”고 권했다.
□ 혈액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의 신장 기능을 대신하는 치료로, 환자 혈액 속의 노폐물과 수분을 인공 신장기를 이용해 제거해 주는 방법이다.
○혈액투석 환자는 주2~3회 이상 의료기관을 방문해 장기간 혈액투석을 하므로 투석을 하는 의료기관의 질이 매우 중요하다.
- 질 높은 기관에서 투석을 받아 관리하면 일상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고, 합병증으로 인한사망위험을 줄일 수 있다.
□ 심사평가원은 혈액투석 환자와 가족이 안전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를 실시해, 진료의 질적 수준을지속적으로측정하고 공개하고 있다.
○ 평가내용은 인공신장실의 인력·장비·시설, 혈액투석 환자의 혈관관리, 필수정기검사, 혈액투석 적절도, 무기질 관리, 빈혈관리 등 13개 항목이다.
○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는 평가지표별 결과를 종합 점수화하여 국민이 알기 쉽게 1~5등급으로 공개하고 있다.
- 최근 공개된 평가결과에서는 평가대상 의원 380개소 중 204개소(53.7%)가 1~2등급에 분포했다. (1등급 21개소, 2등급 183개소)
<평가등급별 종별현황> |
(단위: 개소, %) |
등급 | 전체 | 의원 | 요양병원 | 병원 | 종합병원 | 상급종합병원 |
총계 | 783 | (100) | 380 | (100) | 55 | (100) | 85 | (100) | 221 | (100) | 42 | (100) |
1등급 | 103 | (13.2) | 21 | (5.5) | 1 | (1.8) | 4 | (4.7) | 43 | (19.5) | 34 | (81.0) |
2등급 | 324 | (41.4) | 183 | (48.2) | 16 | (29.1) | 22 | (25.9) | 96 | (43.4) | 7 | (16.7) |
3등급 | 224 | (28.5) | 111 | (29.2) | 22 | (40.0) | 25 | (29.4) | 65 | (29.4) | 1 | (2.3) |
4등급 | 83 | (10.6) | 41 | (10.8) | 12 | (21.8) | 16 | (18.8) | 14 | (6.3) | - |
5등급 | 49 | (6.3) | 24 | (6.3) | 4 | (7.3) | 18 | (21.2) | 3 | (1.4) | - |
<출처 : 심사평가원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보고서, 2018년>
- 의원의 혈액투석 전문 의사, 2년 이상 경력직 간호사의 비율이 높아 1~2등급 기관 비율이 과반수이상으로 나타났고, 특히 혈액투석 경력을 가진 간호사의 비율은 의원이 가장 높았다.
<혈액투석을 전문으로 하는 의사 · 2년 이상 혈액투석 경력 간호사 비율 >
(단위: %)
전체 | 전체평균 | 의원 | 요양병원 | 병원 | 종합병원 | 상급종합병원 |
의사 | 75.0 | 79.8 | 39.7 | 52.3 | 86.4 | 99.2 |
간호사 | 73.7 | 78.5 | 69.1 | 67.4 | 69.9 | 73.8 |
<출처 : 심사평가원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보고서, 2018년>
□ 조미현 평가실장은 “심사평가원은 혈액투석 기관의 질적 수준을 최대한 반영해 평가하고자 노력하고 있고, 평가결과가 혈액투석 환자의 의료기관 선택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결과는 누리집*과 이동통신앱(건강정보)**을 통해 보다 자세히 확인할 수 있고, 7차 평가결과는(대상기간: 2020년 10월~2021년 3월 진료분) 오는 하반기에 공개 될 예정이다.
* 심사평가원 누리집(www.hira.or) > 병원·약국 > 병원평가정보 >혈액투석
** 심사평가원 이동통신 앱 ‘건강정보’ > 병원평가정보 > 혈액투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