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子曰 君子不器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군자는 한 가지 용도에 쓰이는 그릇이 아니다.”라고 하셨다. 器者, 各適其用而不能相通. 成德之士, 體無不具, 故用無不周, 非特爲一才一藝而已. 그릇이라는 것은 각자 그 용도에 맞을 뿐 서로 통용할 수 없다. 덕을 이룬 선비는 몸에 갖추지 않은 바가 없기에 쓰임에 주밀하지 않은 바가 없으니, 오직 한 가지 재주나 한 가지 기예를 행할 따름이 아닌 것이다.
程子曰 君子不器 無所不施也 若一才一藝 則器也 정자가 말하길, “君子不器란 베풀지 않는 바가 없다는 것이다. 만약 한 가지 재주나 한 가지 기예라면 이것이 바로 器이다.”라고 하였다.
朱子曰 君子才德出衆 德體也 才用也 亦具聖人之體用 但其體不如聖人之大 用不如聖人之妙耳 주자가 말하길, “군자는 재주와 덕이 출중한데, 덕은 體요, 재주는 用이니, 또한 聖人의 體와 用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다만 그 體는 성인처럼 크지 않고, 그 用은 성인의 오묘함과 같지 않을 따름이다.”라고 하였다. 君子不器 是不拘於一 所謂體無不具 人心元有這許多道理充足 若慣熟時 自然看要 如何無不周徧 如夷淸惠和 亦只做得一件事 君子不器란 어느 하나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것이고, 이른바 體에 갖춰지지 않은 것이 없다는 것은 사람의 마음에 원래부터 이러한 수많은 도리가 충족되어 있다는 것이다. 만약 습관이 들어 익숙한 때라면, 자연히 그 요체만 보게 되니, 어찌 두루 통하지 않음이 없겠는가? 예컨대 백이의 청렴함과 유하혜의 화합함이라면, 또한 그저 한 가지 일을 하는 것일 뿐이다. |
2 | 問君子不器 君子是何等人 曰 此通上下而言 是成德全才之君子 問子貢汝器也 喚做不是君子得否 曰子貢也是箇偏底 可貴而不可賤 宜於宗廟朝廷而不可退處 此子貢偏處 누군가 묻기를, “君子不器라 했는데, 군자란 어떠한 사람입니까?”라고 하였다. 말하길, “이것은 위아래를 통하여 말한 것인데, 덕을 이루고 재주를 온전하게 한 군자다.”라고 하였다. 누군가 묻기를, “‘자공, 너는 그릇이다.’라고 한 것은 군자가 아니라고 한 것으로 여길 수 있겠습니까?” 말하길, “자공도 역시 치우친 사람이다. 귀하게 여길만한 것이지 천하게 여겨서는 안 된다. 종묘와 조정에 적합해서, 벼슬에서 물러나 민간에 거처하는 것에는 불가하였다. 이것이 바로 자공이 치우친 부분이다.”라고 하였다.
南軒張氏曰 人之可以器言者 拘於才之有限者也 若君子 則進於德 進於德 則氣質變化而才有不器者矣 남헌장씨가 말하길, “사람 중에 器로써 말할 수 있는 자는 재주의 유한함에 얽매인 자다. 만약 군자라면 덕에 나아간 사람이니, 덕에 나아갔다면 기질이 변화하여 재주에 특정한 재주에 국한되지 않는 자일 것이다.”라고 하였다.
勉齋黃氏曰 各適其用不能相通 以物言 舟之不可爲車之類也 以人言 優爲趙魏老 不可以爲滕薛大夫 是也 用無不周 見君子之不器 體無不具 原君子之所以不器也 면재황씨가 말하길, “각자 자기 用에 적합하여 서로 통용할 수 없다는 것은 사물을 가지고 말한 것이니, 배는 수레가 될 수 없다는 것과 같은 종류다. 사람을 가지고 말하자면, 넉넉하게 趙씨나 魏씨의 家老가 될 수는 있지만, 등나라나 설나라의 대부가 될 수는 없다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用에 두루 통하지 않음이 없음으로, 군자의 어느 특정한 재주에 국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體에 갖추어지지 않음이 없는 것은 군자가 不器한 까닭에 그 근원을 두고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雲峯胡氏曰 士君子之心虛 有以具衆理 是其體本無不具也 其心之靈 足以應萬事 是其用可以無不周也 格致誠正修齊治平 有以充此心之體而擴此心之用 所以不器 故凡局於器者 氣質之分量小 士君子之不器者 學問之功效大也 운봉호씨가 말하길, “선비인 군자의 마음은 비어 있어서, 온갖 이치를 갖출 수 있으니, 이는 그 體에 본래 갖추어지지 않은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 마음의 영험함은 만사에 대응하기에 충분한 것이니, 이는 그 用에 두루 통하지 않음이 없기 때문이다. 格物致知와 誠意正心, 修身齊家와 治國平天下는 이 마음의 體를 충족시키고 이 마음의 用을 확장할 수 있으니, 이 때문에 특정한 재주에 국한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릇 器에 국한되는 것은 기질의 분량이 작은 것이고, 士君子가 不器한 것은 학문의 공효가 크기 때문인 것이다.”라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