孫(손) ①후손(後孫). ②성(姓)의 하나 孫臏(손빈) 중국(中國) 전국(戰國) 시대(時代) 제(齊)나라의 병법가. 손무(孫武)의 후손(後孫). 귀곡 선생(鬼谷先生)에게서 신비(神秘)한 병법을 배워 기원(紀元) 전(前) 367년(年) 경(頃) 위(魏)나라 군사(軍士)를 계릉(桂陵)에서 크게 이기고, 기원(紀元) 전(前) 353년 조(趙)나라를 도와 위(魏)나라 군사(軍士)를 재차 하남 대량(河南大樑)에서 격파(擊破)하여 명성(名聲)이 높았음 孫康(손강) 중국(中國) 진(秦)나라 때의 학자(學者). 섬서(陝西) 사람. 집이 가난하여 불을 켤 기름을 사지 못하고, 겨울밤에 창을 열어 눈빛으로 책을 읽고 공부(工夫)에 힘써 뒤에 벼슬이 어사 대부(御史臺夫)까지 이르렀음. 차윤(車胤)과 아울러 형설(螢雪)의 공(功)의 옛 일로 유명(有名)함 孫康映雪(손강영설) 중국(中國) 진(秦)나라 때 학자(學者) 孫康(손강)의 집이 몹시 가난하여 등유(燈油)를 살 수 없어서 겨울밤에 눈빛으로 공부(工夫)하였다는 고사, 螢雪之功(형설지공)을 이르는 말 孫堅(손견) 중국(中國) 후한(後漢) 말기(末期)의 무장(武將). 삼국(三國) 시대(時代)의 오주(吳主) 손권(孫權)의 아버지. 황 건(黃巾)의 난을 진압(鎭壓)하여 군웅(群雄)과 정권(政權)을 다투다가 전사했음. 아들 손권(孫權)이 오(吳)나라를 세우는 터전을 닦았음. 한(漢)나라의 영제(靈制)에 의(依)하여 장사 태수(長沙太守)에 임명(任命)됨 孫京山(손경산) 속성은 손(孫), 불명(佛名)은 경산(京山), 법호는 학월(鶴月). 1936년 금강산(金剛山) 유점사에서 득도. 1945년 7월 부산(釜山) 범어사에서 보살계ㆍ비구계를 수지, 1972년 동화사 주지. 1974년 한국(韓國) 종교(宗敎) 협의회(協議會) 회장, 1979년 조계종 총무원장 등(等)을 지냈음. 종단(宗團) 정화에 앞장서 통합(統合) 종단을 이루는 산파역을 맡은 정화의 기수 구실을 했음 孫卿(손경) 순자(荀子) 孫科(손과) 중국(中國) 정치가(政治家). 손 물(孫文)의 장남(長男). 부친(父親) 밑에서 혁명(革命)을 도왔으며, 뒤에 국민당(國民黨) 우파에 속하여, 남경 정부(政府)의 행정(行政) 원장, 입법 원장을 지냈음. 전후(戰後) 행정(行政) 원장을 지냄 孫過庭(손과정) 중국(中國) 당(唐)나라 때의 서도가(書道家). 자는 건례(虔禮). 부양(富陽) 사람. 왕 희지 (王羲之)ㆍ왕 헌지(王獻之) 부자(父子)의 서법(書法)을 배워 초서(草書)에 능(能)하였음. 687년에 편찬(編纂)한 자필의 『서보(書譜)』 2권은 명저(名著)로 알려짐 孫君澤(손군택) 13세기(世紀) 전반의 중국(中國) 원(元)나라의 화가(畵家). 절강성(浙江省) 항주(抗州) 사람. 마원의 군도 법과 하규(夏珪)의 필법을 배우고 형식적(形式的)인 구도(構圖)나 필법으로 산수와 인물(人物)을 웅대(雄大)하고 교묘(巧妙)하게 그렸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