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향전(金仁香傳)/작자 미상
이 작품은 계모(繼母)에 의해 죽임을 당한 원혼(冤魂)이 부사(府使)의 도움으로 한(恨)을 푸는 내용으로 되어 있어〈장화홍련전〉의 모작(模作)으로 볼 수 있다. 약혼자가 찾아와 영약(靈藥)을 뿌려 다시 살려낸다는 점과 끝 부분을 '행복한 결말'(해피엔딩)로 바꾸었다는 점이 다르다. 계모를 미인으로 설정함으로써 가장이 자식보다는 후처에 혹하게 되는 과정이 설득력을 갖는데 이 점은 다른 계모박해형 소설에서는 드문 특징이다.
[줄거리]
태종 때 평안도 안주성에 살던 좌수 김석곡(金石谷)의 후처 정씨(鄭氏)는 전실 소생의 아들 인형(仁亨)과 딸 인향(仁香)․인함(仁咸)을 몹시 구박한다. 자신의 소생을 갖게 되어 인향 남매를 아주 없애버릴 흉계를 품은 정씨는 간악한 노파의 꾀를 빌려 인향이 처녀의 몸으로 외간남자와 정을 통해 임신한 것으로 꾸민다.
이에 아버지는 분노하여 인형을 시켜 인향을 죽이게 한다. 인향은 못에 빠져 죽고 동생 인함도 뒤따라 목매어 죽는다. 두 딸을 잃은 아버지는 상심하여 죽고, 고아가 된 인형은 외가에 의탁한다.
한편 안주부사의 공청에 인향자매의 원혼이 나타나 억울함을 호소하나, 부사들은 계속 놀라 죽고, 마을에는 흉년이 들어 안주읍이 거의 폐읍이 될 지경이 된다. 이에 조정에서는 김두룡(金斗龍)을 부사로 보낸다.
그는 인향 자매의 원귀를 만나서 사실을 알아내어 정씨와 노파를 처형한 다음, 인향 형제의 위령제를 지내준다. 한편, 과거에 급제하여 한림학사가 된 인향의 약혼자 유성윤(柳成允)이 인향의 몽중암시로 그녀의 무덤을 파고, 아직 썩지 않은 인향 자매의 시체에 영약을 뿌려 회생시킨다. 인형과 인향 자매가 다시 상봉하고 인향은 드디어 유한림과 혼인한다.
● 태종 때 평안도 안주의 김석곡(金石谷) 좌수는 부인 왕씨와의 사이에 아들 인형과 딸 인향, 인함을 낳는다. 왕씨 부인이 병을 얻어 죽자 재취 정씨를 얻었으나 성품이 간교하여 걸인 노파와 짜고 인향에게 돌메밀떡을 먹여 잉태한 것처럼 꾸미려 인향을 목화밭으로 유인하여 떡을 먹인다. 인향은 유진위의 아들 성윤이 청혼하므로 허혼하지만 정씨와 노파가 인향이 잉태했다는 소문을 퍼트리고 간부의 편지를 거짓으로 만들어 김 좌수에게 보내 화가 난 김 좌수는 아들 인형에게 인향을 심천동 연못에 넣고 오라고 하지만 오라비는 떠나라고 한다. 그러나 인향은 못에 투신자살하고 꿈에 나타난 인향을 보고 인함이 무덤을 찾아가서 관을 헤쳐 인향의 치마끈에 목을 매어 죽는다. 인형은 인향의 유서를 박천 외조모 댁에 전한다.
인향이 죽은 지 반 년 후부터 귀신의 곡성이 들리고 관장이 오는 즉시 죽는 일이 발생하며, 마을은 흉년이 들어 안주읍은 거의 폐읍이 될 지경에 이른다. 이에 조정에서는 김두룡(金斗龍)을 부사로 보낸다. 그는 인향 자매의 원귀를 만나서 사실을 알아내어 정씨와 노파를 처형한 다음, 인향 형제의 위령제를 지내준다.
한편, 과거에 급제하여 한림학사가 된 인향의 약혼자 유성윤(柳成允)이 인향의 몽중 암시로 그녀의 무덤을 파고, 아직 썩지 않은 인향 자매의 시체에 회생수를 뿌려 회생시킨다. 인형과 인향 자매가 다시 상봉하고 인향은 드디어 유한림과 혼인한다. 유한림 부부는 부귀 영화를 누렸다.
[구성 단계]
● 발단 : 인형, 인향, 인함 세 남매가 김 좌수와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는데, 생모인 양씨가 죽자 후처로 정씨가 들어온다.
● 전개 : 삼 남매에 대한 후처 정씨의 구박은 점점 심해지고, 마침내 결혼을 앞둔 인향을 모함하기로 음모를 꾸민다.
● 위기 : 정씨는 인향을 부정한 여인으로 모함하고, 정씨의 말만 들은 김 좌수는 화가 나서 아들 인형으로 하여금 인향을 죽이라고 명령을 한다. 결국 인향은 죽고, 뒤를 따라 인함도 죽는다.
● 절정 : 자매의 원혼이 나타나 억울함을 호소하나 마을 부사들은 계속 놀라서 죽고, 마을에는 흉년이 든다. 조정에서는 김두룡을 부사로 보내 정씨의 흉계를 밝혀 원혼을 위로한다.
● 결말 : 과거에 급제한 인향의 약혼자 유성윤이 인향의 몽중 암시로 인향 자매를 회생시킨다. 인향과 인함 자매가 다시 상봉하고 인향은 유성윤과 혼인한다
[핵심 정리]
▶ 갈래 : 한글소설, 가정소설, '장화홍련전'의 모작
▶ 특징 : <장화홍련전〉의 모작으로 볼 수 있지만 약혼자가 찾아와 영약을 뿌려 다시 살려낸다는 점과 끝 부분을 '행복한 결말'(해피엔딩)로 바꾸었다는 점이 다르다. 계모를 미인으로 설정함으로써 가장이 자식보다는 후처에 혹하게 되는 과정이 설득력을 갖는데 이 점은 다른 계모박해형 소설에서는 드문 특징이다.
● 주제 : 계모의 학대로 인한 가정의 비극과 권선징악(勸善懲惡)
[이해 및 감상]
이 소설은 작자 미상의 가정 소설로, 계모가 전처 소생을 학대하는 ‘장화홍련전’과 그 구조가 매우 유사하다. 하지만 ‘장화홍련전’에 비해 봉건적 가치관이 크게 약화되어 있고 문체도 신소설에 상당히 근접해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후대의 저작으로 추정된다. <장화홍련전〉의 경우 계모의 학대는 경제적 욕망과 남편과 전실 자식에 대한 소외감에서 비롯된다. 반면〈김인향전〉에서는 전적으로 계모의 성격적 결함에서 학대가 시작된다. 이런 면에서〈장화홍련전〉에서 보이던 문제의식과 현실감각이 둔화되고, 계모는 악하고 전실 자식은 선하다는 통념에 지배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김인향전〉은 계모의 학대로 죽은 주인공이 재생하는 전기소설적 구조를 지니고 있는 점이나, 인향의 죽음과 재생을 이끄는 결연 관계가 나타나는 점, 그리고 인향의 죽음이 누명을 벗기 위해 스스로 선택한 것이라는 점 등에서 〈장화홍련전〉과 차별성을 가진다. 게다가, 다른 계모형 소설에서는 계모의 얼굴을 거의 박색으로 그리는 반면 여기서는 계모를 미인으로 표현한 점에서 현실성을 획득하고 있다. 또 〈김인향전〉에서 비극성이 한층 고조된다는 주장도 있다.
인향의 아버지가 인향과 인함의 죽음을 보고 실성하여 통곡하다가 병들어 죽는 장면이나 인향이 친오라비 인형의 인도로 연못에 빠져 죽는 대목에서 감상적인 분위기가 한층 두드러진다는 견해이다.
첫댓글 안방에서 전국의 꾼들과 섯다의 짜릿함!
http://imb85.net
승부사들의 진정한 한판 승부! “ 화투 “
회원가입만 하셔도 5000원의 무료머니를 드립니다
귀찮은 다운로드 이제그만,웹에서 바로 즐기는 화투!
http://imb85.net
국내 최다 회원보유 고객만족도1위!!!
화투의 짜릿한 손맛을 즐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