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진 ianhan@hanmail.net
철도회사의 궁극적인 상품이라고 할 수 있는
열차운전계획을 하나의 도표로 나타내주는 것이
열차 다이어그램입니다.
다이어그램은 숫자중심의 열차시각표와 달리, 도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읽는데 익숙해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글에서, 읽는 방법과 패턴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윗그림) 열차다이어그램은 x축 시간, y축 거리로 놓고, 열차의 경로를 직선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물론 실제 운전에서는 속도가 일정하지는 않으니, 직선이 되지는 않으나, 단순화시킨 것입니다.
기울기가 급할 수록 단위시간 동안 많은 거리를 간것이니 기울기가 급한 것일수록 급행열차, 고속열차라는 뜻입니다.

(윗그림) 기울기가 0이 되는 부분은 시간은 흘러가는데, 열차는 그대로 있다는 뜻이니
열차가 정지했다는 뜻입니다. 보통 역에서 이렇게 정지를 합니다.

(윗그림) 시간축에서 왼쪽은 앞선시간(과거)입니다. 검은 열차가 천천히 달리고 있었는데
시간적으로 우측에 있는 파란 열차가 빠르게 다가오고 있는 형태입니다.
이대로 계속되면 파란 빠른 열차가 검은 느린 열차의 뒤에서 검은 느린열차를 들이받게 됩니다.

(윗그림) 먼저번과 같은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검은 느린열차가 파란 빠른 열차를 대피해야 합니다.
(반대로 말하면, 파란 빠른 열차가 검은 느린열차를 추월해야 합니다)
윗 다이어그램을 보면, 검은색 열차가 역에서 정지를 하고 있는데, 파란색의 더 빠른 열차가 지나갑니다.
특히 아래쪽에서는 시간축상에서 검은선이 왼쪽(과거)에 있었으므로, 검은열차가 먼저 달리던 차였는데
위쪽에서는 파란선이 왼쪽으로 가게 되므로, 파란열차가 먼저 달리게 됩니다.
즉 후행 고속열차가 선행 저속열차를 역에서 통과하며 추월한 것이 됩니다.

(윗그림) 먼저번과 비슷하지만 이번에는 급행열차인 파란열차도 역에서 정차를 합니다.
중요한 점은 완행이 먼저 도착한후, 나중에 출발한다는 점입니다.
때문에 한 선로에서 완행, 급행을 함께 운영하게 되면, 완행이 대피를 할 경우, 정차 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급행의 정차 시간 앞뒤에 안전시간을 두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윗그림) 이것은 검은 완행과 파란 급행이 겹쳐지는 모습입니다.
한쪽 방향의 선로가 하나라면 이는 추돌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같은 방향의 선로가 2개 (2복선) 있거나,
(예: 경인선 완행선과 경인선 급행선에서 완급열차를 한꺼번에 그리면 위와 같이 될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한쪽방향 선로가 1개인데, 일부 구간만 2개인 경우에는 이러한 추월이 가능합니다.
한우진 ianhan@hanmail.net
[다음 시간에 계속]
첫댓글 좋은글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