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 분석의 짧은 경 M135 5. Cūḷakammavibhaṅgasuttaṃ [subhasuttantipi vuccati]
289. Evaṃ me sutaṃ – ekaṃ samayaṃ bhagavā sāvatthiyaṃ viharati jetavane, anāthapiṇḍikassa ārāme.
Atha kho subho māṇavo todeyyaputt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tā saddhiṃ sammodi.
Sammodanīyaṃ kathaṃ sāraṇīyaṃ vītisāretvā ekamantaṃ nisīdi.
Ekamantaṃ nisinno kho subho māṇavo todeyyaputto bhagavantaṃ etadavoca –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사왓티에서 제따 숲의 아나타삔디까 원림(급고독원)에 머무셨다.
2. 그때 또데야의 아들 수바 바라문 학도가 세존을 뵈러 갔다.
세존을 뵙고 세존과 환담을 나누었다.
유쾌하고 기억할만한 이야기로 서로 담소를 하고서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아서 또데야의 아들인 수바 바라문 학도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Ko nu kho, bho gotama, hetu ko paccayo
yena manussānaṃyeva sataṃ manussabhūtānaṃ dissanti hīnappaṇītatā?
Dissanti hi, bho gotama, manussā appāyukā, dissanti dīghāyukā;
dissanti bavhābādhā [bahvābādhā (syā. kaṃ. ka.)], dissanti appābādhā;
dissanti dubbaṇṇā, dissanti vaṇṇavanto; dissanti appesakkhā, dissanti mahesakkhā;
dissanti appabhogā, dissanti mahābhogā; dissanti nīcakulīnā, dissanti uccākulīnā;
dissanti duppaññā, dissanti paññavanto [paññāvanto (sī. pī.)].
3. "고따마 존자시여, 어떤 원인과 어떤 조건 때문에
[같은] 인간으로서 천박한 사람들도 있고 고귀한 사람들도 있습니까?
고따마 존자시여, 수명이 짧은 사람들도 있고 수명이 긴 사람들도 있으며,
병약한 사람들도 있고 건강한 사람들도 있으며,
못생긴 사람들도 있고 잘 생긴 사람들도 있으며,
세력이 없는 사람들도 있고 세력이 있는 사람들도 있으며,
가난한 사람들도 있고 부유한 사람들도 있으며,
낮은 가문의 사람들도 있고 높은 가문의 사람들도 있으며,
통찰지가 없는 사람들도 있고 통찰지를 갖춘 사람들도 있습니다.
Ko nu kho, bho gotama, hetu ko paccayo
yena manussānaṃyeva sataṃ manussabhūtānaṃ dissanti hīnappaṇītatā’’ti?
고따마 존자시여, 어떤 원인과 어떤 조건 때문에
[같은] 인간으로서 천박한 사람들도 있고 고귀한 사람들도 있습니까?"
‘‘Kammassakā, māṇava, sattā kammadāyādā kammayonī kammabandhū
[kammayoni kammabandhu (sī.)] kammappaṭisaraṇā.
Kammaṃ satte vibhajati yadidaṃ – hīnappaṇītatāyāti.
4. "바라문 학도여, 중생들은 업이 바로 그들의 주인이고, 업의 상속자이고,
업에서 태어났고, 업이 그들의 권속이고, 업이 그들의 의지처이다.
업이 중생들을 구분 지어서 천박하고 고귀하게 만든다."
Na kho ahaṃ imassa bhoto gotamassa saṃkhittena bhāsitassa vitthārena atthaṃ avibhattassa
vitthārena atthaṃ ājānāmi.
Sādhu me bhavaṃ gotamo tathā dhammaṃ desetu
yathā ahaṃ imassa bhoto gotamassa saṃkhittena bhāsitassa vitthārena atthaṃ avibhattassa
vitthārena atthaṃ ājāneyya’’nti.
"저는 고따마 존자께서 간략하게 설하시고 상세하게 그 뜻을 분석해 주시지 않으시니
상세하게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고따마 존자께서는 간략하게 설하시고 상세하게 분석해 주시지 않은 그 뜻을
제가 상세하게 이해되도록 법을 설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90. ‘‘Tena hi, māṇava, suṇāhi, sādhukaṃ manasi karohi; bhāsissāmī’’ti.
‘‘Evaṃ, bho’’ti kho subho māṇavo todeyyaputto bhagavato paccassosi.
Bhagavā etadavoca –
"바라문 학도여, 그렇다면 들어라. 듣고 마음에 잘 잡도리하라. 이제 설하리라."
"그러겠습니다, 존자시여."라고 또데야의 아들인 수바 바라문 학도는 세존께 대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Idha, māṇava, ekacco itthī vā puriso vā pāṇātipātī hoti
luddo lohitapāṇi hatapahate niviṭṭho adayāpanno pāṇabhūtesu [sabbapāṇabhūtesu (sī. ka.)].
So tena kammena evaṃ samattena evaṃ samādinnena [samādiṇṇena (pī. k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jjati.
No c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jjati,
sace manussattaṃ āgacchati yattha yattha paccājāyati appāyuko hoti.
Appāyukasaṃvattanikā esā, māṇava, paṭipadā yadidaṃ – pāṇātipātī hoti
luddo lohitapāṇi hatapahate niviṭṭho adayāpanno pāṇabhūtesu.
5. "바라문 학도여, 여기 어떤 여자나 남자는 살아있는 생명을 죽인다.
그는 잔인하고 손에 피를 묻히고 살해와 파괴를 일삼고 뭇 생명들에게 자비가 없다.
그는 이런 업을 짓고 완성하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처참한 곳[苦界], 불행한 곳[惡處], 파멸처, 지옥에 태어난다.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처참한 곳[苦界], 불행한 곳[惡處], 파멸처, 지옥에 태어나지 않고
만일 인간으로 온다면 어떤 곳에 태어나더라도 그의 수명은 짧다.
바라문 학도여, 살아있는 생명을 죽이고 잔인하고 손에 피를 묻히고 살해와 파괴를 일삼고
뭇 생명들에게 자비가 없는 행위는 수명을 짧게 하는 길이다."
‘‘Idha pana, māṇava, ekacco itthī vā puriso vā pāṇātipātaṃ pahāya pāṇātipātā paṭivirato hoti
nihitadaṇḍo nihitasattho, lajjī dayāpanno sabbapāṇabhūtahitānukampī viharati.
So tena kammena evaṃ samattena evaṃ samādinnen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ati.
No c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ati,
sace manussattaṃ āgacchati yattha yattha paccājāyati dīghāyuko hoti.
Dīghāyukasaṃvattanikā esā, māṇava, paṭipadā yadidaṃ – pāṇātipātaṃ pahāya pāṇātipātā paṭivirato hoti
nihitadaṇḍo nihitasattho, lajjī dayāpanno sabbapāṇabhūtahitānukampī viharati.
6. "바라문 학도여, 여기 어떤 여자나 남자는
살아있는 생명을 죽이는 것을 버리고, 생명을 죽이는 것을 멀리 여읜다.
몽둥이를 내려놓고 칼을 내려놓는다.
양심적이고 동정심이 있으며 모든 생명의 이익을 위하여 연민하여 머문다.
그는 이런 업을 짓고 완성하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좋은 곳, 천상에 생겨난다.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좋은 곳, 천상에 태어나지 않고
만일 인간으로 온다면 어떤 곳에 태어나더라도 그의 수명은 길다.
바라문 학도여, 살아있는 생명을 죽이는 것을 버리고, 생명을 죽이는 것을 멀리 여의며
몽둥이를 내려놓고 칼을 내려놓으며, 양심적이고 동정심이 있으며
모든 생명의 이익을 위하여 연민하여 머무는 행위는 수명을 길게 하는 길이다."
291. ‘‘Idha, māṇava, ekacco itthī vā puriso vā sattānaṃ viheṭhakajātiko hoti,
pāṇinā vā leḍḍunā vā daṇḍena vā satthena vā.
So tena kammena evaṃ samattena evaṃ samādinnen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jjati.
No c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jjati,
sace manussattaṃ āgacchati yattha yattha paccājāyati bavhābādho hoti.
Bavhābādhasaṃvattanikā esā, māṇava, paṭipadā yadidaṃ – sattānaṃ viheṭhakajātiko hoti
pāṇinā vā leḍḍunā vā daṇḍena vā satthena vā.
7. "바라문 학도여, 여기 어떤 여자나 남자는 손이나 흙덩이나 막대기나 칼로써 중생들을 해코지한다.
그는 이런 업을 짓고 완성하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처참한 곳[苦界], 불행한 곳[惡處], 파멸처, 지옥에 태어난다.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처참한 곳[苦界], 불행한 곳[惡處], 파멸처, 지옥에 태어나지 않고
만일 인간으로 온다면 어떤 곳에 태어나더라도 그는 병이 많다.
바라문 학도여, 손이나 흙덩이나 막대기나 칼로써 중생들을 해코지하는 행위는 병약하게 하는 길이다."
‘‘Idha pana, māṇava, ekacco itthī vā puriso vā sattānaṃ aviheṭhakajātiko hoti
pāṇinā vā leḍḍunā vā daṇḍena vā satthena vā.
So tena kammena evaṃ samattena evaṃ samādinnen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ati.
No c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ati,
sace manussattaṃ āgacchati yattha yattha paccājāyati appābādho hoti.
Appābādhasaṃvattanikā esā, māṇava, paṭipadā yadidaṃ – sattānaṃ aviheṭhakajātiko hoti
pāṇinā vā leḍḍunā vā daṇḍena vā satthena vā.
8. "바라문 학도여, 여기 어떤 여자나 남자는 손이나 흙덩이나 막대기나 칼로써 중생들을 해코지하지 않는다.
그는 이런 업을 짓고 완성하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 … 천상에 태어나지 않고
만일 인간으로 온다면 어떤 곳에 태어나더라도 그는 건강하다.
바라문 학도여, 손이나 흙덩이나 막대기나 칼로써 중생들을 해코지하지 않는 행위는 건강하게 하는 길이다."
292. ‘‘Idha, māṇava, ekacco itthī vā puriso vā kodhano hoti upāyāsabahulo.
Appampi vutto samāno abhisajjati kuppati byāpajjati patiṭṭhīyati kopañca dosañca appaccayañca pātukaroti.
So tena kammena evaṃ samattena evaṃ samādinnen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jjati.
No c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jjati,
sace manussattaṃ āgacchati yattha yattha paccājāyati dubbaṇṇo hoti.
Dubbaṇṇasaṃvattanikā esā, māṇava, paṭipadā yadidaṃ – kodhano hoti upāyāsabahulo;
appampi vutto samāno abhisajjati kuppati byāpajjati patiṭṭhīyati kopañca dosañca appaccayañca pātukaroti.
9. "바라문 학도여, 여기 어떤 여자나 남자는 성을 잘 내고 성미가 급하다.
사소한 비난에도 노여워하고 화를 내고 분노하고 분개한다. 분노와 성냄과 불만족을 드러낸다.
그는 이런 업을 짓고 완성하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 … 지옥에 태어나지 않고
만일 인간으로 온다면 어떤 곳에 태어나더라도 그는 못생기게 된다.
바라문 학도여, 성을 잘 내고 성미가 급하며 사소한 비난에도 노여워하고 화를 내고 분노하고 분개한며
분노와 성냄과 불만족을 드러내는 행위는 못생기게 하는 길이다."
‘‘Idha pana, māṇava, ekacco itthī vā puriso vā akkodhano hoti anupāyāsabahulo;
bahumpi vutto samāno nābhisajjati na kuppati na byāpajjati na patiṭṭhīyati
na kopañca dosañca appaccayañca pātukaroti.
So tena kammena evaṃ samattena evaṃ samādinnen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ati.
No c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ati,
sace manussattaṃ āgacchati yattha yattha paccājāyati pāsādiko hoti.
Pāsādikasaṃvattanikā esā, māṇava, paṭipadā yadidaṃ – akkodhano hoti anupāyāsabahulo;
bahumpi vutto samāno nābhisajjati na kuppati na byāpajjati na patiṭṭhīyati
na kopañca dosañca appaccayañca pātukaroti.
10. "바라문 학도여, 여기 어떤 여자나 남자는 성을 잘 내지 않고 성미가 급하지 않다.
많은 비난에도 노여워하지 않고 화내지 않고 분노하지 않고 분개하지 않는다.
분노와 성냄과 불만족을 드러내지 않는다.
그는 이런 업을 짓고 완성하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 … 천상에 태어나지 않고
만일 인간으로 온다면 어떤 곳에 태어나더라도 그는 잘생기게 된다.
바라문 학도여, 성을 잘 내지 않고 성미가 급하지 않아 많은 비난에도 노여워하고
화내지 않고 분노하지 않고 분개하지 않으며
분노와 성냄과 불만족을 드러내지 않는 행위는 잘생기게 하는 길이다."
293. ‘‘Idha, māṇava, ekacco itthī vā puriso vā issāmanako hoti;
paralābhasakkāragarukāramānanavandanapūjanāsu issati upadussati issaṃ bandhati.
So tena kammena evaṃ samattena evaṃ samādinnen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jjati.
No c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jjati,
sace manussattaṃ āgacchati yattha yattha paccājāyati appesakkho hoti.
Appesakkhasaṃvattanikā esā, māṇava, paṭipadā yadidaṃ – issāmanako hoti;
paralābhasakkāragarukāramānanavandanapūjanāsu issati upadussati issaṃ bandhati.
11. "바라문 학도여, 여기 어떤 여자나 남자는 질투가 심하여
다른 사람이 얻은 이득과 환대와 존중과 존경과 칭송과 예경을 질투하고 시샘하여 질투심에 묶여버린다.
그는 이런 업을 짓고 완성하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 … 지옥에 태어나지 않고
만일 인간으로 온다면 어떤 곳에 태어나더라도 그는 세력이 없다.
바라문 학도여, 질투가 심하여 다른 사람이 얻은 이득과 환대와 존중과 존경과 칭송과 예경을 질투하고
시샘하여 질투심에 묶여버리는 행위는 세력을 없게 하는 길이다."
‘‘Idha pana, māṇava, ekacco itthī vā puriso vā anissāmanako hoti;
paralābhasakkāragarukāramānanavandanapūjanāsu na issati na upadussati na issaṃ bandhati.
So tena kammena evaṃ samattena evaṃ samādinnen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ati.
No c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ati,
sace manussattaṃ āgacchati yattha yattha paccājāyati mahesakkho hoti.
Mahesakkhasaṃvattanikā esā, māṇava , paṭipadā yadidaṃ – anissāmanako hoti;
paralābhasakkāragarukāramānanavandanapūjanāsu na issati na upadussati na issaṃ bandhati.
12. "바라문 학도여, 여기 어떤 여자나 남자는 질투를 하지 않아서 다른 사람이 얻은
이득과 환대와 존중과 존경과 칭송과 예경을 질투하지 않고 시샘하지 않으며 질투심에 묶이지 않는다.
그는 이런 업을 짓고 완성하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 … 천상에 태어나지 않고
만일 인간으로 온다면 어떤 곳에 태어나더라도 그는 세력이 있다.
바라문 학도여, 질투를 하지 않아서 다른 사람이 얻은 이득과 환대와 존중과 존경과 칭송과 예경을
질투하지 않고 시샘하지 않으며 질투심에 묶이지 않는 행위는 세력을 있게 하는 길이다."
294. ‘‘Idha, māṇava, ekacco itthī vā puriso vā na dātā hoti samaṇassa vā brāhmaṇassa vā
annaṃ pānaṃ vatthaṃ yānaṃ mālāgandhavilepanaṃ seyyāvasathapadīpeyyaṃ.
So tena kammena evaṃ samattena evaṃ samādinnen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jjati.
No c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jjati,
sace manussattaṃ āgacchati yattha yattha paccājāyati appabhogo hoti.
Appabhogasaṃvattanikā esā, māṇava, paṭipadā yadidaṃ – na dātā hoti samaṇassa vā brāhmaṇassa vā
annaṃ pānaṃ vatthaṃ yānaṃ mālāgandhavilepanaṃ seyyāvasathapadīpeyyaṃ.
13. "바라문 학도여, 여기 어떤 여자나 남자는 사문과 바라문에게
음식과 음료와 탈것과 화환과 향과 연고와 침상과 거처와 등불을 보시하지 않는다.
그는 이런 업을 짓고 완성하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 … 지옥에 태어나지 않고
만일 인간으로 온다면 어떤 곳에 태어나더라도 그는 가난하다.
바라문 학도여, 사문과 바라문에게 음식과 음료와 탈것과 화환과 향과 연고와 침상과 거처와 등불을
보시하지 않는 행위는 가난하게 하는 길이다."
‘‘Idha pana, māṇava, ekacco itthī vā puriso vā dātā hoti samaṇassa vā brāhmaṇassa vā
annaṃ pānaṃ vatthaṃ yānaṃ mālāgandhavilepanaṃ seyyāvasathapadīpeyyaṃ.
So tena kammena evaṃ samattena evaṃ samādinnen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ati.
No c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ati,
sace manussattaṃ āgacchati yattha yattha paccājāyati mahābhogo hoti.
Mahābhogasaṃvattanikā esā, māṇava, paṭipadā yadidaṃ – dātā hoti samaṇassa vā brāhmaṇassa vā
annaṃ pānaṃ vatthaṃ yānaṃ mālāgandhavilepanaṃ seyyāvasathapadīpeyyaṃ.
14. "바라문 학도여, 여기 어떤 여자나 남자는 사문과 바라문에게
음식과 음료와 탈것과 화환과 향과 연고와 침상과 거처와 등불을 보시한다.
그는 이런 업을 짓고 완성하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 … 천상에 태어나지 않고
만일 인간으로 온다면 어떤 곳에 태어나더라도 그는 부유하다.
바라문 학도여, 사문과 바라문에게 음식과 음료와 탈것과 화환과 향과 연고와 침상과 거처와 등불을
보시하는 행위는 부유하게 하는 길이다."
295. ‘‘Idha, māṇava, ekacco itthī vā puriso vā thaddho hoti atimānī – abhivādetabbaṃ na abhivādeti,
paccuṭṭhātabbaṃ na paccuṭṭheti, āsanārahassa na āsanaṃ deti, maggārahassa na maggaṃ deti,
sakkātabbaṃ na sakkaroti, garukātabbaṃ na garukaroti, mānetabbaṃ na māneti, pūjetabbaṃ na pūjeti.
So tena kammena evaṃ samattena evaṃ samādinnen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jjati.
No c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jjati,
sace manussattaṃ āgacchati yattha yattha paccājāyati nīcakulīno hoti.
Nīcakulīnasaṃvattanikā esā, māṇava, paṭipadā yadidaṃ – thaddho hoti atimānī;
abhivādetabbaṃ na abhivādeti, paccuṭṭhātabbaṃ na paccuṭṭheti, āsanārahassa na āsanaṃ deti,
maggārahassa na maggaṃ deti, sakkātabbaṃ na sakkaroti, garukātabbaṃ na garukaroti,
mānetabbaṃ na māneti, pūjetabbaṃ na pūjeti.
15. "바라문 학도여, 여기 어떤 여자나 남자는 완고하고 거만하여
예경해야 할 사람에게 예경하지 않고 자리에서 일어나서 맞아야 할 사람에게 일어나 맞지 않고
자리를 양보해야 할 사람에게 자리를 양보하지 않고 길을 양보해야 할 사람에게 길을 양보하지 않고
존경해야 할 사람을 존경하지 않고 존중해야 할 사람을 존중하지 않고
공경해야 할 사람을 공경하지 않고 숭배해야 할 사람을 숭배하지 않는다.
그는 이런 업을 짓고 완성하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 … 지옥에 태어나지 않고
만일 인간으로 온다면 어떤 곳에 태어나더라도 그는 낮은 가문에 태어난다.
바라문 학도여, 완고하고 거만하여 예경해야 할 사람에게 예경하지 않는 행위는
낮은 가문에 태어나게 하는 길이다."
‘‘Idha pana, māṇava, ekacco itthī vā puriso vā atthaddho hoti anatimānī;
abhivādetabbaṃ abhivādeti, paccuṭṭhātabbaṃ paccuṭṭheti, āsanārahassa āsanaṃ deti,
maggārahassa maggaṃ deti, sakkātabbaṃ sakkaroti, garukātabbaṃ garukaroti,
mānetabbaṃ māneti, pūjetabbaṃ pūjeti.
So tena kammena evaṃ samattena evaṃ samādinnen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ati.
No c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ati,
sace manussattaṃ āgacchati yattha yattha paccājāyati uccākulīno hoti.
Uccākulīnasaṃvattanikā esā, māṇava, paṭipadā yadidaṃ – atthaddho hoti anatimānī;
abhivādetabbaṃ abhivādeti, paccuṭṭhātabbaṃ paccuṭṭheti, āsanārahassa āsanaṃ deti,
maggārahassa maggaṃ deti, sakkātabbaṃ sakkaroti, garukātabbaṃ garukaroti,
mānetabbaṃ māneti, pūjetabbaṃ pūjeti.
16. "바라문 학도여, 여기 어떤 여자나 남자는 완고하지 않고 거만하지 않아서
예경해야 할 사람에게 예경하고 자리에서 일어나서 맞아야 할 사람에게 일어나 맞고
자리를 양보해야 할 사람에게 자리를 양보하고 길을 양보해야 할 사람에게 길을 양보하고
존경해야 할 사람을 존경하고 존중해야 할 사람을 존중하고
공경해야 할 사람을 공경하고 숭배해야 할 사람을 숭배한다.
그는 이런 업을 짓고 완성하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 … 천상에 태어나지 않고
만일 인간으로 온다면 어떤 곳에 태어나더라도 그는 높은 가문에 난다.
바라문 학도여, 완고하지 않고 거만하지 않아서 예경해야 할 사람에게 예경하는 행위는
높은 가문에 태어나게 하는 길이다."
296. ‘‘Idha, māṇava, ekacco itthī vā puriso vā samaṇaṃ vā brāhmaṇaṃ vā
upasaṅkamitvā na paripucchitā hoti –
‘kiṃ, bhante, kusalaṃ, kiṃ akusalaṃ; kiṃ sāvajjaṃ, kiṃ anavajjaṃ; kiṃ sevitabbaṃ, kiṃ na sevitabbaṃ;
kiṃ me karīyamānaṃ dīgharattaṃ ahitāya dukkhāya hoti,
kiṃ vā pana me karīyamānaṃ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hotī’ti?
So tena kammena evaṃ samattena evaṃ samādinnen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jjati.
No c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jjati,
sace manussattaṃ āgacchati yattha yattha paccājāyati duppañño hoti.
Duppaññasaṃvattanikā esā, māṇava, paṭipadā yadidaṃ –
samaṇaṃ vā brāhmaṇaṃ vā upasaṅkamitvā na paripucchitā hoti –
‘kiṃ, bhante, kusalaṃ, kiṃ akusalaṃ; kiṃ sāvajjaṃ, kiṃ anavajjaṃ; kiṃ sevitabbaṃ, kiṃ na sevitabbaṃ;
kiṃ me karīyamānaṃ dīgharattaṃ ahitāya dukkhāya hoti,
kiṃ vā pana me karīyamānaṃ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hotī’’’ti?
17. "바라문 학도여, 여기 어떤 여자나 남자는 사문이나 바라문을 찾아가서 질문을 하지 않는다.
'존자시여, 무엇이 유익한 것입니까? 무엇이 해로운 것입니까?
무엇이 비난받을 일입니까? 무엇이 비난받을 일이 없는 것입니까?
무엇을 가까이 해야 하고 무엇을 가까이하지 않아야 합니까?
어떤 행위가 제게 오랜 세월 손해와 괴로움이 따르게 합니까?
어떤 행위가 제게 오랜 세월 이익과 행복이 따르게 합니까?'라고.
그는 이런 업을 짓고 완성하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 … 지옥에 태어나지 않고
만일 인간으로 온다면 어떤 곳에 태어나더라도 그는 우둔하다.
바라문 학도여, 사문이나 바라문을 찾아가서
'존자시여, …'라고 질문을 하지 않는 행위는 우둔하게 하는 길이다."
‘‘Idha pana, māṇava, ekacco itthī vā puriso vā samaṇaṃ vā brāhmaṇaṃ vā upasaṅkamitvā paripucchitā hoti
– ‘kiṃ, bhante, kusalaṃ, kiṃ akusalaṃ; kiṃ sāvajjaṃ, kiṃ anavajjaṃ; kiṃ sevitabbaṃ, kiṃ na sevitabbaṃ;
kiṃ me karīyamānaṃ dīgharattaṃ ahitāya dukkhāya hoti,
kiṃ vā pana me karīyamānaṃ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hotī’ti?
So tena kammena evaṃ samattena evaṃ samādinnena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ati.
No c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jjati,
sace manussattaṃ āgacchati yattha yattha paccājāyati mahāpañño hoti.
Mahāpaññasaṃvattanikā esā, māṇava, paṭipadā yadidaṃ –
samaṇaṃ vā brāhmaṇaṃ vā upasaṅkamitvā paripucchitā hoti –
‘kiṃ, bhante, kusalaṃ, kiṃ akusalaṃ; kiṃ sāvajjaṃ, kiṃ anavajjaṃ; kiṃ sevitabbaṃ, kiṃ na sevitabbaṃ;
kiṃ me karīyamānaṃ dīgharattaṃ ahitāya dukkhāya hoti,
kiṃ vā pana me karīyamānaṃ dīgharattaṃ hitāya sukhāya hotī’’’ti?
18. "바라문 학도여, 여기 어떤 여자나 남자는 사문이나 바라문을 찾아가서 질문을 한다.
'존자시여, 무엇이 유익한 것입니까? 무엇이 해로운 것입니까?
무엇이 비난받을 일입니까? 무엇이 비난받을 일이 없는 것입니까?
무엇을 가까이 해야 하고 무엇을 가까이하지 않아야 합니까?
어떤 행위가 제게 오랜 세월 손해와 괴로움이 따르게 합니까?
어떤 행위가 제게 오랜 세월 이익과 행복이 따르게 합니까?'라고.
그는 이런 업을 짓고 완성하여 몸이 무너져 죽은 뒤 … 하늘세계에 태어나지 않고
만일 인간으로 온다면 어떤 곳에 태어나더라도 그는 통찰지를 가진다.
바라문 학도여, 사문이나 바라문을 찾아가서
'존자시여, …'라고 질문을 하는 행위는 통찰지를 갖게 하는 길이다."
297. ‘‘Iti kho, māṇava, appāyukasaṃvattanikā paṭipadā appāyukattaṃ upaneti,
dīghāyukasaṃvattanikā paṭipadā dīghāyukattaṃ upaneti;
bavhābādhasaṃvattanikā paṭipadā bavhābādhattaṃ upaneti,
appābādhasaṃvattanikā paṭipadā appābādhattaṃ upaneti;
dubbaṇṇasaṃvattanikā paṭipadā dubbaṇṇattaṃ upaneti,
pāsādikasaṃvattanikā paṭipadā pāsādikattaṃ upaneti;
appesakkhasaṃvattanikā paṭipadā appesakkhattaṃ upaneti,
mahesakkhasaṃvattanikā paṭipadā mahesakkhattaṃ upaneti;
appabhogasaṃvattanikā paṭipadā appabhogattaṃ upaneti,
mahābhogasaṃvattanikā paṭipadā mahābhogattaṃ upaneti;
nīcakulīnasaṃvattanikā paṭipadā nīcakulīnattaṃ upaneti,
uccākulīnasaṃvattanikā paṭipadā uccākulīnattaṃ upaneti;
duppaññasaṃvattanikā paṭipadā duppaññattaṃ upaneti,
mahāpaññasaṃvattanikā paṭipadā mahāpaññattaṃ upaneti.
19. "바라문 학도여, 이처럼
수명을 짧게 하는 행위는 그의 수명을 짧게 한다. 수명을 길게 하는 행위는 그의 수명을 길게 한다.
병약하게 하는 행위는 그를 병약하게 한다. 건강하게 하는 행위는 그를 건강하게 한다.
못생기게 하는 행위는 그를 못생기게 한다. 잘생기게 하는 행위는 그를 잘생기게 한다.
세력을 없게 하는 행위는 그의 세력을 없게 한다. 세력을 있게 하는 행위는 그의 세력을 있게 한다.
가난하게 하는 행위는 그를 가난하게 한다. 부유하게 하는 행위는 그를 부유하게 한다.
낮은 가문에 태어나게 하는 행위는 그를 낮은 가문에 태어나게 한다.
높은 가문에 태어나게 하는 행위는 그를 높은 가문에 태어나게 한다.
우둔하게 하는 행위는 그를 우둔하게 한다. 통찰지를 가지게 하는 행위는 그를 통찰지 갖게 한다."
Kammassakā, māṇava, sattā kammadāyādā kammayonī kammabandhū kammappaṭisaraṇā.
Kammaṃ satte vibhajati yadidaṃ – hīnappaṇītatāyā’’ti.
20. "바라문 학도여, 중생들은 업이 바로 그들의 주인이고, 업의 상속자이고,
업에서 태어났고, 업이 그들의 권속이고, 업이 그들의 의지처이다.
업이 중생들을 구분 지어서 천박하고 고귀하게 만든다."
Evaṃ vutte, subho māṇavo todeyyaputto bhagavantaṃ etadavoca –
‘‘abhikkantaṃ, bho gotama, abhikkantaṃ, bho gotama!
Seyyathāpi, bho gotama, nikkujjitaṃ vā ukkujjeyya, paṭicchannaṃ vā vivareyya,
mūḷhassa vā maggaṃ ācikkheyya, andhakāre vā telapajjotaṃ dhāreyya –
‘cakkhumanto rūpāni dakkhantī’ti;
evamevaṃ bhotā gotamena anekapariyāyena dhammo pakāsito.
Esāhaṃ bhavantaṃ gotamaṃ saraṇaṃ gacchāmi dhammañca bhikkhusaṅghañca.
Upāsakaṃ maṃ bhavaṃ gotamo dhāretu ajjatagge pāṇupetaṃ saraṇaṃ gata’’nti.
21. 이렇게 말씀하셨을 때 또데야의 아들인 수바 바라문 학도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경이롭습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경이롭습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마치 넘어진 자를 세우시듯, 덮여있는 것을 걷어내 보이시듯,
[방향을] 잃어버린 자에게 길을 가르켜주시듯,
눈있는 자 형상을 보라고 어둠 속에서 등불을 비쳐주시듯,
고따마 존자께서는 여러 가지 방편으로 법을 설해주셨습니다.
저는 이제 고따마 존자께 귀의하옵고 법과 비구 승가에 귀의합니다.
고따마 존자께서는 저를 재가신자로 받아주소서.
오늘부터 목숨이 붙어 있는 그날까지 귀의하옵니다."
Cūḷakammavibhaṅgasuttaṃ niṭṭhitaṃ pañcamaṃ.
업 분석의 짧은 경(M135)이 끝났다.
*본 경은 대림 스님이 번역하신 맛지마 니꺄야 제4권 406쪽-를 寫經한 것입니다.
저작권은 옮긴이: 대림스님, 펴낸이: 차명희, 펴낸곳: 초기불전연구원
*팔리 경 출처: http://www.tipitaka.org/romn/
*사전 출처: http://dictionary.buddhistdoor.com/
-----------------------------------------------------------------------------
깟짜나곳따 경(S12:15) 5. Kaccānagottasuttaṃ
[*각묵스님 역 상윳따 니까야 2권 138쪽- **찬나 경 S22:90에서 인용
Atha kho āyasmato channassa etadahosi –
‘‘mayhampi kho etaṃ evaṃ [mayhampi kho evaṃ (syā. kaṃ.)] hoti –
‘rūpaṃ aniccaṃ, vedanā… saññā… saṅkhārā… viññāṇaṃ aniccaṃ;
rūpaṃ anattā, vedanā … saññā… saṅkhārā… viññāṇaṃ anattā.
Sabbe saṅkhārā aniccā, sabbe dhammā anattā’ti.
5. 그때 찬나존자에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나도 '물질은 무상하고 느낌은 무상하고 인식은 무상하고 심리현상들은 무상하고 알음알이는 무상하다.
물질은 무아고 느낌은 무아고 인식은 무아고 심리현상들은 무아고 알음알이는 무아다.
모든 형성된 것들은 무상하고 모든 법들은 무아다.'라고 알고 있다.
Atha ca pana me sabbasaṅkhārasamathe sabbūpadhipaṭinissagge
taṇhākkhaye virāge nirodhe nibbāne cittaṃ
na pakkhandati nappasīdati na santiṭṭhati nādhimuccati.
그러나 나의 마음은 모든 형성된 것들이 가라앉음, 모든 재생의 근거를 놓아버림,
갈애의 멸진, 탐욕의 빛바램, 소멸, 열반에 들어가지 못하고
청정한 믿음을 가지지 못하고 안정되지 못하고 확신하지 못한다.
Paritassanā upādānaṃ uppajjati; paccudāvattati mānasaṃ – ‘atha ko carahi me attā’ti?
Na kho panevaṃ dhammaṃ passato hoti.
Ko nu kho me tathā dhammaṃ deseyya yathāhaṃ dhammaṃ passeyya’’nti.
대신에 초조함에 기인한 취착이 생겨서 나의 마음은
'그런데 도대체 누가 나의 자아인가?'라는 것으로 다시 되돌아오고 더 이상 넘어가지 않는다.
그러나 법을 본 자에게는 이런 생각이 일어나지 않는다.
누가 나로 하여금 법을 볼 수 있도록 나에게 법을 설해줄 것인가?']
15. Sāvatthiyaṃ viharati.
Atha kho āyasmā kaccānagotto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
Ekamantaṃ nisinno kho āyasmā kaccānagotto bhagavantaṃ etadavoca –
‘‘‘sammādiṭṭhi sammādiṭṭhī’ti, bhante, vuccati. Kittāvatā nu kho, bhante, sammādiṭṭhi hotī’’ti?
2. 그때 깟짜나곳따 존자가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린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깟짜나곳따 존자는 세존께 이렇게 여쭈었다.
3. "세존이시여, '바른 견해[正見], 바른 견해'라고들 합니다.
세존이시여, 바른 견해는 어떻게 해서 있게 됩니까?"
‘‘Dvayanissito khvāyaṃ, kaccāna, loko yebhuyyena –
atthitañceva natthitañca.
4. "깟짜야나여, 이 세상은 대부분 두 가지를 의지하고 있나니 그것은
있다는 관념과 없다는 관념이다.
Lokasamudayaṃ kho, kaccāna, yathābhūtaṃ sammappaññāya passato
yā loke natthitā sā na hoti.
Lokanirodhaṃ kho, kaccāna, yathābhūtaṃ sammappaññāya passato
yā loke atthitā sā na hoti.
깟짜야나여, 세상의 일어남을 있는 그대로 바른 통찰지로 보는 자에게는
세상에 대해 없다는 관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깟짜야나여, 세상의 소멸을 있는 그대로 바른 통찰지로 보는 자에게는
세상에 대해 있다는 관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Upayupādānābhinivesavinibandho [upāyupādānābhinivesavinibandho (sī. syā. kaṃ. pī.)]
khvāyaṃ, kaccāna, loko yebhuyyena.
5. "깟짜야나여, 세상은 대부분 [갈애와 사견으로 인해] 집착과 취착과 천착에 묶여 있다.
Tañcāyaṃ upayupādānaṃ cetaso adhiṭṭhānaṃ abhinivesānusayaṃ na upeti na upādiyati nādhiṭṭhāti –
‘attā me’ti.
그러나 [바른 견해를 가진 성스러운 제자는], 마음이 머무는 곳이요 천착하는 곳이요 잠재하는 곳인
그러한 집착과 취착을 '나의 자아'라고 가까이하지 않고 취착하지 않고 고수하지 않는다.
‘Dukkhameva uppajjamānaṃ uppajjati, dukkhaṃ nirujjhamānaṃ nirujjhatī’ti
na kaṅkhati na vicikicchati aparapaccayā ñāṇamevassa ettha hoti.
그는 '단지 괴로움이 일어날 뿐이고, 단지 괴로움이 소멸할 뿐이다.'라는 데 대해서
의문을 가지지 않고 의심하지 않는다. 여기에 대한 그의 지혜는 다른 사람을 의지하지 않는다.
Ettāvatā kho, kaccāna, sammādiṭṭhi hoti.
깟짜야나여, 이렇게 해서 바른 견해가 있게 된다."
‘‘‘Sabbaṃ atthī’ti kho, kaccāna, ayameko anto. ‘Sabbaṃ natthī’ti ayaṃ dutiyo anto.
6. "깟짜야나여, '모든 것은 있다.'는 이것이 하나의 극단이고 '모든 것은 없다.'는 이것이 두 번째 극단이다.
[*S12:17
‘‘‘So karoti so paṭisaṃvedayatī’ti [paṭisaṃvediyatīti (sī. pī. ka.)]
kho, kassapa, ādito sato ‘sayaṃkataṃ dukkha’nti iti vadaṃ sassataṃ etaṃ pareti.
깟사빠여, '그가 짓고 그가 [그 과보를] 경헌한다.'라고 한다면
처음부터 존재했던 [괴로움을 상정하여] '괴로움은 스스로가 짓는다.'라고 주장하는 것이 되어
이것은 상[견]에 떨어지고 만다.
‘Añño karoti añño paṭisaṃvedayatī’ti
kho, kassapa, vedanābhitunnassa sato ‘paraṃkataṃ dukkha’nti iti vadaṃ ucchedaṃ etaṃ pareti.
깟사빠여, '다른 사람이 짓고 다른 사람이 [그 과보를] 경험한다.'고 한다면
느낌에 압도된 자가 '괴로움은 남이 짓는다.'라고 주장하는 것이 되어
이거은 단[견]에 떨어지고 만다.]
Ete te, kaccāna, ubho ante anupagamma majjhena tathāgato dhammaṃ deseti-
깟짜야나여, 이러한 양 극단을 의지하지 않고 중간[中]에 의해서 여래는 법을 설한다.
‘avijjāpaccayā saṅkhārā; saṅkhārapaccayā viññāṇaṃ…pe…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samudayo hoti.
무명을 조건으로 의도적 행위들이, 의도적 행위들을 조건으로 알음알이가, 알음알이를 조건으로 정신·물질이,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여섯 감각장소가, 여섯 감각장소를 조건으로 감각접촉이, 감각접촉을 조건으로 느낌이,
느낌을 조건으로 갈애가, 갈애를 조건으로 취착이, 취착을 조건으로 존재가, 존재를 조건으로 태어남이,
태어남을 조건으로 늙음·죽음과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전체 괴로움의 무더기[苦蘊]가 발생한다.
Avijjāya tveva asesavirāganirodhā saṅkhāranirodho; saṅkhāranirodhā viññāṇanirodho…pe…
evametassa kevalassa dukkhakkhandhassa nirodho hotī’’’ti.
그러나 무명이 남김없이 빛바래어 소멸하기 때문에 의도적 행위들이 소멸하고,
의도적 행위들이 소멸하기 때문에 알음알이가 소멸하고, 알음알이가 소멸하기 때문에 정신·물질이 소멸하고,
정신·물질이 소멸하기 때문에 여섯 감각장소가 소멸하고, 여섯 감각장소가 소멸하기 때문에 감각접촉이
소멸하고, 감각접촉이 소멸하기 때문에 느낌이 소멸하고, 느낌이 소멸하기 때문에 갈애가 소멸하고,
갈애가 소멸하기 때문에 취착이 소멸하고, 취착이 소멸하기 때문에 존재가 소멸하고,
존재가 소멸하기 때문에 태어남이 소멸하고, 태어남이 소멸하기 때문에
늙음·죽음과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이 소멸한다.
이와 같이 전체 괴로움의 무더기[苦蘊]가 소멸한다."
Pañcamaṃ.
M22 ----------------------------------------------------------------------
238. ‘‘Idha, bhikkhave, ekacce moghapurisā dhammaṃ pariyāpuṇanti –
suttaṃ, geyyaṃ, veyyākaraṇaṃ, gāthaṃ, udānaṃ, itivuttakaṃ, jātakaṃ, abbhutadhammaṃ, vedallaṃ.
Te taṃ dhammaṃ pariyāpuṇitvā tesaṃ dhammānaṃ paññāya atthaṃ na upaparikkhanti.
Tesaṃ te dhammā paññāya atthaṃ anupaparikkhataṃ na nijjhānaṃ khamanti.
10.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미혹한 자들이 경‧응송‧수기‧게송‧감흥어‧여시어‧본생담‧미증유법‧문답
같은 법을 배우지만 그 법을 배워 통찰지로 그 법의 뜻을 자세히 살펴보지 않는다.
그 법의 뜻을 통찰지로 자세히 살피지 않을 때 그들에게 그 법들은 확립되지 못한다.
<*S55:24/S25:1~10/M70/M95
yassa kho, bhikkhave, ime dhammā evaṃ paññāya mattaso nijjhānaṃ khamanti, ayaṃ vuccati —
‘dhammānusārī,>
|
첫댓글 법을 배우지만 有·無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통찰지가 없으면 그 법의 의미를 자세히 살펴볼 수 없답니다.
법의 의미를 자세히 살펴볼 수 없으니
그 법들이 <반야의 량(없는)만큼 nijjhaanam. khamanti> 되지 못한답니다.
때론 조금 이해된다 싶다가도 몸에 잘 익지 않아서 예전의 습관으로 되돌아 가는 듯 합니다.
믿음으로 따르는 자가 되기도 어렵지만 법을 따르는 자와는 거리가 멉니다.
위의 경들도 많이들 인용하고 있지만 그 이해도 몸에 익은 설명도 아닌듯... 혹은 무슨 말인지...
당연히 찬나존자의 문제의식보다도 약한듯한 느낌만....
가르침에 대해서 이런저런 모색은 해야겠지만 그 의미가 선명할 때까지 섯부른 결론은 유보하겠습니다.
@봄봄 괴로움도 연기에 의해 생기듯이 괴로움을 소멸하는 도도 연기에 의해 닦아집니다.
연기는 어렵지만 쉽게 2단계로만 본다면...
어떤 결과를 원한다면 그것에 해당하는 원인과 조건을 갖춘다고만 생각해 보십시오.
예를 들면
통찰지를 말씀하셨는데...
경문에 삼매에 든 자의 통찰지만을 인정하신다고 나오고, 8정도의 마지막이 바른 삼매이어서 뒤에 바른 냐냐와 바른 해탈로 이어집니다.
이것으로 보면 통찰지와 바른 앎의 원인과 조건은 삼매라는 결론이지요.
즉 삼매를 닦아야 통찰지는 생깁니다. 학문이 아니구요....
@니까야 그럼 또 2단계의 연기로 삼매가 되기 위해서는 8정도의 그 앞에 있는 바른 사띠가 되어야 합니다.
또 그 앞은..... 이런 식으로 되어 있음을 경전을 좀 보신 분은 다 알고 있지 않나요?
그럼 통찰지까지 또 성자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원인과 조건은 무엇일까요?
이것을 아예 믿지 않거나, 믿어도 정진을 안 하거나, 정진을 하지만 아직 결과가 나타나기에 부족한 정도라는 3가지 정도의 결론이 나옵니다.
@니까야 본인에게 맞는 원인과 조건을 찾아서 제거하도록 노력하시면 되겠다 싶습니다.
처음에 언급한 믿음이...
인연 상윳따의 기반 경에 괴로움을 기반으로 생긴다는 말씀을 적용해서 생각하면.......아직 우리는 절박함을 일으키기에는 덜 괴로운 걸까요???
아직 자신이 행복을 만들고 유지할 수 있다는 자만에 의한 희망이 많은 것일까요???
어떤 지혜가 있는 이는 사회적으로 보면 무지 행복하게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괴로움이다’라고 여기고 믿음을 가지는 이가 되었다는 ‘전설’은 들은 적이 있습니다만.......
@니까야 아님 너무 엉켜서 뭐가 뭔지 모르고 욕망과 분노를 수 없이 행하면서도 ‘원래 다 그렇게 사는 거야’ 하면서 타성에 젖어서 사는 것일까요???
이러면 8정도의 첫 단추인 바른 견해부터 귀에 들어오지 않을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완전한 깨달음을 얻으신 후에 법을 설하지 않으려 하셨던 문제이지요.
아예 사성제를 믿지도 않는 것이지요.
고상한 척, 지식을 넘어선 척, 사성제를 말로는 하고 있지만요.........
현실은... 우리 대부분이 이럴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저도 글을 쓰면서 ‘어디에 걸려있나?’하고 반성을 해봅니다.
@니까야 저의 현재 숙제는 대략 이런 것입니다.
부처님 가르침을 바르게 알고 싶다. (말귀라도 알아듣자. 이해가 되어야 갈길이 보이지 않을까?하는)
그런데 기존의 번역이나 해설이 웬지 경 전체를 관통하지 않은 듯한 느낌이 듭디다.
무얼 잘못 이해하고 있지, 하다가 원어를 해석할 줄 모르지만 최대한 접해보자. 하여
원문과 번역어를 대비시켜 보니 뭔가 이상하네 하는 것이 생겼습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저에게는 사띠(念)였습니다.
그 다음 눈에 띄는 것이 니까야님이 항상 강조하시는 사마디(定)입니다.
@니까야 사띠나 사마디에 대해서 이것이다.라고 경을 관통하는 의미를 말씀드리지는 못하지만
<사띠를 '알아차림...등'으로, 사마디를 '집중...등'으로> 기존의 해석이나 번역이 이건 이상하네.라는 점은
가끔 보이기 시작합디다.
그래서 혼자 이리저리 궁리하다 본 공부방을 알게 되어 ...
사띠가 이런 의미가 아닌가요?라고 의견제시를 했지만... 저도 무슨 말인지 잘모름.^^
지금도 저의 숙제는 '말귀라도 알아 듣자.' 입니다.
'가는 만큼 남는다.'가 아니라 '잘못 가면 고생이 따블.' 제가 겁이 좀 많습니다.^^
어쨌든 격려의 말씀은 항상 감사합니다. 니까야님이 항상 부럽습니다.
@봄봄 봄봄님께서 올려주시는 원어와 함께 하는 경들을 보면서 많은 영감을 얻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더불어 제가 도움이 될 것이 무엇일까를 더 생각하게 됩니다.
'말귀라도 알아 듣자.'를 지금의 숙제라고 하셨는데.......
층차의 차이가 있지만 이것이 왠만큼 되면 예류도에 드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형성된 것은 소멸하기 마련이다'는 티없는 눈이 생기기 시작하는 것이지요.......
@니까야 근데 현재의 문제는 이 글은 시험을 봐도 통과될 정도로 잘 외우고 있지만 몸과 마음에서 체득했냐는 것이잖아요.....
체득..........그래서 모든 형성된 것의 그침이라는 글을 원어로 보겠습니다.
'사바상카라사마토'지요.
이 사마타가 실제로 있어서 경험이 된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마타의 상태가 이러한 상태에 있는 겁니다.
여기서 나와서 자나의 상태에서 위빠사나를 하게 되고요.
모든 형성된 것들의 그침에서 나와서 하는 통찰은 모든 형성된 것들이 소멸한다는 인식으로 기울지 않겠습니까?
자연스럽게 니까야의 문구가 진정으로 그렇구나하고 예류도에 들지 않겠습니까?
@니까야 경전에는 이론적인 설명과 그것의 실제 경험이 항상 공존하게 설해주셨습니다.
이론을 아는데 몸과 마음에서 벌어지지 않는다면 체득이 되지 않은 것이고...... 수행을 통해서 그 이론이 몸과 마음으로 벌어져야지 진정으로 아는 것일 거라고 유추하면서 노력하면 됩니다.
@니까야 하나 더 사마타보다 현실적으로 가까운 예를 들면, 사띠가 안으로 밖으로 안팎으로 있다는 것이..... 모양새를 갖추듯이 경전에 설해지는 형이상학적인 이론이 아니고 실제로 수행하면서 벌어지는 몸과 마음으로 체득되는 일정한 변화 상태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제가 예전에 올린 ‘사띠 절하기’를 실행해 보시면 실감하실 수도 있습니다.
더 나아가면 안으로 삼매에 들어, 밖으로 지와 견을 가지고, 안팎으로 차별 없는 무량하고 풀려난 마음을 경험하게 되는 것인데....... 후반부가 아직도 이론으로만 남은 영역입니다.....
즉 ‘말귀를 못알아 듣는 영역’입니다.....^^
@봄봄 우리는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것을 ‘귀로 알아 듣기’가 어려운 것이 당연할 것입니다.
예를 들면,
동물들이 괴로움을 벗어나려고 노력하는 패턴들을 사람이 보면 참 한심합니다.
그래서 훈련을 시키면서 좀 알려주는데도 동물이 ‘말귀를 알아 듣기’가 어렵잖아요......
같이 적용해서 생각해 보면...
사람들이 괴로움을 벗어나려고 노력하는 패턴들을 부처님께서 보시면 참 한심할 것입니다.
그래서 수행을 시키면서 좀 알려주는데도 사람이 ‘말귀를 알아 듣기’가 어렵잖아요......
@니까야 사람들도 살아가면서 나름 원인과 조건에 의한 결과를 배우고 교훈도 얻게 됩니다.
논리를 기반으로 하는 과학들과 추상적인 성공학이나 심리학 등입니다.
괴로움을 줄이고 행복을 찾고자 나름 노력하지요.
부처님께서는 괴로움을 가장 높고 넓고 깊은 관점으로 파악하시고 벗어남을 설하시니까 경문에 ‘괴로움을 철저히 알기 위해서 세존 아래서 청정범행을 닦는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그 수승하다는 천상의 신들도 이해를 못하는 것을 경전에서 보잖아요.
나름 자신들의 방식으로 괴로움을 줄이고 행복하게 된 신이 자신의 견해만을 고집하여 가장 수승한 관점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니까야 그러니 하물며 사람으로 있는 우리는 어떻겠습니까?
그래서 천상의 신들도 잘 못하는 ‘말귀를 알아 듣기’가 당연히 어렵습니다.
다만 믿음을 가지고 8정도를 골고루 닦아 가다보면 일부 천상의 신들보다도 더 ‘말귀를 알아 듣기’가 되는 날이 있기에 지상에서 성자분들이 나오는 것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