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소개하고 싶은 고교동창 친구 두명이 있다.
이규형과 양창수이다. 고등학교 때 그 둘은 문과였고 나는 이과였다.
각자가 걸어온 길이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또한 나는 포항에서 오래 살다 보니
잦은 교류는 없었다.
양창수는 민법 전문가이다. 판사를 하다가 서울 법대 교수가 되었고 이후 대법관을 지내기도 하였다.
2019년 10월 9일 종중 임시총회가 열리고 5대 회장 철이 주도하여 규약개정을 시도했을 때
그리고 총회가 끝난 후 종손이 정족수 부족으로 규약개정이 부결되었다고 선언하였을 때
철은 이를 무시하고 새 규약에 의해 새 임원진을 구성하고자 일을 진행하고 있었다.
고립무원에 빠진 나는 서울 법대 교수로 퇴임하고 한양대 로스쿨 석좌교수로 근무하고 있는
창수를 찾아 갔다. 나도 포항공대를 퇴임하고 숙명여대의 석좌교수로 여성공학도 양성을 위해
70세까지 석좌교수직을 맡게 되었는데 창수도 대법관이 되며 서울법대 교수직을 사직하고
대법관 임기를 마친 후 한양대 법학대학원 석좌교수로 부임하였다.
오랜만에 만나 여러가지 이야기를 나누고
나는 선친께서 이루어 놓으신 종중을 이어가야 할 의무가 있는데 현재 종중이 이러한 상황에 처해 있어
법적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게 되었는데 어찌해야 좋을지 알 수가 없으니 도와 달라 이야기하였다.
창수는 잘 아는 법무법인에 동향 후배 변호사가 있으니 한번 찾아가 의논해 보라 하였다.
그렇게 해서 법무법인 한별과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양교수와 동창 친구라 하니 각별이 신경을 써주었다.
양교수는 자타가 공인하는 민법의 전문가이다.
한양대에 커다란 사무실 3개를 가지고 있는데 그곳에는 장서로 가득차 있었다.
그가 직접 저술한 책도 바닥부터 쌓으면 허리 위까지 올라 온다 한다.
그의 약력은 아래와 같다.
프로필
출생 1952. 제주특별자치도
나이 71세
소속 법무법인(유한) 한별(고문변호사)
학력사항
1980~1986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1974~1976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1974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수상내역
2008 제18회 상허대상
경력사항
법무법인(유한) 한별 고문변호사
2018 대검찰청 검찰수사심의위원회 위원장
2014.9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석좌교수
2008.9~2014.9 대법원 대법관
1985. 6~ 2008. 8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1979.11~1985.5 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
그간 대검찰청 검찰수사심의위원회 위원장을 맡았었고 현재 정부공직자윤리위원장을 맡고 있다.
어제는 법무부 민법개정위원회 위촉식에서 한동훈 장관과 만나는 장면이 올라왔다.
규형이는 중학교 3학년 때 한반으로 그는 반장, 나는 부반장을 했었고
당시 규형이는 홍순정 담임선생님과는 여러가지 인연으로 졸업 후에도 가깝게 지내고 있었다.
규형이는 중학교 때부터 앞으로 외교관이 되겠다는 꿈을 가지고 있었고
나는 과학자가 되겠다는 꿈을 가지고 있었다.
2016년 초에 숙대에 부임하며 서울로 이사하게 되고
우리 둘은 서울에 홍순정 선생님 사무실로 찾아 뵈었고 이후 종종 만나 식사를 같이 하였다.
선생님은 우리가 중학교를 졸업한 후 학교를 떠나 사업을 하셨고 돈을 많이 버셨다.
제자된 도리로 만날 때 식사대접을 해드려야 했으나 선생님은 내가 번 돈 어디에 쓰겠나 하시며
사랑하는 제자를 만났으니 밥은 항상 사줄께 하셨다.
규형이는 오히려 그것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이
그것이 선생님을 편하게 해드리는 것임을 벌써부터 알고 있었다.
규형이는 주중 대사, 주러 대사를 지냈으니 과거의 꿈을 이루어 나라에 크게 봉사한 셈이다.
그러던 선생님이 작년에 작고하셨다.
만날 때마다 그 유명한 MIT 공학박사, 퇴임 후 숙명여대에 초대되어 초대 학장으로 공대를 만들고
이 대사는 또 공직에서 퇴임 후 삼성경제연구소 고문으로 활동을 하고 있으니 얼마나 자랑스러우냐 하셨는데
세월이 흘러 우리가 이렇게 나이가 먹고 선생님은 세상을 뜨시다니...
이규형은 아래와 같은 학력과 경력을 갖고 있다.
1974~1976 서울대학교 대학원 외교학 수료
1970~1974 서울대학교 외교학 학사
1967~1970 서울고등학교
수상내역
1991 황조근정훈장
1985 대통령표창
1981 외무부장관표창
1978 국방부장관표창
경력사항
2013.9~ 삼성경제연구소 고문
2011.5~2013.6 주중국대한민국대사관 대사
2007.4~2010.2 주러시아대한민국대사관 대사
2005.9~2006.11 외교통상부 제2차관
2004.9~2005.9 외교통상부 대변인
2002.8~2004.9 주방글라데시대한민국대사관 대사
2002.2~2002.8 외교안보연구원 아태연구부장
1999.8~2002.2 주중국대한민국대사관 공사
1998.3~1999.7 외교통상부 외교정책실 국제기구정책관
1998.3 외교통상부 대변인
1997.1 외교통상부 공보관
1993.8~1996.9 주유엔대표부 공사참사관
1992.8~1993.7 미국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국제문제센터 연구원
1989.8~1992.3 외무부 유엔과장
1985.9~1989.8 주일본대한민국대사관 1등서기관
1983.9~1985.9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1982.3~1983.8 주중앙아프리카대사관 2등서기관
1980.3~1982.2 주유엔대표부 3등서기관
1974.11~1976.3 외교통상부 동부아프리카과 사무관
1974.5 제8회 외무고시 합격
“중국, 윤 정부 길들이기 차원서 거친 발언… 여야 대립상황도 잘 알고 활용” :: 문화일보 munh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