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삿갓 문학관 #1
김삿갓으로 불리는 난고 김병연은 1807년(순조 7년)부터 1863년(철종 14년)까지
방랑시인의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조부는 선천부사 익순(益淳)이며 부친 안근(安根)과 모침 함평이씨 사이의 2남으로 순조 7년(1807년) 3월 13일
경기도 양주군 회천면 회암에서 출생하였고 이름은 병연(병연), 자는 성심(性深), 호는 난고(蘭皐)이고, 립(笠)은 속칭이다.
권문세족인 안동김씨 가문이었던 집안이 몰락하게 된 것은 조부인 선천부사 김익순 이 홍경래의 난을
평정하지 못하고 항복해 역적으로 몰렸기 때문이다.
김병연은 가문의 내력에 대한 소상한 진상을 알지 못한채 학업에만 정진하다가 영월도호부 과거(백일장)에 응시하여
김익순을 비방하는 시제 아래 장원급제하였다.
가산(嘉山)의 정공(鄭公)이 죽음으로 충성된 절개를 지녔음을 찬양하고
적에게 항복한 김익순의 비겁한 죄를 하늘이 알고 있음을 공박하는 내용이었다.
어머니로부터 집안 내력에 대한 내용을 전해 듣고 조상을 욕되게 한 죄인이라는 멸시로 인해
20세 무렵 처 자식을 둔채 방랑의 길을 시작하였다.
이 때부터 김병연은 죄인의식으로 푸른 하늘을 볼 수 없다하여 삿갓에 죽장(竹杖)을 잡은채 방랑생활을 시작하였다.
금강산 유람을 시작으로 서울, 함경도,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평안도, 제주도를 돌았으며
도산서원 아랫마을과 황해도 곡산, 등지에서 몇 해 동안 훈장생활을 하기도 하였다.
그는 1863년, 33년간의 방랑생활 끝에 전라도에서 57세에 한 많은 삶을 마감하였다.
<개 요>
난고 김삿갓문학관은 강원도 시책 사업인 "강원의 얼 선양사업"의 하나로 2003년 10월 개관했다.
김삿갓 선생의 생애와 문학 세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으로, 매년 수많은 관광객이 찾아 그의 정신을 기리고 있다.
<규 모 : 부지면적 4,826㎡(1,459평) 건축연면적 853㎡(258평)>
<전시실안내>
- 기획전시실
김삿갓 연구에 평생을 바친 故 정암 박영국 선생의 연구자료 및 유물뿐 아니라 금옥(金玉), 황녹 차집(黃綠此集),
동국시(東國詩), 필휴집(必携集), 해동시선(海東詩選), 대동기문(大東埼聞), 대동시선(大東詩選) 등
김삿갓과 관련된 서적이 전시되어 있다.
- 영상실 : 김삿갓의 생애를 상영한다.
총 66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파란만장했던 김삿갓의 생애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 난고문학실
1939년 이응수作의 김립시집외 구한말에서 현대까지 각종 서적, 간행물, 논문, 잡지 등이 전시되어 있는 곳으로,
자료독서공간과 자료검색공간이 있다.
- 일대기실
김삿갓의 출생, 성장, 사망 과정 등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더불어 김삿갓 주거지 복원모형, 김삿갓 가계도, 김삿갓 시, 방랑생활 당시 지었던 시 등이 전시되어 있다.
- 자료실
김삿갓이 입고 신었을 법한 갓, 신발, 삿갓, 두루마기 등과 함께 팔도전도, 뮤지컬김삿갓 비디오테이프 및
각종 김삿갓 캐릭터 물품 등이 전시되어 있다.
<관람시간 : 09:00 ~ 18:00>
<휴관일 : 매주 월요일, 설날, 구정, 1월 1일>
<입장료 : 성인 2,000원(단체 1,500원), 청소년 1,500원(단체 1,000원), 어린이 1,000원(단체 500원)>
※ 단체는 30명 이상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