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해외 단체여행 허용 국가에서 한국을 제외하면서 ‘유커(중국인 관광객) 특수’가 지연될 전망이다. 한·중 항공 노선 정상화 이후 노선 증편에 가속도를 붙여온 항공업계에선 아쉬운 결정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다만 한·중 교류는 제약이 있었기에 업계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중국인 관광객들이 명동 거리는 지나는 모습. 국민일보DB© Copyright@국민일보 항공업계 관계자는 1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중국 관광객들의 추가 유입을 기대했는데, 이번 중국 정부의 결정으로 다소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기존에도 단체 여행이 허용됐던 것은 아니기에 항공업계에 주는 영향을 미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해외 단체여행 허용 국가에서 빠진 건 아쉽지만, 개별 관광은 증가할 수 있다”며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문화관광부는 지난 10일 홈페이지에 온·오프라인 여행사들이 자국인을 상대로 단체 여행상품과 항공권·호텔 패키지 상품을 시범적으로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나라 40개국을 추가했는데, 한국을 포함하지 않았다. 지난달 6일 태국 등 20개국을 대상으로 자국민 단체여행을 허용할 때에 이어 2번 연속 한국을 대상국에서 배제한 것이다. 이번 중국 정부의 결정은 한중 양국이 코로나19 검사 등 방역 조치를 상호 해제하고, 항공편을 대거 늘리기로 하는 등 교류 정상화에 힘쓰는 상황에 나온 것이어서 배경에 더욱 관심이 쏠렸다. 일각에선 정부가 한·미·일 안보 공조를 강화하는 것에 불만을 품은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한중 노선 정상화 이후 증편을 이어오던 항공업계 입장에선 아쉬운 대목이다. 대한항공은 중국 노선을 주당 13편에서 99편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었다. 이는 2019년 대비 43% 회복한 수준이다. 아시아나항공도 9개 노선 주 10회 운항이던 중국행 항공편을 17노선 주 89회로 증편한다. 저비용항공사(LCC)들도 중국행 하늘길을 넓히고 있다.
하지만 악재로 보긴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중국은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 여파로 애초 굳게 닫혀있던 시장이었기 때문에 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60개국까지 늘어났으니 조만간 한국도 포함될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업계는 국제선 여객 수요 흐름에 따른 긍정적 분위기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본다. 국내에선 해외 여행 수요가 급증하면서 항공권 가격이 치솟는 등의 일이 빈번하게 벌어지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등은 다음 달 코로나 사태 이전의 60% 이상 수준까지 운항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