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일자 : 2023년 4월 23일
○ 산행장소 : 원주 동매산(62m) 뒷산(112m) 후산(83m) 왕박지(207m) 삼방골산(211.3m)
봉오재산(142m) 긴경산(351m) 수영봉(284m) 수영봉(220m) 검단산(152m)
밤개산(157m) 산행
○ 산행소재 : 원주시 부론면 소재
○ 산행코스 : 흥창 버스정류장 - 월봉교 - 뚝방길 - 동매산 - 임도 - 고갯마루 - 삼거리 - 뒷산(왕복)
- 삼거리 - 임도 - 후산 - 임도 - 영동고속도로 강천2교 - 등산로 입구 - 205.8봉 - 왕박지
- 삼방골산 - 가루개고개 - 임도 - 영동고속도로 굴다리 - 견훤로 - 임도 - 봉오재산 - 임도
- 49번 도로 - 참판남계공묘역 표지석 - 전주이씨남계공파종중 입구 - 긴경산 - 307.1봉
- 수영봉(1) - 수영봉(2) - 철탑 - 임도 - 검단산(왕복) - 임도 - 능선 - 밤개산 - 임도
- 531번 도로 - 흥창 버스정류장
○ 산행시간 : 약 15.1km .......... 4시간 22분
○ 대중교통 : 갈때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문막고속시외버스정류장
건등리 버스정류장(55번) - 흥창 버스정류장
올때 ......... 흥창 버스정류장(55번) - 건등리 버스정류장
문막고속시외버스정류장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동매산 뒷산 후산 왕박지 삼방골산 봉오재산 긴경산 수영봉 수영봉 검단산 밤개산 진행 경로
건등리 버스정류장 ..
문막고속시외버스정류소에서 건등리 버스정류장으로 이동하여 55번 버스를 타고 흥창 버스정류장으로 간다.
흥창 버스정류장
흥창정류장에서 산행을 시작 동매산을 거쳐 밤개산에서 산행을 마치고 흥창정류장으로 돌아오는 원점회귀산행이다..
흥창 버스정류장에서 잠시 가면 월봉교다.
월봉교 ..
월봉교를 건너 곧장 좌틀하면 뚝방길이다.
뚝방길에서 바라본 가야할 동매산 ..
뚝방길 따라 약 300m 가면 비닐하우스다.
뚝방길에서 바라본 2021.4.5 푸른산 갈비봉 등골산 삿갓봉 승지봉 매봉재 산행 때 답사한 자산 망재산 모습
비닐하우스 ..
비닐하우스를 지나 밭두렁 따라 산기슭에 붙어 잠시 오르면 묘지 옆 공터인 동매산이다.
동매산 정상 모습 ........ 동매산은 국토지리원 지형도와 daum, naver 지도에 등록되어 있다.
동매산 답사 기념으로 리본을 부착한다.
동매산 정상에서 바라본 가야할 뒷산 모습 ..
동매산에서 왔던 길로 잠시 빽해 밭두렁 따라 가면 농로다.
농로에서 바라본 자산과 망재산 모습 ..
농로따라 약 420m 가면 능선 안부인 고갯마루다.
고갯마루 ..
고갯마루에서 우측 능선에 붙어 둔덕을 넘어 완만한 오르막 이어가면 삼거리다.
삼거리 ........ 뒷산을 왕복한다.
삼거리를 지나 완만하게 오르면 길쭉한 공터인 뒷산이다.
뒷산 정상 모습
뒷산 답사 기념으로 리본을 부착한다..
뒷산에서 왔던 길로 빽해 삼거리로 간다.
다시 돌아온 삼거리 ..
삼거리에서 우틀하여 내려가면 임도다.
임도에서 뒤돌아본 내려온 길 ..
임도따라 가다 삼거리에서 우틀하여 약 100m 가면 밭이다.
밭 ..
밭을 가로질러 산기슭에 붙어 잠시 오르면 묘지다.
묘지 뒤 능선으로 올라 잠깐 가면 선답자 코팅지가 있는 후산이다.
후산 정상 모습
후산 답사 기념으로 리본을 부착한다..
후산에서 내려가면 임도다.
하산하면서 바라본 임도 ..
임도따라 약 700m 지루하게 걸어가면 이정목이 있는 삼거리다.
이정목이 있는 삼거리 ..
삼거리에서 좌틀하여 잠시 가면 영동고속도로 강천2교다.
삼거리에 있는 산행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이정목
영동고속도로 강천2교 ..
강천2교 아래를 통과하여 잠시 가면 등산로 입구다.
등산로 입구 ..
입구에서 뚜럿한 등로따라 완만한 오르막 한참을 이어가면 무명봉이다.
무명봉에서 우틀하여 선두리고개로 내려갔다 제법 가파르게 오르면 205.8봉이다.
205.8봉 ..
205.8봉에서 살짝 내려갔다 잠시 오르면 평평한 공터인 왕박지다.
왕박지 정상 모습
왕박지 답사 기념으로 리본을 부착한다.
왕박지 정상에서 바라본 섬강과 자산 망재산 모습(1)
왕박지 정상에서 바라본 섬강과 자산 망재산 모습(2)
왕박지 정상에서 약간 당겨본 영동고속도와 자산 망재산 모습 ..
왕박지에서 잠시 내려갔다 둔덕을 넘어 완만하게 오르면 3등 삼각점이 있는 삼방골산이다.
삼방골산 정상 모습
삼방골산 답사 기념으로 리본을 부착한다.
삼방골산 3등 삼각점(원주 317) ..
삼방골산에서 한동안 내려가면 임도인 가루개고개다.
가루개고개 ..
가루개고개에서 우틀하여 임도따라 한동안 내려가면 정자가 있는 연못이다.
연못 ..
연못을 지나 잠시 가면 영동고속도로 굴다리다.
영동고속도로 굴다리 ..
굴다리를 통과하여 잠시 가면 삼거리다.
삼거리 ..
삼거리에서 좌틀하여 견훤로 따라 약 350m 가면 임도 입구다.
견훤로 모습
임도 입구 ..
입구에서 우틀하여 임도따라 올라가면 묘지다.
임도 모습
묘지 ..
묘지에서 우틀하여 그런대로 뚜럿한 등로따라 완만한 오르막 이어가면 봉오재산이다.
봉오재산 정상 모습
봉우재산 답사 기념으로 리본을 부착한다..
봉우재산에서 우틀하여 잠시 가다 좌틀하여 내려가면 멋진 소나무 한그루 있는 묘지다.
묘지 ..
묘지에서 내려가면 포장 임도다.
포장 임도 ..
임도에서 좌틀하여 약 280m 가면 49번 도로다.
포장 임도에서 바라본 가야할 긴경산 모습
49번 도로 ..
49번 도로에서 우틀하여 약 360m 가면 유진건철 버스정류장이다.
유진건철 버스정류장 ..
버스정류장 옆에서 좌틀하면 농장 입구다.
농장 입구 ..
입구에서 보니 외부인 출입금지와 CCTV 녹화중 표지판이 있는 개인사유지다.
사유지를 무단으로 들어갈 수가 없어 도로따라 약 100m 가니 참판남계공묘역 표지석이 있다.
참판남계공묘역 표지석 ..
표지석 옆 포장 임도따라 약 200m 가면 전주이씨남계공파종중 입구다.
전주이씨남계공파종중 입구 ..
입구를 지나 잠시 가면 멧돌이 있는 임도 입구다.
임도 입구 ..
입구에서 좌틀하여 잠시 가면 폐건물이다.
폐건물 ..
폐건물을 지나 잠시 가다 능선으로 붙으면 넓은 개활지다.
개활지 ..
개활지를 지나 숲으로 진입하여 뚜럿한 등로따라 완만한 오르막 한동안 이어가면 바위지역이다.
바위지역을 우회하여 제법 가파른 오르막 이어가면 헬기장에 4등 삼각점이 있는 긴경산이다.
긴경산 정상 모습
긴경산 정상판
긴경산 4등 삼각점(엄정 402) ..
긴경산에서 우틀하여 안부로 내려갔다 둔덕을 넘고 넘어 완만한 오르막 한동안 이어가면 307.1봉이다.
307.1봉 모습
백운지맥 307.1봉을 알리는 산패 ..
307.1봉에서 잠깐 가다 좌틀하여 안부로 내려갔다 완만하게 오르면 산패가 있는 수영봉이다.
수영봉 정상 모습
수영봉 정상을 알리는 산패
수영봉 정상에서 바라본 남한강 모습
수영봉 정상에서 약간 당겨본 남한강 모습 ..
수영봉에서 제법 가파르게 내려가다 평탄한 등로 이어가면 능선 삼거리다.
삼거리에서 우틀하여 약 200m 내려가다 잠시 오르면 봉우리 같지 않은 밋밋한 두번째 수영봉이다.
수영봉 정상 모습
수영봉 답사 기념으로 리본을 부착한다..
수영봉에서 내려가면 철탑이다.
철탑 ..
철탑을 지나 내려가면 임도다.
임도 ....... 검단산을 왕복한다.
임도에서 우틀하여 약 220m 가면 삼거리다.
삼거리 ..
삼거리에서 우틀하여 약 150m 가면 흐릿환 족적이 있는 산길 입구다.
산길 입구 ..
입구에서 산으로 진입하여 그런대로 갈만한 등로따라 완만한 오르막 이어가면 넓은 공터인 검단산이다.
검단산 정상 모습
검단산 답사 기념으로 리본을 부착한다..
검단산에서 왔던 길로 빽해 임도로 간다.
다시 돌아온 임도 ..
임도 잠시 따르면 수령이 100년은 넘었을 것 같은 거대한 느티나무가 산객을 반긴다.
느티나무 ..
느티나무를 지나면 마을 주민들이 다닌 걷기 좋은 옛길이다.
걷기 좋은 옛길 ..
옛길 잠시 따르다 우측 능선으로 붙어 완만한 오르막 이어가면 길쭉한 공터에 선답자 코팅지가 있는 밤개산이다.
밤개산 정상 모습
밤개산 답사 기념으로 리본을 부착한다..
밤개산을 지나 능선 끝부분으로 진행하는데 하산할 지점에 태양광 발전소 펜스가 길게 처져 있다.
펜스 때문에 하산할 수가 없어 왔던 길로 잠시 빽해 지능선으로 우틀하여 내려가면 임도다.
임도 ..
임도에서 우틀하여 약 350m 가면 531번 도로다.
531번 도로 ..
531번 도로에서 좌틀하여 약 620m 가면 아침에 산행을 시작했던 흥창 버스정류장이다.
다시 돌아온 흥창 버스정류장 ..
버스정류장에 도착하여 시간을 보니 버스가 18분 뒤에 들어오는데 약간의 갈등이 생긴다.
여기서 원래 계획했던 용마산, 뒷산까지 진행하면 산행 마치고 1시간 이상 버스를 기다려야 한다.
날은 덥고 산이 없어지는 것도 아닌데 1시간 이상 기다리는게 너무 지루해 다음을 기약하고 포기한다.
흥창 버스정류장에서 산행을 마치고 정확한 시간에 들어오는 55번 버스를 타고 문막고속버스정류소로 간다.
문막고속시외버스정류소 ..
정류소 화장실에서 간단하게 씻고 대기실에서 시간을 보내다 14시 15분 강남터미널행 버스를 타고 귀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