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子曰 唯仁者能好人 能惡人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오직 어진 사람만이 남을 좋아할 수 있고, 남을 미워할 수도 있다.”라고 하셨다. ○ 唯之爲言 獨也. 蓋無私心, 然後好惡當於理, 程子所謂 “得其公正” 是也. 唯라는 말은 홀로라는 것이다. 대체로 사사로운 마음이 없는 연후에 좋아하고 미워함이 이치에 합당하게 되는 것이다. 정자가 말한 이른바 “그 공정함을 얻는다.”는 말이 바로 이것이다. 程子曰 仁者用心以公 故能好惡人 公最近仁 정자가 말하길, “어진 사람은 공정함으로써 마음을 쓰기 때문에, 남을 좋아하거나 미워할 수 있는 것이니, 公正이 仁에 제일 가깝다.” 라고 하였다. 朱子曰 程子之言 約而盡 公者心之正也 正者理之得也 一言之中 體用備矣 주자가 말하길, “정자의 말은 요약되었으면서도 할 말은 다 들어있다. 公이라는 것은 마음의 올바름이다. 正이라는 것은 이치를 터득함이다. 한마디 말 가운데 體와 用이 다 갖추어진 것이다.”라고 하였다. 公正今人多連看 其實公自是公正自是正 這兩箇字 相少不得 公是心裏公 正是好惡得來當理 苟公而不正 則其好惡必不能皆當乎理 正而不公 則切切然於事物之間求其是 而心却不公 此兩字不可少一 公正을 지금 사람들은 대부분 연결시켜 살펴보는데, 사실은 公은 公이고 正은 正이다. 이 2개의 글자는 서로 없어서는 안 된다. 公이란 마음속의 공평함이고, 正이란 좋아하고 미워함이 이치에 합당함을 얻어온 것이다. 만일 공평하지만 올바르지 않다면, 그 좋아하고 미워함이 반드시 전부 이치에 합당하지는 못할 것이고, 올바르지만 공평하지 않다면, 사물의 사이에서 절절하게 그 올바름을 구하지만, 마음은 도리어 공평하지 않은 것이다. 이 두 글자는 하나라도 없으면 안 된다. 程子只著公正兩字解這處 某怕人理會不得 故以無私心解公字 好惡當於理解正字 有人好惡當於理而未必無私心 有人無私心而未必好惡當於理 然惟公而後能正 公是箇廣大無私意 正是箇無所偏尙處 정자는 단지 公正이란 두 글자를 드러내어 이 부분을 풀이하였는데, 나는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할까 두려웠기 때문에, 사심이 없다는 것으로써 公자를 풀이하였고, 좋아하고 미워함이 이치에 합당하다는 것으로써 正자를 풀이하였다. 어떤 사람은 좋아하고 미워함이 이치에 합당하기는 하지만, 반드시 사심이 없는 것은 아닐 수도 있고, 어떤 사람은 사심이 없기는 하지만, 반드시 좋아하고 미워함이 이치에 합당한 것은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오직 공평한 이후에 능히 올바를 수 있는 것이다. 公은 광대하여 사사로운 뜻이 없다는 것이고, 正은 치우쳐 숭상하는 부분이 없다는 것이다. 胡氏曰 無私心體也 好惡當於理用也 호씨가 말하길, “사심이 없는 것은 體이고, 좋아하고 미워함이 이치에 합당한 것은 用이다.”라고 하였다. 雙峯饒氏曰 忠淸章論仁是因事而原其心 故先言當理而後言無私心 能好惡是由心而達於事 故先言無私心而後言當於理 쌍봉요씨가 말하길, “忠淸章에서 仁을 논한 것은 일을 바탕으로 그 마음을 근원을 미루어 한 것이기 때문에, 먼저 이치에 합당한 것을 말한 연후에 사심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능히 좋아하고 미워할 수 있다는 것은 마음을 말미암아서 일에 이른 것이기 때문에, 먼저 사심이 없는 것을 말한 이후에 이치에 합당한 것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
2 | ○ 游氏曰: “好善而惡惡, 天下之同情, 然人每失其正者, 心有所繫而不能自克也. 惟仁者無私心, 所以能好惡也.” 유씨가 말하길,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것은 천하가 다 똑같은 인정이다. 그러나 사람이 매번 그 올바름을 잃는 것은 마음에 얽매인 것이 있어 스스로 극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오직 어진 사람만이 사사로운 마음이 없기에, 이 때문에 능히 좋아하고 미워할 수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朱子曰 好善而惡惡 天下之同情 若稍有些私心 則好惡之情發出來 便失其正 惟仁者心中渾是正理 見人之善 則好之 見不善者 則惡之 或好或惡 皆因人之有善惡而吾心廓然大公絶無私繫 故見得善惡十分分明而好惡無不當理 故謂之能好能惡 주자가 말하길,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것은 천하의 똑같은 인정이다. 만약 조금이라도 사심이 있다면, 좋아하고 미워하는 정이 발현되어 나오자마자 그 올바름을 잃게 된다. 오직 어진 사람만이 마음속이 전부 올바른 이치라서, 남의 善을 보면 좋아하고, 不善을 보면 미워하는 것인데, 혹은 좋아하고 혹은 미워하는 것이 모두 남의 선악이 있음을 바탕으로 하되, 내 마음은 크게 공정하고 절대로 사사로운 얽매임이 없기 때문에, 선악을 매우 분명하게 알아볼 수 있으면서도, 좋아하고 미워함이 이치에 합당하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를 일컬어 능히 좋아하고 능히 미워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慶源輔氏曰 仁者心之德 純是義理 纔有纖毫私心 便是不仁 不仁則其好惡自然與義理相違悖矣 경원보씨가 말하길, “仁이라는 것은 마음의 덕이니 전부 의리인 것이다. 터럭 같은 사심이 조금이라도 있기만 하면, 곧바로 어질지 못한 것이니, 어질지 못하다면, 그 좋아하고 미워함이 자연히 의리와 더불어 서로 어긋나게 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胡氏曰 好其所是 惡其所非 人之至情也 然有一毫私意雜乎其間 則憎而不知其善 愛而不知其惡者 有矣 故好惡當理 惟仁者能之 仁者之心 渾然天理 無一毫私意 其心之所好 理之所當好 其心之所惡 理之所當惡也 호씨가 말하길, “옳다고 여기는 것을 좋아하고, 그르다고 여기는 것을 미워하는 것이 사람의 지극한 정이다. 그러나 터럭 하나만큼의 사사로운 뜻이 그 사이에 섞여들게 되면, 증오하되 그 善을 알지 못하고, 사랑하되 그 惡을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좋아하고 미워함이 이치에 합당한 것은, 오직 어진 사람만이 능히 해낼 수 있다. 어진 사람의 마음은 혼연히 전부 天理여서, 터럭 하나만큼의 사사로운 뜻이라도 없으니, 그 마음이 좋아하는 바는 이치상 당연히 좋아해야 할 바이고, 그 마음이 미워하는 바는 이치상 당연히 미워해야 할 바인 것이다.”라고 하였다. 雲峯胡氏曰 好惡之心 人皆有之 獨仁者能之 大學曰 惟仁人能愛人能惡人 皆須看能字 好惡當於理 始可謂之能 不然非能好能惡也 운봉호씨가 말하길, “좋아하고 미워하는 마음은 사람마다 모두 갖고 있지만, 오직 어진 사람만이 그것을 능히 해낼 수 있다. 대학에서도 말하길, 오직 어진 사람만이 능히 남을 사랑하고 능히 남을 미워할 수 있다고 하였으니, 모두 반드지 能자를 살펴보아야 한다. 좋아하고 미워함이 이치에 합당해야만, 비로소 그것을 일컬어 능히 해낼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능히 좋아하고 능히 미워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