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림1. 손가락을 넓게 벌리고 실밥은 많이 거머쥔 그립
보통 사회인야구 투수들이 직구를 던질때 잡는 그립이다. 실밥을 잡는모양만 다를 뿐 손가락 사이의 간격은 직구라고 말하기보다는 스플리터에 가까운 그립이다.
공을 이렇게 잡게 되면 결과적으로 손바닥과 공이 가깝게 붙어있게 되어 공을 채지 못하게될뿐만 아니라 자신의 힘에 비해 구속이 떨어지게 된다. 장점이 있다면 제구가 쉽다는 것이다.
손가락 끝이 실밥을 넘어서게 잡고 던지면 공을 챈다고 하더라도 실밥을 채는것이 아니라 갖구을 채게된다.
따라서 회전력이 떨어지게 된다.
그림2. 공을 채는 훈련과 스피드향상을 위한 그립 교정하기
이미 위의 그림1과 같은 그립으로 습관이 들었다면 교정하기가 쉽지않을 것이다.
또한 그림3과 같이 잡고 던지면 공이 빠지거나 좌우로 제구가 안될 것이다. 천리길도 한걸음부터라고 먼저 공을 "챈다"는 느낌을 확실히 익히기 위해서 그림2와 같이 정상적인 직구그립보다 손끝이 실밥에 닿지 않을 정도로 뒤로 빼서잡고 검지와 중지는 붙인다.
이상태에서 그림2-1처럼 손가락 스냅만 이용해서 공중으로 곡ㅇ을 던진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마지막 공이 손가락에서 떠나는 위치는 손가락의 끝부분(①)이 되어야 한다. 손가락의 마디(②)가 되어서는 절대 안된다. 제대로 손가락의 끝부분 (①)에서 떠났다면 손가락끝에 실밥이 닿는 느낌과 함께 공의 무게를 손가락끝으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에 회전이 평소보다 많이 먹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쉬울것 같지만 검지와 중지를 바짝 붙인상태에서 손가락의 스냅만으로 의도한대로 똑바로 허공으로 던지는 것도 수비지않다. 그러나 계속해서 연습하다보면 의도한대로 공을 허공으로 던질 수 가 있을 것이다. 처음에는 제대로 손가락끝에서 공을 떠나게되면 기타를 치는것처럼 손끝이 아플것이다. 그림1처럼 공을 잡고 던지면 죽을때까지 던져도 손끝은 안 아프고 어깨만 아플것이다.

그림3. 직구그립(검지와 중지 사이는 1cm까지는 벌려도 된다)
처음에는 이렇게 공을 잡으면 왠지 공이 손에서 빠질듯이 불안하고 좌우균형이 안 맞는거 같기도 했을 것이다. 하지만 위의 그림2처럼 공을 잡고 그림2-1처럼 훈련을 하고 난 다음 그림3처럶 잡으면 이제는 공을 넉넉하게 잡은것 같고 편한 느낌이 들 것이다. 검지와 중지를 붙여서 잡았을때 균현을 못 잡는것은 검지와 중지의 힘의 안배를 못해서 그런것인데 그림2-1에서 훈련을 통해 극복한 것이다.
스피드를 늘리려면 변화구는 던지지말아야 한다. 어느정도의 궤도에 올랐다고 생각되었을때 변화구를 던져라.
빠른 직구를 구사하지 못하는 상태에서의 변화구는 타자에게는 치기좋은 공일 뿐이다.

그림 4. 피칭에서 공을 채는 동작
흔히들 손목의 스냅을 주라는 말을 많이힌다. 하지만 나는 손가락의 스냅을 주라는 말을 하고 싶다.
(기타줄을 팅기듯이 손끝으로 공을 팅기는 것이다. 손끝으로 실밥을 긁는다는 느낌)
상단그림은공을 제대로 채지 못하는것으로 동작을 분석해보면 손목의 스넵까지만 있고 손가락의 스냅이 들어가지 않아서 손가락 힘의 방향(①)이 손목의 힘 방향(③)과 같다. 결과적으로 손가락끝으로 공을 채지 못하고 손가락마디(②)에서 공이 떠나고 만다.
공을 던질때 손가락은 받침대 역할밖에 못하는것이다.
하단그림은 공을 제대로 채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상단의 그림과는 달리 손목의 힘의 방향(ⓒ)과 손가락의 힘의 방향(ⓐ)이 다르고 공이 떠나는 위치도 손가락 마디가 아니라 손가락 끝부분(ⓑ)이다.
손가락힘의 방향은 ①보다 훨씬더 아래를 향하고 있다.
첫댓글 음...저렇게 던지는거군,.,,근데 왜 난 공을 채지못하지,,삐꾸인가,.
오~ 좋은 정보... 집에서 혼자 연습하기에 좋은 자료네~~
손가락이 짧아도 되는 연습인겐가???ㅜㅡ
고무줄에 공을 메달아 놓고 긁고채는 감 잡아 가는것도 좋겠고 또는 당구다이에서 검지, 중지로 누르면서 시네루 입빠이 주는 훈련하면 감 좋아질듯합니다. 커브나 체인지엎은, 문의 손잡이 열심히 돌렸다 놨다 반복훈련으로 가능하지 싶습니다. 믿거나 말거나~~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