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는 글
우리 산하에 있는 참나무는
어떤 나무들이 있을까요?
먼저, 익히 알고있는
자생낙엽참나무 6헝제입니다.
상수리, 굴참, 신갈, 떡갈, 갈참, 졸참나무.
우리 산하의 전국에 있습니다.
다음은 남해안 섬과 제주에 있는
상록의 가시나무입니다.
제주도 방언으로
도토리를 가시라고 한 답니다.
가시가 있는 나무가 아닌 참나무들입니다.
자생상록참나무 5형제인
가시나무, 개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붉가시나무입니다.
외국에서 들어온 참나무도 있다.
가로수로도 많이 볼 수 있는데
미국에서 온 대왕참나무와
독일에서 온 루브라참나무가 있다.
그러니
우리산하에 있는 참나무는
대략 13종의 참나무가 살고 있다.
이 들중에 오늘은 자생낙엽참나무의
마지막인 졸참나무를 공부합니다.
※ 참나무류 6형제 잎, 열매 비교표
(이번엔 졸참나무에 집중해서 보자)
_ 졸참나무 잎의 모양과 잎자루가
갈갈나무와 가장 비슷하게 보인다.
_ 열매의 깍지나 타원형견과는
길참나무와 닮아 있다.
* 생김새
_ 영양 송하리 졸참나무숲 (당숲)
_ 영양군 수비면 졸참나무
_ 영덕 신기리 졸참나무
_ 안동 임동면 졸참나무
_ 한라생태숲 졸참나무
_ 삼척 갈전리 당숲의 졸참나무
* 해설포인트
첫째, 졸참나무는 이렇습니다.
_ 잎의 모양은 거꿀달걀형이다
_ 잎자루가 있다. (드러나 보인다)
_ 잎 뒷면이 회백색이다.
_ 열매의 깍지가
삼각형 비늘잎으로 덮혀 있다.
_ 열매의 견과는 타원형으로 길쭉하다.
_ 참나무중 잎도 열매도 가장 작다.
_ 잎의 가장자리에는 끝이 뾰족하고,
거치는 안으로 휘는 톱니가 있다
_ 단풍은 적황색이나 적갈색으로 먼저
물들었다가 마지막에 갈색 단풍이 된다.
(갈참나무와 같이 단풍이 아름다운
참나무다.)
둘째, 이름은?
'졸참나무’란 이름은
잎과 열매가 참나무중 가장 작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잎과 열매는 작지만
나무의 크기가 작은 건 아니다.
오히려 큰 수관을 자랑한다.
6형제 참나무의 이름의 유래를 알아봤는데
도토리란 말의 유래도 알아보자.
도토리란 말은
돼지를 말하는 돝밤이 도톨밤이 되었다가
시대가 변화하면서 밤이 탈락되고
이가 붙었다는 설이다.
즉, 도톨 + 이 -> 도톨이 -> 도토리가
되었다는 것이다.
세째, 도토리묵이 가장 맛있는 참나무는
도토리로 묵을 만들어 먹는 나라는
우리나라밖에는 없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참나무중 어느 나무의 도토리로
만든 도토리묵이 가장 맛있을까요.
물론 식성과 만드는 사람에 따라
맛이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졸참나무의 도토리가
가장 맛이 좋다고 합니다.
다른 참나무의 도토리보다
졸참나무 도토리가
떫은맛이 덜하고 열매의 속껍질도
쉽게 분리되다고 하네요.
도토리로는 도토리묵이외에도
도토리묵수제비, 도토리묵밥,
도토리쟁반국수, 도토리칼국수도
만들어 먹습니다.
네째, 산에서 만나는 참나무중
졸참나무를 알아보는 방법은?
_ 잎모양이 거꿀달갈형인데
잎자루가 보이네
갈참이나 졸참나무다.
_ 그런데 잎의 크기가 작네.
졸참나무로군
_ 크기로는 긴가민가 어려우면
잎의 톱니가 다소 안쪽으로 향하면
졸참나무다.
_ 도토리 견과가 타원형으로
깍지에 털복숭이가 전혀 없네!
갈참이나 졸참나무다.
_ 그런데 견과가 작고 길면
졸참나무다
* 일반사항
_ 학명은
Quercus serrata Murray
_ 개화기는 4~5월
_ 분포지역은
히말라야, 일본, 대만, 중국
_ 한반도에서의 분포는
전국의 표고 100~1,800m인 곳
_ 형태는
낙엽 활엽 교목.
_ 크기는
높이 23m, 지름 1m.
_ 영명은 Konara Oak이다
* 생태 _ 형태별 모습
_ 잎은
어긋나기한다.
타원형 또는 달걀상 피침형이다.
톱니는 다소 안쪽으로 향한다.
표면에 털이 있다.
잎자루가 있고
잎자루에는 대부분 털이 있으나
없는 것도 있다.
_ 꽃은
암수한그루이며 4~5월에 핀다.
수꽃차례는
새 가지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아래로 처지고,
암꽃 차례는
새가지 윗부분에서 곧게 선다.
_ 열매는
깍정이를 덮고 있는 비늘잎이
참나무 중에서 가장 작으며
피침형이고 가장 작고
견과를 1/3 미만으로 감싼다.
견과는 타원형이고
9월말에 성숙한다.
_ 줄기는
하나의 줄기가 곧게 자란다
_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처음에는 평활하지만
나중에는 얕게 세로로 갈라진다.
_ 일년생가지에
견모가 밀생한다.
* 자생낙엽참나무 6형제 구분요령
※ 최근 작성된 어느 님의 네이버블로그의
글에서 본 사진자료가 넘 잘 되어 있어
교육용으로 좋겠다고 생각되어 인용합니다.
1. 잎이 타원형이면
_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이다
_ 잎 뒷면이 회백색이면 굴참나무,
연녹색이면 상수리나무다
_ 감나무 잎도 비슷한데
거치의 색이 녹색이다.
2-1. 잎이 거꿀달걀형이고
잎자루가 없으면
_ 떡갈나무, 신갈나무이다.
_ 거치가 굵은 톱니는 신갈나무
물결 톱니는 떡갈나무다
_ 잎의 크기가 일반적으로
떡갈나무가 크다.
(떡갈나무는 잎과 도토리가
참나무중 가장 크다)
_ 도토리가 보이면
털복숭이깍지가 떡갈나무다.
2-1. 잎이 거꿀달걀형이면
잎자루가 있으면
_ 갈참나무, 졸참나무이다.
_ 잎의 크기가 일반적으로
적으면 졸참나무다.
(졸참나무는 잎과 도토리가
참나무중 가장 작다)
_ 거치의 가장자리에 안으로 굽은
톱니가 있으면 졸참나무이다
_ 도토리는 갈참나무에 비해
졸참나무가 날렵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