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昔者莊周夢爲胡蝶(석자장주몽위호접) : 언젠가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되어[언젠가 장주가 나비들이 떼지어 사는 꿈 속의 나라에서~여기서 胡(호)라는 글자는 어느 곤충에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나비들이 떼지어 사는 꿈 속의 나라를 말한다]
栩栩然胡蝶也(허허연호접야) : 훨훨 날아다니는 나비가 된 채
自喩適志與(자유적지여) : 유쾌하게 즐기면서도
不知周也(부지주야) : 자기가 장주라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俄然覺(아연각) : 그러다가 문득 잠에서 깨어나 보니
則蘧蘧然周也(칙거거연주야) : 자신이 분명히 누워 있는 게 장주였다네.
不知周之夢爲胡蝶(부지주지몽위호접) : 그가 꿈에서 나비가 된 것인지
胡蝶之夢爲周與(호접지몽위주여) : 나비가 꿈에 그가 된 것인지 몰랐다네.
周與胡蝶(주여호접) : 장주와 나비는
則必有分矣(칙필유분의) : 틀림없이 다른 존재일 것이므로
此之謂物化(차지위물화) : 이를 사물의 변화라 이른다."
꿈이 현실인지 현실이 꿈인지, 도대체 그 사이에 어떤 구별이 있는 것인가? 장주와 나비 사이에는 피상적인 구별, 차이는 있어도 절대적인 변화는 없다. 장주가 곧 나비이고, 나비가 곧 장주라는 경지, 이것이 바로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세계이다. 물아의 구별이 없는 만물일체의 절대경지에서 보면 장주도 나비도, 꿈도 현실도 구별이 없다. 다만 보이는 것은 만물의 변화에 불과할 뿐인 것이다. 이처럼 피아(皮我)의 구별을 잊는 것, 또는 물아일체의 경지를 비유해 호접지몽이라 한다. 오늘날에는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해서 쓰이기도 한다.
胡蝶之夢(호접지몽)은 莊子(장자)의 이름이 周(주)이기 때문에 莊周之夢(장주지몽) 이라고도 하며, 老莊思想(노장사상)을 나타내는 유명한 말이 되었다. 호접지몽과 비슷한 말로 一場春夢(일장춘몽)이 많이 거론되며, 둘 다 인생의 허무함을 나타내는 말로 많이 쓰이곤 한다. 그러나 一場春夢(일장춘몽)과 胡蝶之夢(호접지몽)은 비슷하지만 아주 다른 뜻을 가진다. 일본인과 한국인이 비슷하게 생겼지만, 아주 다른 사람들인 것처럼 말이다. 一場春夢(일장춘몽)은 사람의 일생은 잠시 꾼 꿈처럼 정말 덧없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하지만 노장사상의 핵심은 일장춘몽처럼 虛無主義(허무주의)가 아니다. 老莊思想(노장사상)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善(선)과 惡(악), 美(미)와 醜(추), 長(장)과 短(단), 등의 구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그것을 판단하는 인간의 인식 그렇게 작용하는 것뿐이며, 그런 불완전한 인식을 바탕으로 할 수밖에 없는 人爲的(인위적)인 것들은 최소화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장자는 선악의 구별에 강하게 사로잡힌 사람들에게, 그들이 절대적이라고 믿고 있는 진리마저도, 그저 생생한 꿈처럼, 절대적인 진리가 아닐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기 쉽게 나비의 꿈에 빗대어 말한 것이리라.
근대 서양철학의 바탕이 된 데카르트는 ‘Cogito, ergo sum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이라고 하였지만, 호접지몽의 장자는 자기자신마저도 의심을 한 것이다. 자기자신의 존재마저도 의심 해 볼 수 있는 정도의 史游(사유)라면, 자신의 신념은 더더욱 의심을 해 볼 수밖에 없다.
위쇼스키(Wachowski) 형제의 영화 매트릭스(The Matrix)를 보면, 사람들이 현실에 살고 있는지, 아니면 기계가 만들어낸 가상현실인 매트릭스의 세계에 살고 있는지, 정확히 알아낸다는 것은 아주 어려운 문제이다. 胡蝶之夢(호접지몽)처럼 말이다. 우리가 아주 생생한 꿈을 꾸었을 때도 현실과 혼동되기는 마찬가지이다.
한때는 공산주의가 절대적 진리처럼 믿고 살았던 많은 나라들이 지금은 거의가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다. 산업혁명을 시작으로, 제국주의 전쟁으로 인류의 수많은 희생을 치러가며, 온 세계를 휩쓸고 있는 서양의 물질만능 자본주의 역시 이전에는 마치 절대적인 진리처럼 보였겠지만, 물질만능주의 때문에 인간존엄성의 상실이 만연된 지금은 자본주의가 절대적 진리가 될 수 없음을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있다. 그 시대에 적당한 것은 있겠지만, 절대적인 것은 없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다면 장자의 사상을 나타내는 胡蝶之夢(호접지몽)의 참 의미는 허무주의에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모든 分別(분별)을 經界(경계)하는 佛敎(불교)의 色卽是空(색즉시공)과 맥락을 같이 한다.
요즘 들어 각종 이슈에서 서로간의 대립이 많다. 정치의 현장에서, 직업의 현장에서, 가정에서, 친구와의 만남에서, 자기의 의견만이 진리라고 강하게 주장하는 사람들일 많이 보게 된다. 지금 자신이 누군가와 논쟁중이라면, 혹은 누가 미워서 못살 지경이라면, 무조건 자신의 의견이 옳다고 우기기만 하고, 미워만 하지 말고, 胡蝶之夢(호접지몽)을 떠올리며 천천히 생각해 보자 과연 내말이 절대적인 眞理(진리)이며 내가 절대적인 善(선) 일수 있는지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