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자신의 외모가 남들보다 예쁘고 훌륭하기를 추구한다.
이는 인류가 생존하면서 시작된 하나의 본능이자 관습인 것이다. 원시시대에는
식물이나 광물 등 주변 자연환경에서 얻은 다양한 색료와 물질로 얼굴과 신체를
꾸미기 시작했을 것이고, 인간들이 차츰 농경문화를 접하고 부락과 부락, 부족과
국가라는 사회의 개념이 발생하기 시작하면서 그들만의 고유한 문화라는 것이
생겨났을 것이다. 이러게 다양한 미적 요구들이 그들의 문화와 그들이 가지는
시각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변모하고 발전하여 오늘날 화장 문화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것이다. 메이크업(make-up)이라함은 코스메틱(cosmetic -화장품)을
포함한 의미로 그리스어인 코스메티코스(cosmeticos)에서 유래되었으며,
페인팅(painting- 그림 그리기, 회화, 채색), 토일렛(toilet-화장실, 목욕·머리 쪽지기도
포함하는 몸단장, 옷맵시, 거울·빗·솔 등 화장도구 일습), 드레싱(dressing) 등으로
화장의 의미를 지닌다. 이것은 다양한 화장품과 여러 도구를 사용하여 신체를
아름답고 건강하게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하겠다.
우리나라에서도 메이크업의 의미를 지닌 다양한 어휘가 있었는데 이는 꾸밈의 정도를 세분화하여 사용하였던 것이다. 본래 화장과 화장품은 우리나라 고유 어휘가 아니며, 이는 개화기 이후 일본에서 유입되어 사용되었던 어휘로 가화(假化) ·가식(假飾) ·꾸밈 등의 뜻을 지닌 것으로 ‘거짓꾸밈’을 말한다. 화장에 해당하는 순수한 한국어는 장식(粧飾/裝飾) · 단장(端粧/丹粧) ·야용(冶容)이고, 화장품은 장식품(粧飾品) ·장렴(粧匳) ·장구(粧具) 등이 있다. 이처럼 다양한 표현이 있는 것은 가리키는 의미가 약간씩 다르기 때문이다.
사진 출처: http://cafe.naver.com/mbsschool/13
이는 한국의 옛 화장개념이 현대 개념과 달리 가화 ·가식 등의 미화개념으로만 해석되었던 탓도 있겠지만, 입체화장 ·수정화장을 하지 않고 평면화장에 치중했던 이유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여염집 여성들이 평상시의 화장과 나들이화장을 구분하였고, 그들 자신의 화장과 기생(妓生) ·무녀(舞女) ·악공(樂工) 등의 직업적인 의식화장(儀式化粧)을 애써 구별하려 했던 관습에 기인하기도 한다.
인간이 언제부터 화장을 시작했는지를 밝히는 일은 고대와 현대의 화장 형태가 다른 점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지극히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통설에 의하면 아름다워지고자 하는 욕망이 인간의 본능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지만, 종교적인 필요성에서, 자신을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신분 ·계급을 나타내는 수단으로서 태고부터 치장했다고 한다.
메이크업이란 호칭이 대중화된 것은 미국의 헐리우드 전성시대로 여배우들의 화장 효과가 중시되면서 부터이다.
- 용어정리
* 페인팅(painting) : 16C 세익스피어의 희곡 중에 나오는 단어로 이는 이틸리아의 르네상스에 전래된 짙은 화장을 가리키는 것이다. 16-17C에 연백을 원 료로 만든 분을 “페인트(paint)"라 불렀고 후에 백납분에 색상과 향료를 섞어서 만든 다채로운 안료를 얼굴에 색칠하는 것으로 즉 분장을 의미함.
* 마뀌아즈(maquillage) : 프랑스어로, 분장을 의미하는 영극 용어로 화장, 분장을 뜻함.
* 뜨왈렛뜨(toilette) : 프랑스어로 원래 토일렛(toilet-화장실)이라는 의미인데 1540년경 영국에 정해지면서 가벼운 화장을 포함한 몸치장 전반을 가리키는 용어.
* 메이크업(make-up) : 17C초 영국 시인 리차드 크라슈(richard crashou)가 “여성의 매 력을 높여주는 행위를 메이크업이라 한다.”라고 처음 사용.
* 야용(冶容) : 얼굴화장만을 가리킴
* 장식(粧飾) : 일반적인 화장
* 장식(裝飾) : 장신구까지 치장
* 성장(盛裝) : 옷차림마저 화사하게 하였을 때
* 담장(淡粧) : 피부를 희고 깨끗하게 가다듬는 기초화장 정도의 엷은 화장
* 농장(濃粧) : 짙은 색조화장. 단장(丹粧) 또는 성장(盛粧)이라고도 함
* 염장(艶粧) : 짙고 요염한 색채 화장으로 기생이 했던 분대화장
서울종합예술학교 뷰티예술학부 교수 진희정
출처: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