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경에 나오는 용어를 설명한 글입니다. 독경하실 때 참고하세요.
지장경 용어 해설
1품 도리천에서 신통을 보이시다
도리천 : 욕계의 6개 천상세계 중 두 번째 천상세계로 삼십삼천이라고도 하며 수미산 정상에 위치하여 지거천이라고 함
시방 : 동, 서 ,남, 북, 동남, 동북, 서남, 서북, 상, 하의 열 방향
보살마하살 : 보살은 성문ㆍ연각ㆍ보살을 합쳐서 깨달은 사람이란 뜻이고 보살마하살 은 곧 보살 가운데서 10지에 이른 보살을 말함
오탁악세 : 겁탁, 견탁, 번뇌탁, 중생탁, 명탁의 다섯 가지 더러운 것이 가득 차 있는 세상
광명 : 불ㆍ보살이 내는 빛
6바라밀 : 우리나라 불교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보살의 실천행이다. 생사의 고해를 건너 이상경인 열반의 세계에 이르는 실천수행법 보시바라밀, 지계바라밀, 인욕바라 밀, 정진바라밀, 선정바라밀 반야바라밀
사바세계 : 불교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일컫는 말.
문수사리법왕자보살마하살 : 문수보살. 지혜와 공덕이 뛰어나고 석가모니불과 비로자 나불의 왼쪽(좌보처) 에 계시며 바른 손에 지혜의 칼을 왼손에 연꽃을 드시고 지 혜의 왕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자를 타고 계시다.
겁 : 시간의 단위로 무한히 긴 시간
불안 : 오안의 하나. 모든 법의 참모습을 보는 부처의 눈이다.
오안은 수행에 따라 도를 이루어 가는 순서를 보인 다섯 가지안력(眼力). 가시 적인 물질인 색(色)만을 보는 육안(肉眼), 인연과 인과의 원리에 따라 이루어진 현 상적인 차별만을 볼 뿐 실체를 보지 못하는 천안(天眼), 공(空)의 원리는 보지만 중생을 이롭게 하는 도리는 보지 못하는 혜안(慧眼), 다른 이를 깨달음에 이르게 하지만 가행도(加行道)를 알지 못하는 법안(法眼), 그리고 모든 것을 보고 모든 것 을 다 아는 불안(佛眼)을 이른다.
선근 : 착한 행업이 뿌리가 되어 모든 선을 길러낸다는 뜻
성문 : 소리를 듣는 사람이란 뜻으로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깨달은 제자
천룡팔부 : 불법을 지키는 신장들로 천·용·야차·건달바·아수라·가루라·긴나라·마후라가
삼천대천세계 : 고대 인도인의 세계관에서 전 우주를 가리키는 말. 수미산을 중심으로 하여, 지옥계나 도솔천(兜率天), 범천계 등을 포함하며, 한 개의 태양과 한 개의 달을 가진 공간을 일세계(일사주)라고 한다(현대의 태양계에 해당 한다). 우주에는 이와 같은 세계가 무수히 존재하는데 그들이 1000개 합쳐진 공간 을 소천(小千)세계라고 하며(현재의 은하계에 상당한다) 소천세계가 1000개 합쳐진 것을 중천(中千)세계라고 하고 중천세계가 1000개 합쳐진 것을 대천(大千)세계라고 하는데 대천세계는 소중대의 3종의 천이 겹쳐진 것이기 때문에 삼천대천세계라고 한다.
항하 : 인도의 갠지스 강을 한문으로 번역한 말
십지과위 : 보살이 수행하여 성불에 이르는 52계위가 있는데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이다. 십지에 이른 보살을 마치 대지와 같아서 낳고 기르는 능력과 덕을 갖추었고 관대하고 후중하여 움직임이 없으므로 지(地)라 한다.
벽지불 : 독각, 연각, 독성이라 함.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지하지 않고 혼자 깨달은 이.
위신력 : 부처님의 자리에서 나온 존엄하고 헤아릴 수 없는 불가사의한 힘
부처님의 위신력 : 부처님만 가지신 위대한 덕성으로 18불공법이라고 하며 십력(十力), 사무소외(四無所畏), 삼념주(三念住), 한없는 대비심(大悲心)을 뜻함
서원 : 원을 세우고 기필코 이루겠다고 맹세하는 것
삼십삼천 : 욕계 제 2천인 도리천을 말함, 도리천은 사방에 8개의 국토와 중앙에 한 개의 국토가 있어서 4x8=32에 하나를 더해 33개가 되어 33천이라고 한다.
악도 : 악업을 지어서 죽은 뒤에 나는 고통의 세계. 지옥ㆍ아귀ㆍ축생을 삼악도라 힘
상호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 부처의 화신에는 뚜렷해서 보기 쉬운 32가지의 상과 미세해서 보기 어려운 80가 지의 호가 있다.
중생 : 유정이라고도 함. 생명력이 있는 일체의 살아있는 생명
육도중생 : 지옥ㆍ아귀ㆍ축생ㆍ아수라ㆍ인간ㆍ천상이며 윤회를 하는 세상의 중생들
해탈 : 번뇌와 미혹의 세계를 뛰어 넘는다는 뜻
삼보 : 불교를 믿는 사람이 존중하는 불보(부처님)ㆍ법보(부처님 말씀)ㆍ승보(스님)
아승기 : 10의 56승(10⁵⁶)을 말하며, 수로 표현할 수 없는 가장 많은 수를 말하며 갠지스 강의 모래 수를 뜻함
나유타 : 인도의 수량의 단위로 대단히 큰 수 천만이나 천억을 뜻함
상법시대 : 정법ㆍ상법ㆍ말법의 삼시관(三時觀)의 하나로 정법시대 천년, 상법시대 천년 그 이후를 말법시대라 함
방편 : 중생을 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해 각자의 능력에 맞추어서 불법을 이해 시켜 제 도하는 지혜 또는 그 방법
무간지옥 : 불교에서 말하는 여러 지옥 중 고통이 가장 극심한 지옥
탱화 : 불ㆍ보살ㆍ선신(善神)등을 그린 불교의 신앙내용을 나타낸 그림. 후불탱화(後佛 幀畵), 신중탱화(神衆幀畵)와 감로탱화(甘露幀畫)의 세 종류가 있음
명호 : 이름과 호칭. 특히 불보살의 이름을 가리키는 말
예불 : 경건한 마음으로 부처에게 절함. 사찰에서 아침·저녁 두 차례에 걸쳐 부처나 보살에게 예배하는 의식.
야차 : 모습이 추악하고 잔인한 귀신으로 하늘을 날아다니며 사람을 괴롭힌다고 함
철위산 : 쇠로 이루어진 산으로 9산중 가장 밖에 있는 산
남염부제 : 남섬부주, 염부제라고 부르며 우리가 사는 세계를 말함
사십구일 : 49재를 뜻하는 말로 7품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음
유순 : 인도의 거리의 단위. 40리에 해당하며 황소가 멍에를 메고 하루를 걸어가는 구간
삼업 : 살아가며 몸과 입과 뜻으로 짓는 모든 행위
바라문 : 인도의 4계급 중 최고의 지위를 가진 종족으로 승려계급
탑사(塔寺) : 불탑과 절
2품 분신들이 모이다
분신 : 부처가 중생을 교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몸으로 나타남
아누다라삼먁삼보리 : 무상정등정각. 위없이 높고 바르고 평등하고 원만한 부처님의 깨달음
근기 :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을 받고 교화를 입을 수 있는 소질과 닦아 얻은 능력
육도 : 지옥, 아귀, 축생, 인간, 아수라, 천상의 6종류 세계로 윤회를 함
부촉 : 맡기고 부탁함. 부처님이 교법을 잘 전해줄 것을 부탁하는 뜻
비구 : 걸사. 남자가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은 사람. 남자스님
비구니 : 여자로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은 사람. 여자스님
우바새 : 청신남. 재가 신도로 삼보에 귀의하고 오계를 받아 삼보를 섬기는 남자신도
우바이 : 청신녀. 재가 신도로 삼보에 귀의하고 오계를 받아 삼보를 섬기는 여자신도
나한 : 아라한. 불교에서 최고의 깨달음을 얻어 윤회를 하지 않는다.
미륵불 : 대승불교의 대표적 보살 가운데 하나로, 석가모니불에 이어 중생을 구제할 미 래의 부처. 석가모니불이 입멸한 뒤 56억 7천만년이 되는 때에 다시 사바세계에 출 현하여 모든 중생을 교화함. 성불하기 이전까지는 미륵보살이라 하고 성불한 이후는 미륵불이라 한다.
보리 : 부처, 연각, 성문이 그 능력에 따라 얻은 깨달음의 지혜
업 : 미래에 선악의 결과를 가져오는 원인이 된다고 하는 몸과 입과 마음으로 짓는 선 악으로 개인의 의지가 포함된 모든 행위
귀의 : 뛰어난 사람에게 의지하는 것으로, 훌륭한 것을 절대적으로 믿고 따르는 것을 의미.
삼귀의(三歸依) : 부처와 부처의 가르침, 부처의 가르침을 전하는 승단을 믿고 따른다 는 것을 말함
3품 중생의 업연을 살피는 모습
계율 : 불자가 지켜야할 생활 규범
가람 : 불상을 모시고 승려들이 거주하면서 불도를 닦고 불교의 교법을 설하는 곳. 사원, 사찰, 절
보습 : 쟁기, 가래 따위 농기구의 바닥에 끼우는, 넓적한 삽 모양의 쇳조각.
합장 : 두 손바닥을 합하여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타냄
정례 : 옛날 인도에서 행해진 최대의 경례로서 불전에 부복하여 머리를 땅에 대고 부처의 발을 예배함을 의미하는 말
4품 사바세계 중생들이 지은 업보를 받는 모습
오도 : 중생이 선악의 업보에 따라 가는 다섯 세계. 곧 천도, 인도, 축생도, 아귀도, 지 옥도이다.(아수라는 천상세계와 인간세계에 있어 제외됨)
여래십호 : 여래, 응공, 정변지, 명행족, 선서, 세간해, 무상사, 조어장부, 천인사, 불세존 이며 부처님을 칭송하는 10가지 이름
발원 : 어리석고 나쁜 마음을 버리고 밝고 큰마음으로 살겠다고 다짐하는 불자의 바람
천도 : 근본 마음을 깨달아 안정된 곳으로 인도함. 불ㆍ보살님께 재를 올리고 독경, 시 식 등으로 혼령을 정토나 천상에 태어나도록 기원하는 의식
선정(禪定) : 한마음으로 사물을 생각하여 마음이 하나의 경지에 정지하여 흐트러짐이 없음
수미산 : 인도의 세계관으로 4주 세계의 중앙에 높은 산으로 중간에 사천왕천이 정상 에 제석천이 있다.
업보 : 전생의 업으로 인해 받는 과보
무우국토 : 근심 걱정이 없는 세계로 극락세계를 뜻함
불과(佛果) : 수행으로 이른 부처의 경지. 깨달음의 경지. 깨달음.
삼악도 : 지옥, 아귀, 축생의 3종류의 나쁜 세계
재 : 공양(供養)을 올리면서 행하는 종교의식
법회 : 좁게는 불법(佛法)을 강설하기 위한 모임, 넓게는 승려 및 신도가 한 곳에 모여 불사(佛事)를 행하는 일. 법사(法事)·법요(法要)· 불사·재회(齋會) 등 여러 가지가 쓰인다. 한국에서 현재 행해지고 있는 법회는 ① 삼귀의(三歸依), ② 찬불가(讚佛歌), ③ 독경(讀經:般若心經), ④ 입정(入定), ⑤ 청법가(請法歌), ⑥ 설법(說法), ⑦ 정근(精勤), ⑧ 발원(發願), ⑨ 산회가(散會歌), ⑩ 사홍서원(四弘誓願)의 순으로 진행된다.
일반적인 강설법회 외에도 현재 한국에서 행해지는 법회는 크게 11가지로 나눌 수 있다. ① 아침저녁의 예불의식(禮佛儀式)과 이에 따르는 종송(鐘頌) ·독경(讀經) ·송주(誦呪) ·상축(上祝), ② 사람의 사후(死後) 49일 동안 사자(死者)의 명복을 빌어 삼계육도(三界六道)의 윤회에서 벗어나 극락왕생(極樂往生)을 바라는 각종의 재(齋), ③ 살아서 금생(今生)에서의 수복(壽福), 죽은 뒤에는 왕생극락을 비는 생전예수재(生前預修齋), ④ 법계(法界) 안의 물이나 허공에 있는 모든 중생을 천도하는 수륙재(水陸齋), ⑤ 물고기나 그 밖의 수족(水族)들이 그물에 잡혀 죽게 된 것을 다시 물 속에 놓아 살려 주는 방생법회(放生法會), ⑥ 다과진수(茶果珍羞)를 베풀어 독경(讀經)과 염불(念佛)로써 영혼을 천도(薦度)하는 시식법회(施食法會), ⑦ 이미 지은 죄업장(罪業障)을 참회(懺悔)하고 깨끗한 삶을 다짐하는 예문식(禮文式), ⑧ 불상을 조성했거나 가사(袈裟)를 지었거나 탑(塔)을 만들었을 때에 거행하는 점안식(點眼式), ⑨ 괘불(掛佛)을 모시거나 가사나 사리(舍利) 등을 봉안할 때의 이운식(移運式), ⑩ 부처의 제자가 되기 위하여 5계, 10계, 250계 금계(禁戒)를 받는 수계식(受戒式), ⑪ 사람이 죽었을 때의 장례의식인 다비식(茶毘式) 등이 있다.
대승(大乘) : 중생을 제도하여 부처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불교. 그 교리, 이상, 목적이 모두 크고 깊으며 그것을 받아들이는 중생의 능력도 큰 그릇이 라 하여 이렇게 이른다. 소승을 비판하면서 일어난 유파로 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가 이에 속함
본말(本末) : 사물이나 일의 처음과 끝.
죄고(罪苦)중생 : 중생이 지은 죄 때문에 받는 괴로움.
무도(無道) : 말이나 행동이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도리에 어긋나서 막됨
5품 지옥들의 이름
사부대중 : 불교 교단을 구성하는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전체
고초(苦楚) : 괴로움과 어려움을 아울러 이르는 말. 쓰라림, 고통, 고난
과보(果報) : 과거의 업인(業因)에 따른 결과. 앞서 행동했던 선한 행위[善業]에 의해 낙 과(樂果)를 받고, 악한
행위[惡業]에 의해 고과(苦果)를 받는다는 사상
6품 부처님께서 찬탄하시다 사람아닌 무리 : 인도의 전설에 나오는 긴나라, 가루라, 건달바 등을 뜻한다.
보광보살 : 무수한 화신으로 변할 수 있고 동시에 세상의 여러 지점에서 나타나 며 요청이 없이도 중생들을 친구로 사귀고 평안하고 길상을 주심
열반락 : 구경락. 모든 욕심을 끊고 열반을 증득하면 생ㆍ멸ㆍ고ㆍ락이 없어진 즐거움
현겁 : 삼겁의 하나. 과거의 주겁(住劫)을 장엄겁, 미래의 주겁을 성숙겁, 현재의 주겁을 현겁이라 함
육근 : 심신을 작용하는 여섯 가지 감각기관으로서, 눈(眼根)ㆍ귀(耳根)ㆍ코(鼻根)ㆍ
입(舌根)ㆍ몸(身根)ㆍ뜻(意根)의 총칭
업장 : 번뇌로 인해 일어난 장애. 말, 행동과 마음으로 악업을 지어 정도(바른 길)를 방해하는 모든 장애
숙세 : 오래라는 뜻으로 전생, 과거세를 뜻한다. 찰제리 : 인도의 4계급 중 왕족, 귀족의 지배계급으로 군사 정치에 종사함
십재일 : 재가(在家)의 신도가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팔재계(八齋戒)를 지키며 정진 하는 날. 음력 매월 1ㆍ8ㆍ14ㆍ15ㆍ18ㆍ23ㆍ24ㆍ28ㆍ29ㆍ30일.
지장본원 : 지장보살님께서 전생에 세우셨던 서원
지장본행 : 지장보살님께서 전생에 수행하셨던 행
지장본서력경 ; 지장보살님께서 전생에 세우신 서원과 그 힘을 말한다.
자비(慈悲) : 남을 깊이 사랑하고 가엾게 여김. 또는 그렇게 여겨서 베푸는 혜택.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고 괴로움을 없게 함.
원력(願力) : 불교를 신행(信行)하는 사람이 목적을 성취하고자 내적으로 수립하는 기 본적인 결심과 그에 따르는 힘. 원·서원(誓願)·행원(行願)
7품 산 사람과 죽은 사람 모두에게 이익됨
선지식 :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을 계승하여 불도로 인도하는 사람
무생법(無生法) : 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는 열반(涅槃)의 일컬음. 무생은 깨달음의 다른 이름이다. 깨달으면 다른 헛된 생각을 일으키지 않으니 무생이다. 중생은 영원히 육도를 윤회하지만 아라한, 벽지불, 보살, 부처님은 윤회를 하지 않으 므로 무생을 얻었다고 한다.(불, 보살은 중생을 교화하려고 의도적으로 윤회를 하심)
영재(營齋) : 천도재
보살(菩薩) : 산스크리트 보디사트바의 음사(音寫)인 보리살타(菩提薩陀)의 준말. 보디(bodhi)는 budh(깨닫다)에서 파생된 말로 깨달음ㆍ지혜ㆍ불지(佛智)라는 의미를 지니며, 사트바(sattva)는 생명 있는 존재, 즉 중생(衆生)ㆍ유정(有情)을 뜻한다.
보살의 일반적인 정의(定義)는 ‘보리를 구하고 있는 유정으로서 보리를 증득(證得)할 것이 확정된 유정’ ‘구도자(求道者)’ 또는 ‘지혜를 가진 사람’ ‘지혜를 본질로 하는 사 람’ 등으로 풀이할 수 있다. 보살이 모든 사람을 뜻하게 된 것은 대승불교(大乘佛敎)가 확립된 뒤부터이지만 누구든지 성불(成佛)의 서원(誓願)을 일으켜 보살의 길로 나아가면 그 사람이 바로 보살이며, 장차 성불(成佛)할 것이라는 이른바 ‘범부(凡夫)의 보살’ 사상이 생겨났다
벽지불(辟支佛) : 산스크리트어 pratyeka-buddha 팔리어 pacceka-buddha의 음사. 홀로 깨달은 자라는 뜻.
독각(獨覺)·연각(緣覺)이라 번역. 스승 없이 홀로 수행하여 깨달은 자. 가르침에 의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깨달은 자. 홀로 연기(緣起)의 이치를 주시하여 깨달은 자. 홀로 자신의 깨달음만을 구하는 수행자.
8품 염라왕들을 찬탄하다
일산 : 햇볕을 가리기 위한 큰 비단 양산
범왕 : 대범천왕. 색계의 모든 하늘을 총칭하기도 함
제석천 : 제석은 도리천의 임금이므로 도리천을 제석천이라 한다. 제석천왕은 도리천 중앙의 선견천에 있으며 사천왕과 32천을 통솔하며 불법과 불법에 귀의한 사람 을 보호하며 아수라의 군대를 정벌한다.
9품 부처님의 명호를 부르면
육욕천 : 천상세계에 욕계, 색계, 무색계가 있으며 욕계에는 6종류의 천상세계로 사천왕천, 도리천, 야마천,
도솔천, 화락천, 타화자재천으로 욕계 6천이라고도 함
마정수기 : 부처님께서 정수리를 만지면서 불과의 완성을 예언하는 것
수기 : 부처님으로부터 어느 시기, 국토 이름, 불명, 수명 등을 말씀하여 미래에 부처가 된다는 예언을 받는 것 8품 21이 부처님께서 주명귀왕에게 수기를 주시는 모습이다.
아라한과 : 사과(四果)의 하나. 성문사과의 가장 윗자리를 이른다. 수행을 완수하 여 모든 번뇌를 끊고 다시 생사의 세계에 윤회하지 않는 아라한의 자리로, 소승 불교의 궁극에 이른 성문(聲聞)의 첫 번째 지위이다
10품 보시 공덕을 헤아리다
법계 : 모든 사물의 근원. 진리의 세계를 상징
정거천 : 색계 4선천을 말하며 무번천, 무열천, 선견천, 선현천, 색구경천으로 아나함과를 증득한 사람이 태어난다고 함
회향 : 자기가 닦은 선근 공덕을 다른 중생을 위하여 돌려 향한 것
전륜성왕 : 전륜왕. 현재의 탱크에 해당하는 윤보(輪寶)를 굴리는 왕으로 사방을 정복하지 않은 곳이 없음. 여래의 32상을 갖추었음
업도(業道) : 삼도(三道 - 번뇌도(煩惱道), 업도(業道), 고도(苦道))의 하나. 중생을 고락 의 과보(果報)로 이끄는 통로인 업(業) 또는 업이 작용하는 장소를 말함
칠보(七寶) : 일곱가지의 금속 보석류, 즉 금, 은, 마노(瑪瑙석영질의 보석으로 관옥), 유리, 차거(백산호), 진주, 매괴(瑪瑙석영질 보석으로 미옥)
탑묘(塔廟) : 탑과 같은 말. 음역(音譯)의 탑과 의미와 기능을 설명하는 묘(廟)의 합성어. 탑은 흙이나 돌로 높이 쌓은 건축물을 뜻하는 싼스끄리뜨 스뚜파(stūpa)에서 온 말이고, 묘는 탑의 의미와 기능을 설명하는 말로 싼스끄리뜨 말과 한문의 합성어
11품 지신들이 불법을 보호하다
신장 : 불법을 수호하는 신병을 거느리는 장수.
감실 : 작은 불상이나 초상을 모셔둔 곳
보현 : 보현보살. 석가모니부처님 오른쪽(우보처)에 계시며 이, 정, 행(理,定,行)의 덕을 맡 아 중생제도를 하고 계신다. 중생의 목숨을 길게 하는 덕을 가져서 연명보살이라고도 하며 6이빨을 가진 코끼리를 타고 계신다.
12품 보고 듣는 이익
호상광 : 백호상광을 뜻함. 32상의 하나로 부처님 두 눈썹 사이의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 으로 여기에서 끊임없이 광명이 나온다.
오쇠상 : 천인이 명을 마치려 할 때 몸의 5곳에서 쇠퇴의 표시가 나는 것 ①의복에 때가 묻음 ②머리에 쓴 화관이 시들음 ③몸에서 냄새가 남 ④겨드랑이에서 땀이 남 ⑤있는 자리가 즐겁지 않음
오신채 : 파, 마늘, 부추, 달래, 홍거 등 냄새가 많이 나는 야채. 홍거는 우리나라에는 없고 중국이나 인도에 있으며 양파의 한 종류라고 한다.
관정수 : 수계하고 불문에 들어갈 때 물이나 향수를 정수리에 뿌리는 액체
피안 : 현세를 차안(此岸)이라 한다면 피안은 불교에서 해탈에 이르는 것을 의미한다
무변신 : 모든 견해가 없는 있는 그대로의 몸
영락 : 머리, 목, 가슴 드물게는 손, 다리 등에 다는 주옥
13품 사람과 하늘을 부촉하시다
숙명통 : 육신통(六神通)의 하나. 나와 남의 전생을 아는 자유 자재한 능력.
본원력 : 보살이 정토를 완성하여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는 원을 성취하고자하는 결의 를 본원이라고 하며 그 힘을 원력이라 함
허공장보살 : 지혜와 복덕을 한량없이 중생들에게 베푼다는 보살. 보통 오른손에는 지 혜를 상징하는 보검(寶劍)을, 왼손에는 복덕을 상징하는 연꽃을 들고 있음.
참조 : 지장경(보광사 발행), 두산 백과사전, 종교학 대사전,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국어사전
출처 - 안심정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