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립변수 [獨立變數], 원인변수 |
종속변수 [從屬變數], 결과변수 |
함수 관계에서 다른 수의 변화와는 관계없이 스스로 변하는 수 |
독립 변수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변수를 이르는 말 |
제 2 절. 외생적 변수(extraneous Variable)
(1) 개념 : 연구모형과 가설에 포함되지 않은 변수를 말한다.
(2) 외생적 변수의 통제
① 변수의 제거
외생적변수의 영향을 제거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
② 무작위화(randomization)
연구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배정하는 과정에서 모집단 내의 모든 개별적 구성요소가 통제집단에 포함될 확률과 실험집단에 포함된 확률이 동일하도록 배정하는 방 법을 말한다.
③ 외생적 변수의 독립변수화
해당변수의 제거 또는 무작위화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경우 외생적 변수를 독립변수로서 모 형에 포함시키는 방법이 있다.
④ 짝짓기(matching)
모형에 의해 통제되지 않은 어떤 외생적 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고 생 각될 때 사용된다.
제 3 절. 주요 변수
(1) 허위변수(외재적 변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가 표면적으로는 인과적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에도, 실제로는 두 변수가 우연히 어떤 변수와 연결됨으로써 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제3의 변수를 말한다(두 변수 X, Y가 실제로는 관계가 없는데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게 하는 제3의 변수 Z를 말한다). <2002. 행정고시>
(2) 매개변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독립변수의 결과인 동시에 종속변수의 원인이 되는 변수를 말한다. 매개변수에는 집행변수와 교량변수가 있다. 집행변수는 정책 또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실행에 옮기는 데 채택된 구체적인 행정적 전략을 말한다. 교량변수는 정책목적의 달성에 앞서 나타나야 할 일종의 중간결과를 말한다.
(3) 억제변수
두 변수 X, Y가 서로 관계가 있는데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게 하는 제3의 변수(Z)를 말한다. 억제변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사실적인 관계를 약화시키거나 아예 소멸시켜 버리게 된다.
(4) 왜곡변수
두 변수 X, Y의 사실상의 관계를 정반대의 관계로 나타나게 하는 제3의 변수를 말한다.
(5) 선행변수
인과관계에서 독립변수에 앞서면서 독립변수에 대해 유효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를 말한다.
(6) 구성변수
포괄적 개념의 하위변수를 말하다. 예를 들어 사회계층은 포괄적 개념이며, 교육수준․수입․직업․가족적 배경 등은 이를 구성하는 하위변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