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기업들이 원가상승에 대응하여 슈링크플레이션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제품가격을 유지하면서 양을 줄이는 전략입니다.
CJ제일제당, 풀무원, 롯데웰푸드, 농심, 동원F&B, 해태제과 등 인기 식품 브랜드들은
사전에 고객들에게 변경 사실을 알리지 않고 일부 제품의 양을 줄였습니다.
소비자단체는 변경사실을 미리알리는 입법을 추진하고있는데 효과는 의문입니다.
Shrinkflation trend grows as companies battle rising costs
기업들이 원가상승에 대응하여 슈링크플레이션 증가
By Lee Yeon-woo 이연우 기자
Posted : 2023-11-12 16:31 Updated : 2023-11-13 08:06
Korea Times
As the government attempts to stabilize consumer prices by exerting pressure on the food industry, there's an emerging trend where businesses maintain the same prices for their products but reduce their physical size. Consumer groups contend that this strategy effectively acts as a hidden price hike.
정부가 식품업계에 압박을 가해 소비자물가를 안정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기업들은 제품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되 물리적인 크기는 줄이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는데, 소비자단체들은 이 방안이 사실상 숨은 가격 인상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Referred to as shrinkflation, a portmanteau of the words shrink and inflation, this term describes cases where companies opt to decrease the quantity of a product while maintaining the previous product's price, to avoid significant consumer pushback against a price increase.
수축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인 슈링크플레이션이라고 불리는 이 용어는 기업들이 가격상승에 대한 소비자의 큰 반발을 피하기위해 이전 제품의 가격을 유지하면서 제품의 양을 줄이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를 말한다.
Recently, popular food brands such as CJ Cheiljedang, Pulmuone, Lotte Wellfood, Nongshim, Dongwon F&B and Haitai Confectionary & Foods reduced the amounts of some of their products, without announcing the change to customers beforehand.
최근 CJ제일제당, 풀무원, 롯데웰푸드, 농심, 동원F&B, 해태제과 등 인기 식품 브랜드들은 사전에 고객들에게 변경 사실을 알리지 않고 일부 제품의 양을 줄였다.
For instance, CJ Cheiljedang reduced the amount of its barbecued-flavored frozen food from 280g to 230g. Even though the product is still being sold at 5,600 won ($4.24) per package, the increase in price per gram results in a price increase of 21 percent.
예를 들어 CJ제일제당은 바비큐 맛이 나는 냉동식품의 양을 280g에서 230g으로 줄였다. 이 제품은 여전히 포장당 5,600원(4.24달러)에 판매되고 있지만, 1g당 가격의 상승은 21%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However, such a move is not illegal under the current customer protection act.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현행 소비자보호법상 불법이 아니다.
Consumer groups are pushing for legislation that requires companies to notify consumers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total amount of a product without a corresponding price change, citing global examples.
소비자단체들은 글로벌 사례를 들어 기업이 해당 가격변동 없이 제품 총량에 변동이 생기면 소비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In Brazil, packaging must display the original and reduced volumes, as well as the percentage of the volume reduction. France and Germany are reportedly planning to make the notification mandatory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production volume.
브라질의 경우 포장에 원래물량과 줄어든 물량, 줄어든 물량의 비율을 표시해야 하는데, 프랑스와 독일은 생산량에 변동이 있을 때 이를 의무화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The food industry claims that the strategy is a desperate attempt to cope with the situation where related costs – including raw materials, energy and transportation fees – are all rising, yet the government is asking for them to refrain from increasing prices.
식품업계는 원재료와 에너지, 운송료 등 관련 비용이 모두 오르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라고 주장하면서도 정부는 가격인상 자제를 당부하고 있다.
The government announced plans to intensify monitoring of industry practices related to shrinkflation. Additionally, it intends to consistently convey consumer burdens and concerns about price increases to the industry, so as to encourage restraint.
정부는 슈링크플레이션과 관련된 산업관행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을 발표했다. 더불어 소비자의 부담과 가격상승에 대한 우려를 업계에 지속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자제를 촉구할 예정이다.
#Shrinkflation슈링크플레이션 #Consumerprices소비자물가 #Businessstrategy기업전략 #Packagingregulations포장규정 #Responsetorisingcosts원가상승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