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 : 사실 2023.11. 다녀온 곳으로 산행기를 쓰다 개인사정으로 이어가질 못하고 있다가 조금 이라도 기억이 있을때 마무리하고자 산행기를 올립니다
삼도마을에서 바라본 마나슬루 산자락
1. 전체기간 : 2023. 10.29 ~ 2023.11.17. 19일간
2. 네팔 히말라야 " 마나슬루 서킷 (트레킹) "
3. 동행 : 수영형님
4. 세부일정
1) 2023. 10.29. 인천공항 출발 중국 청두 공항 도착 호텔 1박
2) 2023. 10.30. 청두공한 출발 네팔 카투만두 도착 타멜 숙소에서 1박
3) 2023. 10.31. 들머리 마차콜라 도착(버스 10시간,짚차 1시간)
4) 2023. 11.01. 산행 1일차 : 마차콜라 (869m) ~ 따또바니 ~ 도반 ~ 자갓(1,33m) 19km
5) 2023. 11.02. 산행 2일차 : 자갓 (1,330m) ~ 셀러리 ~ 필림 ~ 냑 ~ 뎅(1,860m) 20km
6) 2023. 11.03. 산행 3일차 : 뎅(1,860m) ~ 비히페디 ~ 갑 ~ 남눙(2,630m) 18km
7) 2023. 11.04. 산행 4일차 : 남눙(2,630m) ~ 쇼 ~ 로 ~ 살라(3,480km) 13km
8) 2023. 11.05. 산행 5일차 : 살라(3480km) ~ 사마가온(3520m) 7km
9) 2023. 11.06. 산행 6일차 : 고소적응 사마가온(3,520m) ~ 바이런드호수 ~ 마나슬루 베이캠프(4,823m) 왕복 14km
10) 2023. 11.07. 산행 7일차 : 사마가온(3520m) ~ 삼도(3,851m) 9.14km
11) 2023. 11.08. 산행 8일차 : 삼도(3,851m) 9.14km ~ 다람살라(4,460m) 6.1km
12) 2023. 11.19. 산행 9일차 : 다람살라(4,460m) ~ 라르케페디(5,103m) ~ 빔탕(3,740m) 16km
13) 2023. 11.10.산행10일차 : 빔탕(3,740m) ~ 고와(2,525m) 15km
14) 2023. 11.11.산행11일차 : 고와(2,525m) ~ 다라파니(1,816m) 10km 산행 끝
15) 2023. 11.12.일정12일차 : 다라파니(1,816m) ~ 베시사하르 (짚차 약 4시간 이동 44km)
16) 2023. 11.13.일정13일차 : 베시사하르 ~ 카투만두 타멜(버스이동 약 10시간)
들어가며...
마나슬루산( Mount Manaslunaslu, 8,156m)은 세계에서 8번째로 높은 산으로, 산스크리트어로 ‘영혼의 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1956.5.일본팀 처음으로 등정에 성공하였다.(위키백과) 그리고 이산은 히말라야 역사상 두 번째로 많은 15명(한국대원 4명, 일본,1명, 셀파 10명)이 죽은 비운의 산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선 1971년 김00 동생분이 등정 하다가 돌아가신 후 1972년 형 김00가 다시 도전하였다가 형 마저 돌아가신 곳 이기도 하다. 대한민국에서는 1980. 4.28. 동국대학교 산악반에서 처음 등정 했다. [담아온 내용임]
마나슬루 써킷 : 마나슬로 봉을 가운대로 두고 들머리 마차콜라(869m)에서 시작하여 최고높이 라르케라패스 즉 고개 (5,106m)를 넘어 안나푸르나써킷 시작점이자 마나슬로 써킷 끝나는 다라파니 (1,816m)까지 둘레길 약 142km (사이드 트레킹 : 마나슬루 베이스캠프왕복 약 14km 포함)를 도는 트레킹 코스다. 마나슬루 써킷의 들머리와 날머리는 지정 확정된 곳이 아니고 여행일정등 마을 따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아침에 일어나 롯지에서 바라본 오늘 진행 할 삼도 방향
삼아가온에서 삼도까지 약9km로 부담이 없는 거리로 해가 뜨면 징행하기로 하고 천천히 준비 한다
삼아가온을 떠나기 전 롯지 2층 복도에서 마나슬루를 담아본다
마나슬루 베이스캠프 ,삼아가온, 삼도 갈림길 3거리 지나면서 삼아가온 뒷산를 찍어본다
같은 장소에서 구름에 가린 마나슬루를 찍어본다
들판을 지나며 뒤돌아 보고(핸폰사진)
같은곳 다른 사진(카메라 사진)
오른쪽 쇠로 만든 전봇대가 삼도까지 설치되어 있다
이곳은 다람살라만 빼고 전기가 풍부하고 사용하기도 좋다. 19년 4월 경 칠리메 ~ 랑탕 체르코리 ~ 코사인쿤트~헬람부 진행할 때 브리딤에서 쉐르파가온 중간지점 그 높은 곳에 오른쪽 철로 만든 전봇대 한마디를 아저씨 아줌마. 청년 아이 여러 사람이 헝겊을 돌려 감아 인력으로 나르는 것을 보고 가슴이 먹먹했던 기억이 이 나고...
삼아가온 방향으로 뒤도아 본다
진행방향 오른쪽에 있는 산
뒤돌아 보고
계속되는 은근한 오름길이고. 앞에 보이는 건물이 삼아가온 인줄 알았는데...
다른 트레킹 코스보다 한적하다
야크가 아닌 말들이 한가롭게 풀을 뜯고 있다
오른쪽으로 살짝 돌려서 찍어본다
오름길를 올라서 뒤돌아 본다
한 구비 더 올려 친다
야크가 있으니 삼도에 거의 다온 것 같다
점심이 지날즈음 삼도마을에 도착한다 정면 왼쪽으로 내일 다람살라 로 갈길이 보인다
이후 롯지에 짐을 풀고 동네 마실을 나간다
마을 왼쪽 산등성이를 타고 올라가면서 찍어보고 삼도 마을 양 협곡사이에 있는 왼쪽 산
내려오며 뒤돌아 본 며 찍은 사진
삼도에서 바라 본 마나슬루, 옥수수밭으로 이미 수확을 하였고
확대 당겨본다
삼도 마을 오른쪽 산
오른쪽 으로 살짝 돌려서 찍어본다
내일 진행 할 다람살라 라스케라 패스 방향
출입구 문간 위에 설치된 야크뿔
삼도마을 초등학교
지켜보니 네팔 전통 춤을 배우는 듯 하다
점심이다 ㅎ
첫댓글 점심이 실하네...나는 먹거리 걱정으로 먼 곳을 못 가는데...뿔 보니 야크가 큰 짐승이구만.
그곳에서 먹으니 더 맛 있더라고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