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송)
번역에 대한 확인 절차가 지연되어 늦게 올려져 죄송합니다. 그럼에도 불구, 이 선언문 번역을 올리는 이유는 이러한 선언이 앞으로 우리의 지평을 넓히고 우리의 향방을 또한 밝히는데 기여할 것이라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번역: 자원자들)
사진: 조약골: 10월 27일 국제 민중 포럼을 종결하며. 4·3 평화 공원
Affirming Life Together in the Face of Belligerent Empire
호전적 제국에 맞서 함께 삶을 긍정하며.
We the participants of the 3rd Peoples Forum of Peace for Life gathered at the April 3rd Peace Park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n the Republic of Korea from 23rd to 27th of October 2013. We had a women-led solidarity mission to Jeju and to Gangjeong Village, and shared common experiences of threats to life in our respective societies and throughout the world. Inspired by our faith traditions’ shared affirmation of life, we issue this call to solidarity and action.
우리, 생명을 위한 평화 민중 포럼 Peoples Forum of Peace for Life 제 3회 참가자들은 2013년 10월 23일부터 27일까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4.3 평화공원에서 모임을 가졌습니다. 우리는 여성들이 이끈 가운데 제주와 강정마을로의 연대 사절단을 조직했으며 우리 각자의 사회와 전 세계에 서 일어나는 삶에 대한 위협이란 공통된 경험을 나누었습니다. 우리의 신앙의 전통들이 공통적으로 삶을 긍정했던 것에 영감을 받아, 연대와 행동을 위한 이 호소를 알립니다.
In Solidarity with Gangjeong Villagers and Say No! to Jeju Naval Base
강정마을 사람들과 연대하여 제주해군기지에 ‘No’ 라고 말합시다!
We note with concern that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enforced a naval base construction in Gangjeong village,
Jeju Island since 2007, without proper consultation with villagers and consideration of villagers’
right to environment, land and peace. We are distressed to witness how a
large-scale development profiting big corporations can destroy peace in a
village under the name of protecting national security. For seven years the
people of Gangjeong village have resisted the base construction and suffered
unjustly from abuse by authorities in response to their non-violent campaign
against the construction of a naval base which will militarise the sea of East
Asia. We witnessed the strong resistance of the historic tradition of Jeju
women lived out in the Gangjeong village struggle against the base
construction. They have been accompanied
by activist groups from around the world. The Catholic Church, in particular,
has been a presence for the last two years, offering mass every day to draw attention
to this travesty.
우리는 한국정부가 2007년 이후로 제주도 강정마을에 마을 사람들과의 적절한 소통이나 주민들의 환경과 토지, 평화에 대한 권리에 대한 고려 없이 해군기지 건설을 강제적으로 추진해 왔다는 사실을 우려로 주시합니다. 우리는 어떻게 거대 기업에 이윤을 가져다 주는 대형 개발이 국가 안보를 보호한다는 이름으로 한 마을의 평화를 파괴해 왔는지 목도하며 근심합니다. 7년 동안 강정마을 사람들은 해군기지 건설에 저항해 왔으며 동아시아 바다를 군사화 할 해군기지 건설에 반대하는 이들의 비폭력적 운동에 대한 대응으로 행해진 권력의 남용으로 부당한 고통을 겪었습니다. 우리는 해군기지 건설에 반대하여 투쟁하는 강정 마을에서 제주 여성들의 역사적 전통인 강한 저항이 살아 있음을 목격했습니다. 전세계에서 찾아온 활동가 그룹들이 그들과 함께 해왔습니다.
특히 가톨릭 교회는 지난 2년 동안 매일 미사를 봉헌하는 것을 통해 뭇 사람들에게 이 사기극에 대한 주의를 촉구하며 강정 마을 사람들과 함께해 왔습니다.
We, the participants of the 3rd People’s Forum,
stand in solidarity with the people of Gangjeong village in their peaceful
struggle against maritime militarisation. Jeju people have a full right to
resist the repeat of the last century’s tragedy, the April 3rd
massacre in 1948 of tens of thousands of Jeju islanders. The people of Gangjeong village present a strong call
to open a new era of peace and cooperation in East Asia for themselves and for
all of us.
우리 제 3회 민중 포럼 참가자들은 해양 군사화에 반대하는 강정마을 사람들의 평화적 투쟁에 함께 연대합니다. 제주도민들에게는 수만 제주도민을 죽음으로 내몬1948 년 4·3과 같은 지난 세기의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저항할 완전한 권리가 있습니다. 강정마을 사람들은 그들 자신과 우리 모두를 위해 동아시아에서 평화와 협동의 새 시대를 열어가려는 강력한 호소를 펼치고 있는 것입니다.
The Not-so-Innocent Language of Empire: Toward a Counter-Narrative
그다지 순수하지 않은 제국의 언어: 그 대안 서사를 향하여.
The emerging US national security state is a symptom of an increasingly desperate empire seeking to maintain its hegemony, harming the living conditions of many of its own and other peoples while repressing dissent at home and in politically “hot” regions. The imperial system wages war on the people of the world. It is defined by the nexus of the national security state and predatory corporate capitalism.
최근 미국이 공안국가로 부상함은 정치적으로 “중대한” 지역들과 내부의 반대를 억압하며 그 나라 국민과 다른 나라 사람들의 삶의 조건을 해치면서 그들의 패권 hegemony 을 유지하고자 하는 절박한 제국의 증상입니다. 제국주의 체계는 전세계 사람들을 대상으로 전쟁을 벌입니다. 그것은 공안 국가와 약탈적 기업자본주의의 연계로 정의됩니다.
Beginning with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 US led imperial model has been imposed in several parts of the world, in Central and Latin America, the Middle East, Southeast Asia, and Africa. Key instruments of the imperial system are militarization and coups, capture of international financial and trade institutions, neoliberal market economy, and socio-cultural controls of media, communication, and education.
2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함께 미국이 이끄는 제국주의의 사례들이 중남미와 중동,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세계 곳곳에서 드러나기 시작했습니다. 군사화와 쿠데타, 국제 금융 및 무역 기구의 장악, 신 자유주의적 시장 경제, 매체-의사소통-교육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통제 등이 이 제국주의 시스템의 핵심들이었습니다.
The Empire employs deceptive language and consciousness to legitimize its ambitions. In the solidarity mission to Jeju, we noted the ruthlessness of the innocent-sounding “US pivot to Asia.” Instead of increasing friendly relations with Asia, it involves the new geo-political imperatives of Empire regarding China and the American presence in this economically dynamic region.
이 제국은 그 야욕을 합리화하기 위해 기만적인 언어와 관념을 활용합니다. 제주에 대한 연대 미션 중에, 우리는 순수하게 들리는 “미국의 아시아 회귀 정책”의 잔혹함에 주목했습니다. 이 정책은 아시아와 우호적 관계를 증진하는 대신, 중국 문제 및 경제적으로 역동적인 지역에 대한 제국의 새로운 지정학적 필요와 얽혀있습니다.
Nuclear weapons and nuclear power are two dimensions of one reality, which the nuclear military industrial complex promotes and benefits from. There is no peaceful use of nuclear power (“Atoms for Peace”), as the disaster at Fukushima shows. Forced evacuation of 150,000 people continues, highly radioactive contaminated water has not been brought under control, and efforts to restart nuclear power plants are underway, as well as export of such plants.
핵무기와 핵발전은 한 현실의 두 차원입니다. 핵무기산업복합체는 이 모두를 신장하며 이 모두에서 이윤을 내고 있습니다. 후쿠시마의 재앙이 보여주듯, (“Atoms for Peace”라는 구호 같은) 원자력의 평화적인 활용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15만 명의 강제 이주가 진행되고 있고, 방사능에 오염된 해수가 아직 제어되지 못했는데도, 핵발전소를 수출하고 재가동하려는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입니다.
The Empire claims to “fight terror”, “protect national security,” and “advance democracy and human and women’s rights.” These discourses of “Western” values advance imperial dominance. Activism for justice and peace is branded as “terrorism”, and Muslims resisting colonization and wars in their lands are termed terrorists. The imperial promotion of human and women’s rights has the opposite effect of what is proclaimed.
제국은 “테러와의 전쟁”, “국가 안보 수호”, “민주주의, 인권과 여성권의 신장”을 외칩니다. 이러한 “서구적” 가치의 담론은 제국의 지배를 신장할 뿐입니다. 정의와 평화를 위한 활동이 “테러리즘”이라 이름 붙여지고, 그들의 땅에서 벌어지는 식민주의와 전쟁에 저항하는 무슬림들이 테러리스트라 불리고 있습니다. 제국주의의 인권과 여성권 증진은 그것이 외치는 것과 정반대의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We need to expose the moral and political-intellectual bankruptcy of these imperial claims, and advance a counter-understanding of the threats to the lives of both the human- and non-human living world, as well as the life of the planet. We must offer alternative approaches in order to live justly, sustainably, and peacefully in this world.
우리는 이러한 제국주의적 선포의 도덕적이고 정치적이며 지적인 파산들을 노출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지구 그 자체의 생명을 비롯 인간과 인간 아닌 것들 모두의 삶에 닥친 이 위협들에 대해, 다른 이해를 도모해야 합니다. 이 세계에서 정의롭고 지속가능하며 평화롭게 살기 위하여, 우리는 대안적인 접근을 제안해야만 합니다.
Toward an Interfaith Praxis of Resistance to Empire
제국에 대한 종파를 초월한 저항의 프락시스[실천]를 향하여.
We are at a time when a global, powerful, and meaningful phenomenon like religion can no longer ignore the multiple crises surrounding it and catastrophically affecting its adherents. In particular, the “war on terror” has harmed Muslim-Christian relations in Africa, Asia and the Middle East. One of the most effective legitimating factors for the violence of the powerful in the world today is religion in general, and especially some powerful institutional actors located within the various religious traditions.
지금은 종교와 같은 전세계적이고 강력하며 중요한 현상이, 그것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여러 위기와 그 위기가 해당 신자들에게 미치는 비극적 영향을 더 이상은 간과할 수 없는 시대입니다. 특히 “테러와의 전쟁”은 아프리카 내에서 무슬림과 기독교인 간의 관계를 훼손했습니다. 오늘날 세계에서 강력한 폭력을 이끌어내는 가장 효과적인 입법 요소의 하나는 일반 종교이며 특히 다양한 종교적 전통 안에 있는 몇몇 강력한 기구의 행위자들입니다.
This trend needs to change and there are increasing voices which are calling on their religious leaders and communities to rekindle the real liberating spirit and ethos of their religious traditions. This is a time when all of the great, lively religious and spiritual traditions that provide fundamental values of justice, sustainability, and peace are under pressure to be co-opted by the powerful to support ongoing injustice and inequality in the world.
이러한 경향은 바뀌어야 합니다. 종교 지도자들과 그 공동체들이 그 종교 전통의 진정으로 자유케 하는 영성과 에토스[정신]를 재연하라는 요청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정의와 지속가능성 그리고 평화의 본질적 가치들을 제공하는 모든 훌륭하고 살아있는 종교와 영적 전통들이 권력에 의해 세계에 만연한 부정의와 불평등을 지지하도록 갈취 당하고 있는 때입니다.
We meet here to affirm that these traditions must have no tolerance for the widespread, unfolding genocide taking place against the world’s peoples, and the concomitant ecocide of our home, planet Earth. The peoples of the world are suffering layer upon layer of injustice and brutality, and our religious and spiritual communities can no longer maintain their silence or just pay lip service to justice and peace. These communities must continue their prophetic and authentic missions of forcefully challenging the empire and its powerful allies, institutions, and policies and practices – in cooperation with like-minded social movements and peoples movements. We call upon our religious and spiritual communities to commit their leadership, constituencies, and resources to mobilize against these trends of domination, subordination, and destruction of peace-loving peoples, societies, and our ecosphere.
우리는 광범위하고 부단하게 일어나는 온 세상 사람들에 대한 학살에 대해, 또 그에 수반해 일어나는 우리의 고향 지구에 대한 환경 파괴에 관해, 이러한 전통들이 불 관용을 가져야 함을 확언하기 위해 여기 모였습니다. 겹겹이 쌓인 불의와 무자비 아래 온 세상 사람들이 신음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의 종교 및 영적 공동체는 더 이상 침묵을 지켜서도 안 되며 정의와 평화를 입으로만 말해서도 안 됩니다. 이러한 공동체들은 뜻을 같이 하는 사회적 운동과 민중들의 운동과 연합하여, 선지자적이고 진정성 있는 사명의 실천으로 제국과 그 강력한 동맹들, 기구들, 그리고 정책과 관습들에 강력하게 도전해야 합니다. 우리는 종교적이고 영적인 공동체들에게 그들이 지도력, 신앙인들과 자원을 모두 집중하여 평화를 사랑하는 사람들과 각 사회와 우리의 생태계에 대한 이 지배와 종속과 파괴의 경향에 대항하여 싸울 것을 호소합니다.
Our Common Call
우리의 공통 호소
We continue to be inspired by the heroic resistance waged by social movements in Latin America, the Philippines, India and many other places against neoliberalism and US hegemony, and call for meaningful support for and solidarity with these progressive forces.
우리는 신 자유주의와 미국의 패권 hegemony에 대항해 남아메리카와 필리핀, 인도와 많은 다른 곳의 사회운동들이 펼치는 영웅적 저항에 의해 계속 고무되며, 이러한 진보적 활동에 의미 있는 지원과 연대를 호소합니다.
Inspired by the long history of ecumenical witness for improved North-South Korean relations, particularly between the two Christian communities, we offer our solidarity to a reinvigorated process of dialogue and exchange with a view to generating a political environment conducive for reunification, beginning with renewed engagement between the two sides to turn the Armistice into a peace treaty.
북한과 남한 관계, 특히 두 기독 공동체들 간, 관계 개선을 위한 세계 교회의 증인됨의 긴 역사에 힘입어 우리는 양 측이 정전 협정을 평화 조약으로 바꾸는 새 약속을 시작으로, 통일을 지향하는 정치 환경을 낳으려는 전망가운데 대화와 나눔을 다시 풍성하게 나눌 수 있게 만드는 데 우리의 연대를 모읍니다.
We urge resistance to financial instruments and trade agreements, such as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which undermine our commitment to place people and the environment before profit.
우리는, 이윤 이전에 환경과 사람을 놓으려는 우리의 헌신을 그 토대부터 무너트리는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약과 같은 무역 조약과 금융 기구에 대한 저항을 촉구합니다.
We strongly condemn the corporate violence leashed out in Odisha, India, on the struggling communities and the environment by the POSCO company hand-in-glove with the Indian government. We demand the immediate release of people who are arrested and accused on fabricated cases. We demand the withdrawal of POSCO so that the communities can live in peace with nature. We ask the people of Gangjeong village in Jeju and other citizens of Republic of Korea to be in solidarity with the people in Odisha, India.
우리는, POSCO와 인도 정부의 결탁에 의해 환경과 공동체의 생존이 위협되는 인도 오디샤에서 벌어지는 기업의 폭력에 대해 강력하게 규탄합니다. 우리는 날조로 고소 당하고 체포된 사람들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합니다. 우리는 지역 공동체가 자연 속에서 평화롭게 살 수 있도록 POSCO의 사업 철회와 철수를 요구합니다. 우리는 제주 강정마을 사람들과 한국의 시민들에게 인도 오디샤 사람들과 연대할 것을 부탁합니다.
We call on people of faith and conscience to continue their support of the Arab people’s resistance against tyranny and occupation, and to oppose the regional and global counter-revolutionary political actors denying their aspirations for human dignity and social justice. We especially reaffirm the need for steadfast support for Palestinian national liberation and maintain our commitment to our Palestine solidarity work.
우리는, 아랍인들의 독재와 점령에 대한 저항을 부단히 지지해 달라고, 또한 인간 존엄과 사회정의에 대한 열망을 저버리는 그 지역 및 전 지구의 반-혁명적 정치 행위자들에 반대해 달라고, 신앙과 양심을 지닌 사람들에게 호소합니다. 우리는 특히 팔레스타인 민족 해방에 대한 우리의 확고한 지지를 재확인하며,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이라는 우리의 사명감을 계속 지켜나갈 것입니다.
We call on the faith communities to actively combat the rising tide of Islamophobia, which facilitates greater imperial violence against Muslims.
우리는, 무슬림에 대한 더 큰 제국주의적 폭력을 낳는 이슬라모포비아[이슬람 혐오]의 물결에 대항해 싸워나갈 것을 신앙 공동체를 향해 호소합니다.
We strongly denounce the growing network of the U.S. military power both through building bases and expanding access through Visiting Forces and Status of Forces Agreements throughout the world, including here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accompanying patriarchal and sexual violence, exploitation, and suffering inflicted on women. We are inspired by and give our unconditional solidarity to the heroic resistance waged by women against such barbarism.
우리는, 기지를 건설하거나 또는 방문군 협정 Visiting Forces 이나 주둔군 신분 협정 Status of Forces Agreements 등을 통한 접근 확장 등 두 방식모두로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세계에 팽창하는 미국 군사력 네트워크를 강하게 비판합니다. 또한 이러한 팽창이 수반하는 가부장제적이며 성적인 폭력과 착취와 고난에 대해서도 강하게 비판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야만에 저항하는 여성들의 영웅적 저항에 감명받으며 그들을 향한 조건 없는 연대를 보냅니다.
We deplore the state and private financing of bloated military budgets and the arms trade, and call for significant reduction in military expenditures and an end to the arms trade, so that these funds may be invested in life affirming programs.
우리는, 과대한 군 예산과 무기 무역에 국가와 개인의 재정이 유입되는 상황에 대해 깊이 한탄하며, 군비 지출의 확연한 삭감과 무기 무역의 종식을 호소합니다. 그리하여 이 재정이 생명을 살리는 프로그램에 투자될 수 있기를 더불어 호소합니다.
We call on religious communities and peoples committed to peace to condemn the introduction and use of drone warfare, and demand an end to their use.
우리는, 평화에 헌신하는 여러 종교 공동체와 신앙인들에게 드론[무인 비행기]의 도입과 사용에 반대할 것을 호소합니다. 우리는 이 무기가 영원히 사용되지 않기를 요구합니다.
We affirm movements against nuclear power plants in Japan, India, and many other countries, and support their efforts to hold accountable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for harm they have caused.
우리는, 일본과 인도 그리고 여러 많은 나라들에서 핵 발전소에 반대하여 일어난 운동들을 다시 마음 깊이 새기며, 정부와 기업이 야기해온 해악에 책임을 요청하는 이들 운동의 노고를 지지합니다.
We call on the peoples of the nuclear armed states and those states protected by them to join with the 124 nations resolving to never use nuclear weapons.
우리는, 핵무장 국가 및 그 국가들에 의해 보호받는 국가의 국민들에게 핵무기를 다시는 쓰지 않겠다는 124개국의 결의에 동참할 것을 호소합니다.
We strongly encourage equitable negotiations between the US and Iran with a view to additional subsequent agreement on the imperative of establishing a Nuclear-Weapon-Free Zone in the Middle East. We affirm that establishing similar zones in South Asia and Northeast Asia is also urgent.
우리는, 미국과 이란이 중동에 비핵지대를 건설할 것을 명시하는 부가적 차후 합의를 전망하는 가운데 서로 공평한 협의를 이루어나갈 것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우리는 남아시아와 동북아에도 유사 지대의 건설이 긴급함을 확언합니다.
We remain committed to our critique of global injustices and global hegemony, although this in itself does not offer an alternative to the prevailing world order. Alternative structures, institutions, laws and policies must be premised upon an all-embracing alternative consciousness which privileges attitudes and values that the Empire has hitherto ignored or downplayed. Love, for instance, should be foregrounded as a defining attribute of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consciousness of the human family. When love begins to shape our behaviour and action in a profound manner, it will have a huge impact upon all spheres of society including economics and politics. For love has the potential to demolish ego-centric attitudes that boost the insane drive for power and wealth that often leads to hegemony.
우리는, 비록 그 자체로는 지배적인 세계 질서에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할 지라도 전지구적 부정의와 헤게모니에 대한 우리의 비판을 이어나갈 것입니다. 대안적 구조들과 기구들 및 법안들과 규제들은 제국이 지금까지 무시하고 경시해온 태도와 가치에 특권을 부여한다는 모든 대안적 의식을 아우르는 전제 위에 반드시 세워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사랑이야말로, 개인을 정의하는 속성이자 인류 가족의 집합적 의식으로서 특히 중시해야 할 것입니다. 사랑이 우리의 행위와 행동을 심오하게 조형하기 시작할 때, 이는 경제와 정치를 비롯한 모든 사회 영역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우리를 자주 패권 hegemony 으로 이끄는 부와 권력, 그에 대한 광적인 충동을 부풀리는 자기중심적인 태도를 멸할 잠재력을 지닌 것이 바로 사랑이기 때문입니다.
. When love begins to shape our behaviour and action in a profound manner, it will have a huge impact upon all spheres of society including economics and politics. For love has the potential to demolish ego-centric attitudes that boost the insane drive for power and wealth that often leads to hegemony.
Adopted 27 October 2013
Jeju April 3 Peace Park, Republic of Korea
2013년 10월 27일
대한민국 제주 4.3공원에서 결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