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27일(金)
[1939년] 레닌의 부인 크룹스카야 사망
← 레닌의 손과 발이 되어주었던 부인 크룹스카야.
러시아의 혁명가 레닌의 부인 크룹스카야가 1939년 2월 27일 눈을 감았다. 남편 레닌이 세상을 뜬지 15년 뒤였다. 구소련의 신과도 같은 존재였던 레닌이 세차례나 뇌졸증으로 쓰러졌을 때마다 그의 병상을 지킨 이가 다름아닌 바로 그녀였다. 레닌은 혁명가답게 사랑에 있어서도 시원시원하고 단도직입적이었다. 그녀를 향한 사랑이 그랬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생으로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밑에서 자란 그녀는 여자 전문학교 재학 중에 마르크스주의 혁명운동에 참가했다가 퇴학을 당한다. 그후 성인의 야간 일요학교에서 노동자 교육활동에 종사하다가 1896년 체포돼 레닌과 함께 시베리아로 유배된 후 유형지에서 식을 올렸다. 유배와 망명생활 끝에 1917년 러시아로 돌아온 그녀는 11월혁명 이후 교육인민위원부에서 소련 교육정책의 기초를 마련, 사회주의 건설에 필요한 교육의 이론화와 실천에 힘썼다.
그러던 1922년 5월 레닌이 뇌졸증 증세로 쓰러졌다. 그의 첫번째 건강에의 적신호였다. 그녀는 기꺼이 그의 손과 발이 되어주었다. 왼손으로 글씨 쓰는 법과 한 마디씩 끊어서 또렷하게 발음하는 법을 가르쳐주었다. 결국 그녀의 헌신적인 사랑으로 레닌은 제4회 코민테른 회의장에 나타나 무사히 연설을 마친다. 레닌을 죽음에 이르게 한 세번째 뇌졸증이 발작을 일으키기 며칠 전, 그가 스탈린에게 보낸 서신에 이렇게 적혀있었다고 한다. “나의 부인을 모욕한 것에 대해 즉시 사과하지 않으면 당신과의 모든 관계를 끊겠다” 고...
[1933년] 독일 베를린 국회의사당 방화사건 발생
← 불타고 있는 독일 베를린의 국회의사당.
1933년 2월 27일 밤 독일 국회의사당에서 의문의 화재가 발생했다. 현장에서 체포된 네덜란드 출신의 공산당원 마리누스 루페가 자신의 단독범행이라고 자백했지만, 한편에선 나치스가 3월 실시될 총선거에서 반대세력의 진출을 막기 위해 방화했을지도 모른다는 의혹이 일었다. 한달전인 1월 30일에 대통령 힌덴부르크가 오스트리아 출신의 선동가 아돌프 히틀러를 총리로 지명해 독일에는 제3제국이라 불리게 될 나치스 체제가 막 출범했기 때문이었다.
히틀러는 방화사건 발생 다음날 이 사건을 독일공산당의 계획적 범행이라고 공표하고 `국민과 국가를 방위하기 위한 대통령 긴급명령`을 공포해 언제라도 공산당원을 추방-처형할 수 있게 했다. 개인의 자유, 언론의 자유, 사유재산과 우편통신의 비밀, 그리고 언론의 자유에 대한 헌법적 보장이 일시 중지됐고 공산주위자들의 신문은 선거 때까지 폐간됐으며 의심스런 공산주위자들의 회합장소는 폐쇄됐다. 결국 이 법령에 의해 공산당원 4천여명이 체포됐다.
그 결과 히틀러는 3월 5일 실시된 총선거에서 다시 93석을 추가하는 압승을 거둬 일당 체제의 기초를 닦았다. 이 사건의 진상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고 있다. 공산주의자들을 탄압하기 위해 나치스가 조작한 사건이라는 설과 소영웅주의자 루페의 단독범행이라는 설이 여전히 팽팽하다.
[1900년] 영국 노동당의 전신 노동자대표위원회 설립
← 램지 맥도널드
1900년 2월 27일 영국의 노동조합회의와 독립노동당이 제휴해 노동자대표위원회를 설립했다. 보수당과 자유당 정책에 실망한 노동자·노동조합·사회주의자의 연합체로 결성된 노동자대표위원회는 1906년 노동당으로 개명한 뒤 급속적으로 성장해 제1차 세계대전 중에는 연립내각에 참여했고, 1918년 영국 하원 총선거에서는 제2의 정당으로 떠올랐다. 1924년 1월에는 당시 당수였던 램지 맥도널드가 총리에 오름으로써 최초의 노동당 내각이 구성되었다. 노동당은 철도·탄광·영국은행 등을 국유화시키고 식민지를 독립시켜 대영제국 체제에서 벗어나는 정책을 시도했으며, 클레먼트 애틀리, 해럴드 윌슨, 제임스 캘러핸, 토니 블레어 등의 총리를 배출했다.
[1902년] 미국의 소설가 스타인벡 John (Ernst) Steinbeck 출생
← 스타인벡
1902년 2월 27일 태어남 / 1968년 12월 20일 죽음
"작가의 오랜 임무는 바뀌지 않았다. 작가는 모름지기 개선을 목적으로 우리의 많은 중대한 과실과 잘못들, 그리고 어둡고 위험한 꿈들을 드러낼 의무가 있다." - 존 스타인벡
스타인벡은 미국의 대공황을 배경으로 농지를 잃고 캘리포니아로 이주해온 빈농들의 참담한 생활상을 그려낸 소설 <분노의 포도 The Grapes of Wrath>(1939)로 큰 명성을 얻은 소설가이다. 그밖에 캘리포니아의 한 농부와 두 아들 사이의 도덕적 관계를 다룬 작품 <에덴의 동쪽 East of Eden>(1952)이 1955년 영화화(제임스 딘 주연)되어 화제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그의 작품은 크게 목가적 작품, 사회비판적 작품, 해학이 풍부한 작품으로 구분되는데, 그의 명성은 주로 프롤레타리아를 다룬 1930년대의 자연주의 소설들에서 비롯되었다. 196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1869년] 신소설 작가 이해조(李海朝) 출생
1869. 2. 27 경기 포천~1927. 5. 11 경기 포천.
이인직과 더불어 신소설 대표 작가이며, 봉건적 백성을 근대적 국민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국권회복의 방법이라 주장했다. 본관은 전주. 필명은 우산거사(牛山居士)·선음자(善飮子)·하관생(遐觀生)·석춘자(惜春子). 호는 동농(東濃)·열재(悅齋).
인평대군 10대손으로 아버지 철용(哲鎔)과 어머니 청풍김씨(淸風金氏) 사이의 맏아들으로 태어났다. 할아버지 재만은 대원군의 참모로 활동하다 1883년 민씨정권에 의해 처형되었다. 어릴 때부터 한학을 배워 19세에 과거 초시에 합격했으나 신학문과 접하면서 신소설 창작에 뜻을 두었다. 1903년 양기탁·주시경·노익형과 광무사를 조직해 국채보상의연금 모금운동을 벌였다. 1908년 대한협회 교육부 사무장 및 평의원으로 활동했고, 기호흥학회에 가입해 기관지 〈기호흥학회월보〉 편집인을 맡는 한편 기호학교 교감을 역임했다. 한말에는 애국계몽운동에 기여했으나 한일합병 이후 일제의 관직인 중추원 의관을 지냈다. 국악에 조예가 깊어 〈춘향전〉·〈심청전〉·〈흥부전〉 등의 판소리계 소설을 〈옥중화〉·〈강상련〉·〈연의 각〉 등으로 개작했다. 1927년 뇌일혈로 죽었으며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에 안장되었다.
[1918년] 국어학자 유창돈(劉昌惇) 출생
1918. 2. 27 평북 의주 ~ 1966. 10. 20.
한국 고전 어문학에 관한 중요한 책을 여러 권 펴냈다. 본관은 강릉. 1940년 신성중학교를 거쳐 1945년 일본의 주오대학[中央大學] 법학부를 중퇴했다. 8·15해방 직후 신의주에서 중학교 교사로 근무하다가 월남하여 서울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했다. 6·25전쟁 당시부터 고어연구에 뜻을 두고 고금의 국어자료를 수집하는 데 힘썼다. 1954년 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취임한 뒤, 국어국문학회 총무, 국어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1950년초 논문 〈상고문학에 나타난 무격사상〉·〈국문학에 나타난 국난기의 편상(片相)〉·〈계림유사보고 鷄林類事補敲〉 등을 발표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어 유희의 〈언문지〉에 해제와 주석을 붙인 〈언문지주해(諺文志註解)〉(1958)를 비롯해, 〈국어변천사〉(1961)·〈이조국어사연구〉(1964)·〈이조어사전 李朝語辭典〉(1964)·〈어휘사연구〉(1971) 등을 펴냈다. 〈국어변천사〉는 15, 16세기 여러 문헌에 나타난 언어의 변천과정을 정리한 책으로 국어발달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1964년 서울특별시 문화상을 받았다.
[1807년] 미국의 시인 롱펠로(Longfellow, Henry Wadsworth) 출생
1807. 2. 27 미국 매사추세츠(지금의 메인 주) 포틀랜드~1882. 3. 24 매사추세츠 케임브리지.
19세기 미국의 대중적 시인이었다. 사립학교와 포틀랜드 아카데미를 다녔으며 1825년 보든대학을 졸업했다. 대학에서는 월터 스콧 경의 소설과 워싱턴 어빙의 〈스케치 북 Sketch Book〉에 특히 매료되었고 잡지에 시를 발표했다. 번역에 매우 뛰어난 재능을 보여, 졸업하자마자 먼저 유럽 유학을 마치는 조건으로 현대언어 교수직을 제의받았다.
유럽에서는 프랑스어·스페인어·이탈리아어를 배웠으며, 여러 대학교로부터 연구장학금 지급 제안을 받았으나 사양했다. 1829년 미국으로 돌아와 보든대학의 교수 겸 사서가 되었다. 교과서를 집필·편집했고 시와 산문을 번역했으며 프랑스·스페인·이탈리아 문학에 관한 글도 썼지만 고립감을 느꼈다. 롱펠로는 하버드대학교로부터 해외여행 기회와 함께 교수직을 제의받자 이를 받아들여 1835년 독일로 떠났다. 여행 도중 영국·스웨덴·네덜란드를 방문했다. 한편 1831년 그와 결혼한 아내가 1835년에 죽자 비탄에 잠겨 하이델부르크에 머물렀는데, 이때 독일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1836년 롱펠로는 하버드대학교로 돌아와 유명한 크레이기 하우스에 살기 시작했으며 1843년 재혼했을 때에는 이 집을 결혼선물로 받았다. 기행문 〈바다 건너 Outre- Mer〉(1835)는 성공하지 못했다. 1839년 낭만주의 소설 〈히페리온 Hyperion〉과 시 〈인생 찬가 The Psalm of Life〉·〈별빛 The Light of the Stars〉 등이 실린 시집 〈밤의 소리 Voices of the Night〉를 출판했는데 〈밤의 소리〉는 즉시 인기를 얻었다. 1841년 〈헤스페러스 호의 난파 The Wreck of the Hesperus〉가 실린 〈민요 외(外) Ballads and Other Poems〉는 전국을 휩쓸었지만 〈노예제도에 관한 시 Poems on Slavery〉(1842)는 별로 성공하지 못했다. 옛 프랑스 식민지 아카디아의 목가적인 이야기 〈에반젤린 Evangeline〉(1847)이 훨씬 자연스러운 작품이다.
18년 동안 하버드대학교의 현대언어 교육과정을 주관한 뒤에 1854년 교수직에서 물러났다. 1855년에는 헨리 로스쿨크래프트가 북아메리카 인디언족들에 관해 쓴 2권의 책을 바탕으로 하고, 핀란드 서사시 〈칼레발라 Kalevala〉의 강약격 운율을 사용하여 〈히아와타의 노래 The Song of Hiawatha〉를 내놓아 즉각적인 호평을 받았다. 1861년 2번째 아내가 옷에 불이 붙는 사고로 타죽자 우울증에 빠졌다. 정신적 위안을 얻기 위해 단테의 〈신곡 The Divine Comedy〉을 번역했다. 이것은 그때까지 나온 가장 훌륭한 번역본 중 하나이며, 단테에 관한 그의 소네트 6편은 수작(秀作)으로 꼽힌다.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 Canterbury Tales〉를 모방하여 1863년에 출판한 〈웨이사이드 주막 이야기 Tales of a Wayside Inn〉는 이야기꾼으로서의 재능을 보여준다. 첫번째 시 〈폴 리비어의 승마 Paul Revere's Ride〉는 국민적 애송시가 되었다. 1872년에는 그리스도교를 그 시초부터 다룬 야심적인 3부작 〈크리스터스 Christus:A Mystery〉를 출판했고, 뒤이어 2편의 단편적인 극시(劇詩) 〈마카베의 유다 Judas Maccabaeus〉·〈미켈란젤로 Michael Angelo〉를 썼다. 그러나 일찍이 〈스페인 학생 The Spanish Student〉(1843)에서 드러났듯이 희곡적 재능은 없었다. 그러나 1882년 그가 죽은 지 오래 뒤에는 이런 후기 작품 중 몇 편이 다시 빛을 보았다. 영국의 웨스트민스터 대사원에 기념비가 있다.
[1897년] 미국의 가수 앤더슨(Anderson, Marian) 출생
1897. 2. 27 미국 필라델피아~1993. 4. 8. 오리건 포틀랜드.
당대 최고의 콘트랄토 가수의 한 사람이었다. 가난한 흑인 부모에게서 태어나, 연합 침례교회의 성가대에서 최초의 성악 훈련을 받았다. 6세 때 성가대에 참여하여 뛰어난 목소리를 들려주었으며, 그 교회에서는 그녀가 개인 성악 교습을 받을 수 있게 돈을 모아주었다. 1925년 그녀의 선생은 뉴욕 시에 있는 루이전 스타디움에서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협연하기 위한 경연대회에 그녀를 참가시켰다. 그녀는 300명의 참가자 가운데 최고 점수를 얻었다. 그녀는 가난, 인종적 차별과 싸워가며 여러 차례 콘서트 여행을 하여 명성을 떨치기 시작했다. 진정한 성공은 1925~35년 몇 차례의 유럽 콘서트 여행 후에 찾아왔다. 그 여행에서 성악가로서 경험의 폭을 넓혔고 깊이를 더했으며, 1935년 뉴욕 시로 돌아와서는 보다 큰 성공을 거두게 되었다.1939년 피부색 때문에 워싱턴 D. C.에 있는 컨스티튜션 홀에서 노래부르는 것이 금지되었다. 그 결정에 대한 항의 표시로 엘리노어 루스벨트를 포함한 시민들은 링컨 기념관에서 콘서트를 열었고, 이 콘서트에 7만 5,000명의 청중이 모여들었다. 그녀는 백악관에 초청되어 노래를 불렀고, 1955년 베르디의 오페라 〈가면 무도회 Un ballo in maschera〉의 울리카로 데뷔함으로써 뉴욕 시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노래한 최초의 흑인이 되었다. 그녀는 가창력과 음악해석 능력뿐만 아니라 흑인들을 위한 노력과 따뜻한 성품으로도 찬사를 받았다. 가수로서의 특성은 넓은 음역, 풍부한 음량, 순수한 음색, 다양한 양식의 정통함에 있다. 자서전 〈My Lord, What a Morning〉(1957)을 썼고 1952년과 1959년 두 차례 한국을 방문·공연한 바 있으며, 1965년 은퇴했다. 1978년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는 그녀에게 그녀의 옆얼굴이 새겨진 명예훈장(Congressional gold medal)을 수여했다.
[1888년] 표현력이 풍부한 독일의 소프라노 가수 레만(Lehmann, Lotte) 출생
← 〈장미의 기사〉에서 마르샬린으로 분한 레만
1888. 2. 27 독일 페를레베르크~1976. 8. 26 미국 캘리포니아 샌타바버라.
특히 로베르트 슈만의 노래와 베토벤의 오페라 〈피델리오 Fidelio〉에서 레오노어역과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장미의 기사 Der Rosenkavalier〉에서 마르샬린 역으로 유명하다.
베를린에서 가수로서 초기 훈련을 받았으며, 1910년 함부르크에서 바그너의 〈라인의 황금 Das Rheingold〉에 프레이아 역으로 처음으로 중요한 역할을 맡아 오페라에 출연했다. 1914년 빈 국립 오페라로 가서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빈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었다. 그곳에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자신의 여러 오페라에 레만을 출연시켰으며, 그녀에게 주인공역을 맡기기 위해 〈아라벨라 Arabella〉(1933)를 작곡하기도 했다. 레만은 또한 1913년부터는 영국 무대, 1930년부터는 미국 무대에서도 인정받았다. 뉴욕 시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극장에서 주로 바그너 작품에 출연했다. 1938년부터 미국에 살기 시작하여 시민권을 얻었으며, 뛰어난 가수(1961년 은퇴할 때까지)이자 교육자로서 적극적인 활동을 계속했다. 소설 〈영원한 비행 Orplid, mein Land〉(1937)을 썼으며, 3권의 회고록을 남겼다. 로테 레만은 그녀보다 전시대의 유명한 독일 소프라노 가수인 릴리 레만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1873년] 20세기 초반 이탈리아 최고의 오페라 테너 가수 카루소(Caruso, Enrico) 출생
← 카루소, Giuseppe Verdi의 〈Aida〉에서 라다메스로 분장한 모습
본명은 Errico Caruso.
1873. 2. 27 나폴리~1921. 8. 2 나폴리.
자신의 음성을 음반으로 남긴 최초의 음악가이다.
가난한 가정에서 20명의 아이 중 18번째로 태어났으며 어디서나 나폴리의 민요를 부르며 다녔다. 9세에 교구 내 성가대원으로 활동했으나 정식 음악교육은 18세에 굴리엘모 베르지네에게 배우면서 시작되었다. 3년 뒤인 1894년 나폴리의 테아트로 누오보에서 모렐리의 〈아미코 프란체스코 L'Amico Francesco〉로 데뷔했고, 4년 뒤 강한 인상으로 여러 배역을 소화해내고 나서 움베르토 조르다노의 신작 오페라 〈페도라 Fedora〉에서 로리스 역을 맡아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이 역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끈 직후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공연을 가졌다. 〈라 보엠 La Bohème〉으로 라 스칼라 극장에서 데뷔(1900)한 후 〈아드리아나 르쿠브뢰르 Adriana Lecouvreur〉·〈게르마니아 Germania〉·〈서부의 아가씨 La Fanciulla del West〉 등에서 주역을 맡았으며 라 스칼라 극장에서는 〈라 마셰르 La Maschere〉·〈사랑의 묘약 L'elisir d'amore〉의 주역을 맡았다. 1902년 봄 몬테카를로에서는 〈라 보엠〉에, 런던의 코벤트 가든에서는 〈리골레토 Rigoletto〉에 출연한 이래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1903년 11월 23일 뉴욕 시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극장의 개관 첫날 밤 〈리골레토〉로 미국 무대에 데뷔했으며 이후 17년간 이 극장의 시즌 개시를 맡아 모두 36개의 배역을 노래했다. 1920년 607번째 메트로폴리탄 고별공연 때 〈유대 여인 La Juive〉에서 엘레아자르 역을 노래했다. 카루소는 당대 최고의 보수를 받는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가수가 되었다. 강하면서도 동시에 서정적인 소리를 가졌지만, 만년에는 이런 특질이 다소 약화되었다. 호소력 있는 테너 음색으로 특히 저음부에서 풍부하게 울렸고 온화함·생동감·부드러움이 넘쳤다.
[1932년] 미국의 영화배우 테일러(Taylor, Elizabeth) 출생
← 테일러
1932. 2. 27 ~
런던에서 출생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직후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10세 때 영화 《귀로(歸路)》에 첫 출연하였고, 소녀시절 《녹원(綠園)의 천사》《신부의 아버지 Father of the Bride》(1950) 등을 거쳐 《젊은이의 양지(陽地) A Place in the Sun》(1951)에서부터 수려한 미모와 연기력이 돋보여 《자이언트 Giant》(1956), 《클레오파트라 Cleopatra》(1963) 등에 출연하였다. 《버터필드 8 Butterfield 8》(1960),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Who’s Afraid of Virginia Woolf?》(1966)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naver
[1899년] 여성교육자 김활란 출생
기해년(己亥年)에 태어나서 '기득'(己得)이라고 불렸으며 '활란'(活蘭)이라는 이름은 세례명인 헬렌을 한자어로 표기한 것이다. 호는 우월(又月). 기독교적 가풍에서 독실한 신앙인으로 자랐다. 1907년 제물포에서 서울로 이사하여 이화학당에 장학생으로 입학했다. 1918년 이화학당 대학과를 졸업하고 모교에서 근무하였으며, 이화학당 재직중에 3·1운동을 맞았다. 1922년 7월 미국 오하이오 웨슬리안대학에 편입하였다. 1924년 6월 문학사학위를 받고, 그해 10월 보스턴대학 대학원 철학과에 입학하여 〈철학과 종교의 관련성〉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25년 여름 호놀룰루에서 열린 제1차 태평양문제연구회의(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에, 1927년 역시 호놀룰루에서 열린 제2차 태평양문제연구회의에 참석하였고, 1928년 미국 캔자스 시에서 열린 감리교 총회에 평신도 대표로 참석하는 등 종교·사회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시작하였다. 1928년 4월 예루살렘에서 열린 국제선교회의에 신흥우·홍병선 등과 함께 참석하여 일본대표와 논쟁을 벌여 찬사를 받기도 했다. 1930년 미국 콜럼비아 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하여 1931년 10월 우리나라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25년부터 이화여대 교수 및 학감 직을 맡고 있었는데 박사학위 취득 후 귀국해서는 부교장직도 겸했다. 1939년 4월에는 이화여자전문학교와 이화보육학교의 교장이 되었다. 1945년 문리과대학을 한림원으로, 음악·미술대학을 예림원으로, 의예과·간호과·약학과를 종합한 예과대학을 행림원으로 편성하였고, 1946년 8월 15일 종합대학으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1961년 9월 30일 김옥길에게 총장직을 물려주고 명예총장과 이사장직을 맡아 이화여대에 대한 자체조사연구로부터 시작하여 이화 10년 발전계획을 추진하였다. 해방 후 구성된 교육심의회 위원으로 교육이념 분과에 참여하였고, 교육심의회보다 먼저 구성된 한국교육위원회에서 여자교육 부문을 맡아 여성교육 이념 확립에 힘썼다. 1950년 6·25전쟁이 일어나자 피난을 가서 적십자사 일을 보았고 이어서 공보처장직을 수행하였다. 그가 관련을 맺었던 단체는 50여 개에 달했는데 1922년에 창설된 기독교청년회연맹(YMCA), 1950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여학사협회, 1959년에 조직된 여성단체협회에서의 활동이 대표적인 것이다. 1960년 4월 19일 김활란 전도협회를 조직하여 교파를 초월한 범기독교적 운동을 전개하였고, 1964년 10월 16일 한국복음화운동의 기틀을 위한 발기대회를 열어 "삼천만을 그리스도에게!"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1년 동안 추진했다.이것은 1968년의 새시대 복음운동으로 퍼져나갔다. 1963년 교육 부문 대한민국상, 필리핀에서 주는 막사이사이상(공익 부문), 미국 감리교회에서 주는 다락방상을 수상하였다. 1964년 5월 미국 웨스팅 하우스의 타임캡슐에 넣을 자료편찬의 교육 부문 위원으로 위촉되었다. 1965년 9월 대한민국 순회대사로 임명되어 죽을 때까지 활동했으며 평생을 독신으로 지냈다. 1970년 대한민국일등수교훈장이 추서되었다.
그밖에
2006년 비정규직 근로자 보호법안 국회 상임위 전격 통과
2006년 1000만원 이상 뇌물 받으면 실형 창원지법, 화이트칼라 처벌기준 첫 공개
2006년 정진석 추기경 서울 명동성당에서 서임 후 첫 기자회견
2006년 맨유, 14년 만에 칼링컵 우승
2006년 제20회 토리노 동계올림픽 폐막식
2006년 노무현 대통령, 정동영 의장등 與 지도부와 만찬
2006년 성추행 파문 최연희의원 탈당
2006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제5대 총장에 황지우씨
2006년 덕성여대 총장에 지은희씨
2004년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 마케도니아 대통령 비행기 추락사
2001년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방한
1997년 콜롬비아 엘 페스카토르 호텔 폭탄테러
1996년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북한 신포지역을 경수로 건설부지로 최종 선정
1995년 한국-안도라 국교 수립
1992년 영어학자 새뮤얼 이치예 하야카와 사망
1991년 미국 등 다국적군 쿠웨이트시 탈환
1991년 서해안고속도로(인천~목포) 기공
1990년 울진 원전2호기 준공
1990년 소련최고회의, 고르비에 막강권력 부여 미국식 대통령제 승인
1989년 오스트리아의 동물학자 로렌츠 사망
1989년 부시 미국대통령 방한
1982년 중국, 헌법개정작업 추진
1980년 환율, 유동제로 변동실시
1980년 로디지아 총선, 애국전선 압승
1979년 남북탁구협회, 평양세계탁구대회 단일팀구성협의차 판문점에서 협의
1974년 남북조절위 4차 부위원장회의 개최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실시
1973년 노벨생리의학상 콘라트 로렌츠 사망
1968년 브라질 리우축제 개막
1968년 한국일보 사옥 전소(7명 소사)
1964년 주은래 중국 수상, 미국과 화해용의 표명
1963년 정치지도자, 각군책임자 2.18성명 지지 정국수습 공동성명
1962년 호주 요트 크레텔 첫선
1959년 대법원 진보당사건 판결, 조봉암, 양명산에 사형
1953년 정부, 독도영유권 성명
1941년 박홍 한국의 교육자·종교인 출생
1936년 프랑스의 정치가 클레망소 사망
1936년 조건반사 개념을 발전시킨 러시아의 생리학자 파블로프 사망
1934년 네이더 1960년대부터 소비자 보호운동에 앞장선 미국의 법률가·소비자운동가 출생
1928년 오상락 한국의 경영학자 출생
1926년 조선도량형령 공포(미터법 적용)
1926년 허블 캐나다 태생 미국의 신경생물학자 출생
1916년 장경학 한국의 법학자 출생
1913년 김환기 추상적 조형언어로 한국적 정서를 양식화한 대표적 서양화가 출생
1913년 리쾨르 프랑스의 현상학 철학자, 역사학자 출생
1912년 더럴 지형서(地形書), 시극 및 익살스런 단편소설을 썼으며, 세계대전 전후의 독창적인 소설가로 꼽히는 영국의 소설가·시인 출생
1904년 패럴 시카고에 사는 중하류층 아일랜드인들을 사실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알려져 있는 미국의 소설가·단편작가 출생
1902년 코스타 브라질의 새 수도 브라질리아의 종합 기본계획을 창안한 것으로 유명한 프랑스 태생 브라질의 건축가 출생
1902년 사라젠 1920, 1930년대에 활약한 미국의 유명한 프로 골프 선수 출생
1899년 베스트 캐나다의 생리학자 출생
1897년 리오 코로나 그래프를 발명한 프랑스의 천문학자 출생
1894년 한성신문 창간
1893년 린턴 문화인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인류학자 출생
1891년 사르노프 미국의 라디오·텔레비전 방송 발전의 선구자 출생
1888년 슐레징거 역사에서 사회와 도시의 발전이 가지는 중요성을 강조하여 미국 역사의 연구 영역을 확대시킨 미국의 역사가 출생
1886년 블랙 시민적 자유에 대한 보상규정인 권리장전을 철저히 옹호한 미국의 변호사, 정치가, 연방대법원 판사 출생
1884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성립
1881년 브로우웨르 수학의 본성을 자명한 법칙에 의해 지배되는 정신적 구성물이라 보는 수학적 직관주의를 정립한 네덜란드의 수학자 출생
1881년 비외손 최초의 아이슬란드 대통령을 역임한 아이슬란드의 정치가·외교관 출생
1869년 카울스 미국의 식물학자로 식물생태학 분야의 개척자 출생
1869년 해밀턴 직업병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 미국의 병리학자 출생
1867년 피셔 자본 이론에 대한 연구로 널리 알려졌으며, 근대적인 통화 이론의 발전에도 기여한 미국의 경제학자 출생
1863년 미드 사회심리학과 실용주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한 미국의 철학자 출생
1863년 도미니카공화국, 스페인으로부터 독립
1861년 슈타이너 오스트리아 태생의 과학자, 편집인, 인지학 창시자 출생
1850년 헌팅턴 미국의 철도왕, 희귀본 수집가 출생
1848년 패리 19세기말 영국음악의 재활성화에 기여한 작곡가·작사가·교사 출생
1847년 테리 영국뿐 아니라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배우였던 영국의 배우 출생
1846년 메링 독일의 역사가, 급진주의적 언론인, 마르크스의 전기작가 출생
1844년 미국의 금융업자 니콜라스 비들 사망
1835년 가넷 현대 영국 문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가넷 집안의 대부이며 작가·사서
1802년 벤팅크 영국의 정치가 출생
1735년 콘웨이 미국 독립전쟁 때 미국군 장군 출생
1622년 파브리티위스 초상화와 풍속화 및 문학적 주제를 다룬 그림으로 유명한 네덜란드의 바로크 화가 출생
1606년 라 이르 장중하고 단순하며 품위있는 작품으로 알려진 프랑스 바로크 시대의 고전주의 화가 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