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셀 민(暋)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강인할 민(敃)자를 했습니다. 강인할 민(敃)자는 백성 민(民)자 옆에 칠 복(攵)자를 해서 백성을 강인하게 만드는 방법을 표시했습니다. 효예민황후(孝睿暋皇后) 권민(權暋) 정민(程暋) 황지민(黃智暋)
힘쓸 민(黽,黾mǐn)자는 맹꽁이 민(黽)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맹꽁이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아마도 맹공이 민(黽)자로 읽다가 힘슬 민(黽)자로 전주(轉注) 된 듯합니다. 민면(黽勉) 민백(黽白) 길거민면(拮据黽勉) 금신민면시식(今臣黽勉視識) 구민면지금의(懼黽勉至今矣)
총명할 민(慜)자는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㣺,忄)자에 성부(聲符)로 재빠를 민(敏)자를 했습니다. 재빠를 민(敏)자는 매양 매(每)자에 칠 복(攵)자를 했습니다. 늘 매를 들어 다그친다는 표시를 했습니다. 이렇게 배로 다그치면 게으름을 피울 수가 없겠지요. 매양 매(每)자는 누운 사람 인(𠂉)자 아래에 어미 모(母)자를 했습니다. 말 무(毋)자는 어미 모(母)자의 변형입니다. 어머니의 젖을 없앤 글자입니다. 그래서 ‘말다, 금지, 없다, 아니다’라는 뜻이 있지요. 왕이민(王以慜) 민념(慜念) 민서(慜㥠) 총민(聰慜) 홍성민(洪性慜) 김강민(金剛慜) 조민(趙慜)
힘쓸 민(敃)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백성 민(民)자를 했습니다. 백성 민(民)자는 각시 씨(氏)자의 변형입니다. 두 글자가 모두 아이를 밴 여자를 상형(象形)했습니다. 민천(敃天) 심민성(沈敃成) 유민서(柳敃㥠) 권성민(權聖敃) 엄하민(嚴河敃)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