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대한민국의 종합 IT 기업.
2. 사업
서치 플랫폼
커머스
핀테크
콘텐츠
클라우드
3. 관계사
A홀딩스: 네이버(50%)와 소프트뱅크(50%)의 합작 회사이다. 법적/경영적으로 A홀딩스와 그 산하 회사들은 소프트뱅크의 연결 자회사이며, 때문에 네이버 입장에서는 비연결 자회사(관계회사)로 분류되어 A홀딩스와 그 산하 회사 및 브랜드들의 실적은 네이버의 재무제표에서 제외된다.
LY 주식회사: 구 야후 재팬. 라인과 야후! 재팬의 합병.
LINE
라인플러스: 라인의 한국 법인.
라인 플레이: 구 NHN아츠.
라인게임즈
라인비즈플러스
라인업
라인스튜디오
드라마앤컴퍼니: 2017년 인수한 명함관리 어플 리멤버 운영회사.
언체인: 블록체인 기술 자회사
언블락: 블록체인 기술 자회사
그레이해쉬: 2018년 인수한 정보보안 회사.
라인사우스이스트아시아
라인유로아메리카
라인타이완
IPX: 라인프렌즈와 BT21 등 캐릭터 사업을 운영하는 회사로 2015년 분사했다. 2022년 회사명을 라인프렌즈에서 IPX로 변경했다.
라인씨앤아이
라인페이
라인파이낸셜: 2018년 1월 설립한 금융 자회사. 일본에서 미즈호은행과 함께 인터넷은행을 출범하였다.
라인증권: 라인파이낸셜이 51%, 노무라홀딩스가 49%를 보유한 증권 중개 및 투자 컨설팅 서비스 회사. 2018년 6월 설립했다.
라인파이낸셜아시아: 태국에서 현지 은행 카시콘은행과 합작으로 카시콘라인을 세우고 2020년 인터넷은행을 출범하였다. 인도네시아에서는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의 2대 주주로 있으며 2021년 인터넷은행을 출범하였다.
라인파이낸셜타이완: 대만 현지 법인으로, 대만에서 라인뱅크 컨소시엄에 최대 주주로 참여하고 있으며 2021년 인터넷은행을 출범하였다.
라인헬스케어: 소니 계열의 의료전문 플랫폼 M3와 합작으로 설립한 원격의료 사업 회사.
LVC
라인테크플러스
야후! 재팬
YJ카드
재팬 넷 뱅크
PayPay
웹툰 엔터테인먼트: 미국 법인. 2020년 이후로 북미를 비롯한 웹툰 사업 총괄.
네이버 웹툰(기업): 2017년 5월 설립한 웹툰 서비스 한국 회사. 사내독립기업에서 시작되어 분리되었다. 엔스토어를 흡수 합병했다.
스튜디오N: 2018년 8월 설립된 영상콘텐츠 제작사. 모회사인 네이버 웹툰의 IP를 영상화하기 위한 드라마 스튜디오다.
LICO: 2017년에 설립된 웹툰 제작 스튜디오.
플레이리스트: 2017년 스노우와 네이버 웹툰이 합작으로 설립한 드라마 제작사.
세미콜론스튜디오: 2018년 4월 분할한 영화 제작사.
바닷두: AI 스타트업 기업
문피아 : 2021년 8월 문피아 지분 56.26%를 약 1700억원에 인수해 최대 주주 자리에 올랐다.
왓패드(Wattpad): 월간 이용자가 9000만 명이나 되는 웹소설 플랫폼, 무려 그 텐센트가 노리고 있었던 플랫폼이었다고한다. 2021년 1월 20일에 한화 6000억 원으로 인수하였고 5월 11일에 인수 완료하였으며 네이버가 단행한 단일 인수 건 중 최대 규모의 금액이라고한다. 이 인수로 인해 네이버 웹툰과의 연계로 일으킬 시너지와 두 플랫폼이 결합함으로서 IP 및 콘텐츠 시장에서 존재감 강력한 경쟁력을 갖춤과 동시에 넓어진 사업 보폭과 시장 점유율 등 회사의 무형가치가 더해져 회사의 몸값이 더 뛸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Wattpad 웹툰 스튜디오: 네이버와 왓패드가 글로벌 영상 사업에 시너지를 내기 위해 설립한 스튜디오.
웹툰 언스크롤드: 왓패드 스튜디오 산하 그래픽노블 임프린트. 네이버웹툰 작품의 북미권 단행본 출판을 담당한다.
라인 디지털 프론티어: 일본 법인. 라인 망가를 운영한다.
이북 이니셔티브 재팬:라인 디지털 프론티어가 일본의 전자책 서비스 업체 '이북 재팬'을 인수했다. 이북재팬은 이미 '야휴재팬'과 연동해 서비스되고 있었기 때문에 인수된 후에는 더욱 더 시너지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웹툰 컴퍼니: 와통 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회사(웹툰 엔터테인먼트)의 소속이 될 경우 중국정부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만든 한국 법인.
와통 엔터테인먼트: 중국 법인.
동만 엔터테인먼트: 글로벌 웹툰의 중국 서비스인 동만 만화를 운영하는 회사.
스노우(기업): 2016년 7월 설립한 카메라 어플 서비스 회사.
네이버제트: ZEPETO 운영사.
피노키오: 모바일 게임 개발사인 루노소프트와 함께 설립한 게임 개발사. 네이버 Z가 주식 33.33%를 보유하고 있다.
어뮤즈
케이크: 케이크(애플리케이션) 운영사.
크림: KREAM 운영사.
하트잇: 2018년 6월 인수한 인스타그램 기반 쇼핑 플랫폼.
스프링캠프: 벤처 캐피털.
네이버 I&S: 구 NHN I&S.
그린웹서비스: 구 NHN서비스 서울지역센터.
인컴즈: 구 NHN서비스 춘천지역센터.
컴파트너스
엔테크서비스: 구 NHN 테크놀로지서비스.
네이버랩스
네이버랩스유럽: 구 제록스리서치센터유럽. 2017년 6월 제록스에서 인수한 AI 연구소.
에피폴라
네이버파이낸셜: 2019년 11월, 네이버페이를 분사해 설립했다.
네이버클라우드: 구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엔아이티서비스: 2014년 엔테크서비스(NTS)에서 인프라 관련 조직을 분사.
해피빈: 기부 및 나눔 사업.
네이버 커넥트: 비영리기관 교육사업.
네이버차이나
네이버프랑스: 유럽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법인. 프랑스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다.
네이버베트남
네이버문화재단
오디언소리:오디오클립을 운영하는 법인, 국내 최대, 최다 오디오북 컨텐츠 유통,제작 법인
네이버 밴드: 밴드를 운영하는 미국 법인.
작가컴퍼니
4. 여담
첫 번째 사옥은 '그린팩토리', 두 번째 사옥은 '네이버 1784'이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95 (정자동)에 있다. 지방 사람이라도 경부고속도로를 타다 보면 서울톨게이트에서 네이버와 두산그룹, 현대기아차 본사를 순서대로 볼 수 있어서 많이 익숙할 건물.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통유리건물이기 때문에 도로 건너편의 미켈란쉐르빌 입주민들과 법적 분쟁도 있었다. 해당 건물의 유리벽의 빛반사가 심해서 소송에 휘말렸고, 대법원은 이에 대해 위자료를 인정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다.관련 기사 정자동의 사옥이 '그린팩토리' 라는 이름으로 유명하다. 웹툰 등지에 많이 나온 이 건물은 초록창의 기업답게 사옥 전체가 초록색 유리로 덮여있으며 친환경을 강조한 내외부 인테리어와 시설이 매우 좋고 쾌적하기로 유명하다. IT기업 특성상 젊은 직원들이 많은 만큼 회사가 개방적이고 신선한 느낌을 준다. 우체국, 은행 서비스, 빵집, 편의점, 공돌이들을 위한 디스크 치료 헬스 등등 건물 하나가 도시 같고 복지시설이 뛰어나다. 내일은 웹툰에선 녹색거탑이라고 표현했다. 사옥 일부 공간은 일반인에게도 개방하고 있다. 네이버의 도서관 책들을 열람할 수 있으며, 초록창 모양의 자석 기념품도 판매하고 있다. 1, 2층에 도서관, 캐릭터 샵 등이 있으며 시민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기념품 수입 전액은 해피빈을 통해 기부한다고 한다. 교통 상 정자역과 미금역 사이 딱 한가운데에 위치하고 성남 마을버스 2로 바로 앞까지 이동이 가능하다.
네이버 지도 로드뷰 촬영을 할 때, 네이버 직원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노동조합은 전국민주화학섬유노동조합연맹 소속인데, 이 업계의 노조로는 1호라고 주장하나 IT업계에 노동조합이 없던 것은 아니다. SKT나 KT 등에는 이미 노조가 이전부터 있었으나, 그런 기간산업이 아닌 순수 인터넷 기반 정보통신기술 업체로서는 최초임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네이버 노조를 시작으로 카카오에도 같은 상급노조를 기반으로 노조가 만들어졌고 게임업계인 넥슨과 로아로 유명한 스마일게이트에도 노조가 만들어졌다. 이후 생긴 안랩 노조는 한국노총 소속인 것을 보면 또 다른 영향력으로 볼 수도 있으며, 오히려 같은 동네(정자동)의 SK하이닉스 사무직 노조가 같은 상급단체 소속으로 노조가 생겼다.
근무 환경에 대해 네이버 직원 자살 사건과 또 다른 직원 자살 사건, 직장 내 괴롭힘 사건 등이 연달아 벌어지며 문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