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이조전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장원급제자만이 임명될 수 있었다.
2.의정부에 추천에 의해 임명되었다.
3.한미한 가문출신은 임명되지 못하였다.
4.탕평책 하에 당쟁을 조정하는 기능을 하였다.
5.문관.무관의 인사권을 아울러 장악하고 있었다...
답은 3번이라고 나와 있는데요...
조선시대의 이조 전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문관의 인사권을 담당하였다.
② 실력보다는 인품을 중시하였다.
③ 한미한 가문의 출신도 가능하였다.
④ 후임자에 대한 추천권은 후기에도 지속되었다.
⑤ 정5품인 정랑과 정6품인 좌랑을 말한다.
답:④ 이조 전랑의 후임자에 대한 추천권은 영조 때 폐지되었다.
한미한 가문출신이 임명된게 맞을까요?? 진실은 어디에...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카페 게시글
② 한국사 심화 학습
[문제질문]
이조전랑 네 이놈 게 섰거라~
옵티미스트
추천 0
조회 285
07.02.08 23:54
댓글 7
다음검색
첫댓글 3.한미한 가문출신은 임명되지 못하였다.
이조전랑은 후임자에 대한 추천권이 있었고 인사권을 행하는 자리였기때문에 일반적으로 한미한 가문출신은 임명되지 못하였지만.불가능한건 아니에요.
고로 임명이 불가능한건 아니지만 임명되지 못하였다.
1번2번문제에서 답이 달라진이유 또하나는 상대성~
이런문제 낼라믄 1번 문제에서 보기 3번에 거의 임명되지 못하였다 이런식으로 나와야 하는거 아닌지... 1번 문제 풀어보고 틀려서 기억하고 있다가 2번문제 나오면 10초문제라고 하면서 3번 바로 찍고 넘어가겠네요...써글
한미한 가문출신이 never보다는 hardly하게 안되었다고 정리해야 할 듯 싶네요.
농민이 원칙적으로 과거에 응시할 수 있는 것과 비슷한 원리네요. 상대성 문제 정말 싫다~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