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분만 투자해 읽으면 좋을 자료] 크림 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史 요약
크림 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史를 이번 기회에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두는게 좋다. 우리나라 또한 크림자치공화국과 같은 약소국이기 때문이다.
다음 주 중에 이지스맨들은 아래 자료를 함께 읽고 토론할 계획이다.
간략하게 요점을 정리해보자.
...
1. 한반도 분단을 결정한 1945년 얄타 협정... 크림 반도 남쪽 휴양도시 얄타에서 열렸다.
2. 백의의 천사 나이팅게일... 러시아와 오스만 사이에 발생한 크림 전쟁(1853~1856년)에 종군했다.
3. 여러 국가의 지배를 번갈아 받던 크림 반도는 1783년 예카테리나 여제에 의해 러시아 제국에 병합됐다.
4. 1954년 크림을 둘러싸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 영토 분쟁이 나자 우크라이나 출신의 소련 공산당 서기장 니키타 흐루시초프가 러시아 소비에트공화국에 속했던 크림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공화국에 양도했다.
5. 크림 공화국의 민족별 인구비율은 러시아계(60%), 우크라이나계(24%), 타타르계(13%) 순이다.
크림 사태의 파장은 꽤 오래갈테지만, 다른 이슈가 뜨면 또 우리의 시야에서 사라지는건 당연하다. 그 파장이 절정일 때 공부해두면 오래오래 기억되고, 우리 앞에 비슷한 사태가 발생하면 즉각 반면교사로 활용할 수 있다.
중고교생 자녀를 둔 분들은 아래 연합뉴스 기사를 먼저 읽고, 자녀들에게 프린트하여 읽어볼 것을 권하라고 권고하고 싶다.
====================================
'환난의 땅' 크림 반도... 60년만에 다시 러시아로
-1783년 예카테리나 여제가 처음 병합, 1954년 흐루시초프가 우크라이나에 양도
-우크라이나 정쟁 와중 친서방 세력 집권하자 분리주의 움직임 재촉발
우크라이나에 속했던 크림 공화국이 우여곡절 끝에 다시 러시아로 넘어갔다. 소련 시절이던 1954년 니키타 흐루시초프 공산당 서기장에 의해 러시아에서 우크라이나로 이전됐던 시점을 기준하면 60년 만이다.
유럽과 아시아, 중동 지역의 접점에 위치한 탓에 수백 년에 걸쳐 훈족, 그리스, 비잔틴 제국, 몽골 제국 등 다양한 민족과 국가의 지배를 받아오던 크림은 1783년 예카테리나 여제에 의해 처음으로 러시아 제국에 병합됐다.
이후 줄곧 러시아의 지배하에 있던 크림반도는 19세기 중반(1853~1856년) 러시아 제국과 오스만 제국의 충돌로 빚어진 '크림전쟁'의 무대가 됐다. 당시 남하 정책을 펴고있던 러시아 제국과 이를 저지하려던 오스만 제국 및 영국·프랑스 연합군이 충돌하면서 빚어진 전쟁이었다. '백의의 천사'로 불리는 영국 간호사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이 이 전쟁에서 활약한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러시아에서 1917년 사회주의 혁명으로 제정이 무너지고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소련)이 들어선 뒤 몇 년 간 이어진 내전 동안 크림은 반(反)혁명 백군의 최후 거점지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결국 1921년 크림반도에도 러시아 소비에트공화국 산하 크림 자치소비에트공화국이 설립됐다.
제2차 세계대전 때도 크림은 또다시 격전지가 됐다. 크림 남부 세바스토폴에서 1941년 10월부터 1942년 7월까지 250일 동안 벌어진 나치군과 소련군의 공방전은 2차 세계대전 중 가장 치열한 전투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양측에서 4만 명이 넘는 전사자가 발생한 접전 끝에 결국 크림은 나치의 수중에 들어갔다.
1944년 소련군이 다시 크림 반도를 탈환하자 이오시프 스탈린은 나치군에 협조했다는 이유로 약 20만 명의 크림 내 타타르족 모두를 우랄과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시켰다. 이 과정에서 이주민 가운데 절반 정도가 굶주림이나 질병 등으로 숨졌다.
타타르족은 소련 붕괴를 전후한 1988~92년 크림으로 돌아와 재정착하면서 반도 전체 주민 200만 명 가운데 러시아계(60%), 우크라이나계(24%)에 이어 세번째(13%)비중을 차지하는 소수민족 공동체를 이루고 살고 있지만 역사적 경험 때문에 여전히 러시아에 강한 반감을 갖고 있다. 크림의 러시아 귀속 추진에 크림 내 타타르계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2차 세계대전이 말기인 1945년엔 크림 땅에서 한반도의 운명이 결정되기도 했다. 그해 2월 크림 남부 휴양도시 얄타에서 프랭클린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 이오시프 스탈린 소련 공산당 서기장 등 연합국 정상들이 모여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남쪽은 미군이, 북쪽은 소련군이 군정을 실시하는 신탁통치를 결정한 것이다.
2차 세계대전 후인 1946년 크림은 자치공화국 지위를 박탈당하고 러시아 소비에트공화국 산하의 1개 주(州)로 들어간다.
그러다 1954년 크림을 둘러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영토 분쟁의 씨앗이 뿌려졌다. 그해 우크라이나 출신의 소련 공산당 서기장 니키타 흐루시초프가 러시아 소비에트공화국에 속했던 크림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공화국에 양도한 것이다.
17세기 우크라이나 카자크 족이 러시아 제국에 복속을 요청한 페레야슬라프 조약 체결(1654년) 300주년을 기념한 친선의 표시였다. 당시만 해도 소련에 함께 속했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소련 붕괴 이후 크림을 두고 다툼을 벌일 것이라곤 상상도 못한 결정이었다.
소련이 붕괴의 길로 치닫던 1991년 2월 크림주는 전체 주민투표를 통해 크림 자치소비에트공화국의 부활을 결정했고 소련 붕괴 후인 1992년 2월 크림 의회는 크림 공화국의 독립을 선포했다. 크림 공화국은 그해 5월 독립국 지위를 규정한 헌법까지 채택했으나 러시아의 중재하에 결국 우크라이나 내의 자치공화국으로 남게 됐다.
크림은 자체 헌법에 기초해 공화국 대통령까지 뽑는 대폭적인 자주권을 누렸으나 대통령직은 1995년 폐지됐다. 이후로도 계속됐던 크림의 독립 움직임은 1997년 체결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우호조약에서 크림의 우크라 영토 귀속이 공식적으로 확정되면서 한동안 수면 속으로 가라앉았다. 이 조약에서 크림은 자치공화국 지위를 부여받고 행정수반을 크림 의회에서 선출해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인준을 받는 행정적 자율권을 누리게 됐다.
그 뒤 줄곧 우크라이나의 자치공화국으로 남아있던 크림의 독립 문제는 지난해 말부터 불거진 우크라이나 내 친러-친서방 세력 간 정치 투쟁의 결과 친서방 진영이 정권을 장악하면서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주민의 절반 이상이 러시아인으로 친러 성향이 강한 크림 자치공화국이 친서방 우크라이나 중앙정부에 반기를 들고 우크라 이탈과 러시아 귀속을 추진하기 시작한 것이다.
크림 의회와 크림에 위치한 특별시인 세바스토폴은 결국 지난 11일 독립 선언서를 채택했고 16일 주민투표를 통해 러시아 귀속을 결정했다. 이후 러시아가 일사천리로 크림 병합 절차를 추진하면서 크림은 결국 60년 만에 러시아로 되돌아가게 됐다.
크림의 러시아 병합에 대해 서방은 2차 세계대전 이후 확립된 국제 질서에 대한 최대 위협이라며 반발하고 있지만 러시아는 흐루시초프의 변덕으로 왜곡됐던 역사를 바로잡은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끝>더 보기
첫댓글 귀중한 자료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