六甲日詩
建祿於寅是旺鄉。
【原注:寅上甲木坐祿,金絕土死財官兩背,見辛未時最貴。】
甲寅일. 甲이 寅에 건록이고 왕하다. 寅목 위에 甲목이 있으면 甲목이 록에 앉은 것으로 금이 절(絕)되고 토가 사(死)되어 재관이 모두 등을 돌려서 약해진다. 辛未시를 보면 가장 귀하다.
乾 庚戌 乙酉 甲寅 辛未. 신미는 관성과 귀인의 조합이다. 寅申충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신금이 충하면 인목은 미고로 몸을 숨길 수 있다. 未가 인목의 보호장치가 된다.
乾 戊寅 庚申 甲寅 辛未. 천간에 갑무경 삼기가 있다. 귀인은 미에 있다. 이런 경우를 귀인이 모였다고 한다. (聚貴) 귀인이 시에 모이고 신금 관성이 정의하고 있다. 인신충으로 인목은 未고로 들어간다. 조정의 고위관리이다.
乾 癸亥 癸亥 甲寅 戊辰. 인해합으로 인해 寅속의 병화가 꺼진다. 적천수에서 말하는 수탕호기(水蕩騎虎: 수가 많은 경우 인목이 있으면 안전하다)로 보면 안된다. 癸亥는 큰 바다와 같은 수이다. 호수 속에 서있는 나무와 같다. 부식되기 쉽다. 정신발달 지체아이다.
坤造 辛亥 辛丑 甲寅 丁卯. 시의 양인과 상관이 있다. 관성을 손상시킨다. 동량이 되지 못한다. 좋은 남편을 만나지 못한다. 지지에 寅亥합으로 인해 丙화가 손상된다. 월경 불순이 있다.
乾 壬子 丁未 甲寅 甲戌. 일시에 화국을 공(拱)한다. 정화가 투간해 귀인 未, 비겁고를 관리한다. 다시 정임합으로 년의 인수를 얻고자 한다. 자미천이 있어 정부의 관리는 되지 않는다. 증권회사 간부이다.
乾造 丙午 丙申 甲寅 丙寅. 강한 목화의 세력이 신금을 둘러싼다. 강중적과(强衆敵寡)의 구조이다. 다수의 목화가 세력을 이루어 수가 적은 금(金)을 제압한다. 월령의 관을 통제한다. 시랑 명조.
乾造 戊午 庚申 甲寅 丙寅. 위의 명조에 비해 화가 약하다. 식신제살에 해당된다. 운에서 庚申금을 처리하면 귀(貴)가 없어진다. 乙丑대운, 을경합으로 경금이 입고된다. 벼슬을 잃게된다.
秋臨傳送鬼刑傷【原注:謂申中甲絕,庚爲殺,秋生鬼旺。】
甲申일. 가을에 속하는 전송(傳送: 申)이 오면 귀(鬼)로 인한 손상이 있다. 申에서 甲이 절(絕)되고, 庚금은 살이다. 가을에 태어나면 귀가 왕하다.
乾 甲申 甲戌 甲申 甲戌. 申과 戌이 酉를 협한다. 이런 경우 충을 두려워한다. 戊寅대운, 충이 발생한다. 일간이 앉은 자리가 불안해진다. 戊辰년, 진술충으로 네개의 갑목이 모두 쓰러진다. 신금과 술토에서 투간한 무토와 대운에서 온 무토가 진술충으로 붕괴된다. 자기 스스로 힘들어하는 양상이다. 명주는 이해 자살했다.
乾 癸未 辛酉 甲申 丙寅. 월지와 일지에 금이 있어 위험하지만 시에 병화가 있어 일간이 손상되지 않는다. 시의 병화가 월의 신금 관성을 얻는 도구가 된다. 병신 합수의 기운이 있다. 년간 계수가 갑목을 생한다. 민국시기 성장(省長)을 지냈다.
戌中坐祿心懷善,
【原注:戌中辛有餘氣,戊土正位,身坐財官,身被火焚,心多懷善,見丙寅時貴。】
甲戌일. 戌중에 辛이 여기(餘氣)로 있다. 戊토가 힘을 받는 바른 자리로 신(身)이 재관에 앉았다. 지지에 불이 있어 자신이 불에 타게 된다. 마음이 선량하다. 丙寅시를 보면 귀하다.
해설) 戌은 상관고이다. 정관이나 재성이 투간하지 않으면 상관고로 본다. 갑목이 화고 술에 앉아 자신을 불사르는 것은 남들을 위해 봉사, 헌신하는 상이다. 그러나 관성을 극하는 경우는 범법자가 될 수 있다.
乾 戊申 辛酉 甲戌 甲戌. 관살이 서로 싸우고 있고 酉戌천이 있다. 선량하지 않다.
甲戌일이 겨울에 태어난 경우, 戌속의 丁화는 양기운이다. 진술충을 당하면 정화가 소멸되어 단명할 수 있다.
乾 庚辰 丁亥 甲戌 戊辰. 이소룡. 단명,
갑술일이 정화가 투간해 재를 생하는 경우 기술로 돈을 번다.
乾 己丑 丙子 甲戌 丁卯. 항공기 수리를 업으로 한다.
坤 戊午 乙卯 甲戌 乙亥. 일지에서 투간한 戊토가 년지 午에 앉아 午戌 화국을 이룬다. 부부가 된다. 중간에 양인 겁재 乙卯가 방해한다. 묘술합 갑을 음양배합으로 역시 남자가 된다. 월지에서 투간한 을목이 해수에 앉다. 갑술 을해는 음양조합으로 남녀관계가 된다. 술집아가씨. 남성편력이 심하다.
辰位藏財性亦良。
原注:辰中戊己入墓,身坐財庫,水氣發生,性多善良,見丙寅時貴。
甲辰일. 辰에는 재성이 들어있어 성품이 좋다. 辰에는 戊己가 입묘하고, 신(身)이 재고에 앉아있다. 인성인 수 기운이 있으면 성품이 선량하다. 丙寅시를 보면 귀하다.
(해설: 정묘시는 천이 발생하므로 좋지 않은 면이 있다. 병인시는 좋지만 일지 공망이 된다는 점을 참고해야 한다. 甲辰일은 가을 겨울에 태어나고 庚辛금이 있으면 동량이 된다. 진술충이 되면 좋지 않다. 인성고 재성고인 진이 손상된다. 진만 있는 경우, 辰은 天罡으로 싸움을 잘하는 특성이 있을 수 있다.)
坤 庚戌 己卯 甲辰 丁卯. 두개의 양인이 일지를 穿한다. 또한 양인은 년지 술을 합한다. 두개의 손으로 손님에게 봉사하는 형상이다. 양인 卯는 도화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안마업소에 근무한다.
乾 甲申 丙寅 甲辰 丙寅. 목화통명의 상이다. 寅목이 일지공망이지만 충으로 인해 공망이 풀린다. 명주는 호부상서 예부상서를 역임했다.
午喜己天財有赦,
【原注:午中己土建旺,丁火傷官,有財無官,夏生爲天赦。】
甲午일. 午는 己토 재성이 천간에 드러나는 것을 반긴다. 천사일(天赦日)이 된다. 午중에 己토가 건왕하고, 丁화가 상관으로 재성은 있고 관은 없다. 여름에 태어나면 천사일(天赦日)이라고 한다. (천일(天赦日). 봄戊寅,여름甲午,가을戊申,겨울甲子)
(해설) 일지에서 정화가 투간해 임수를 합하면 좋다. 또는 기토가 투간해 관성을 생하면 좋다. 갑오는 12운성상 사지이므로 庚午를 만나는 것을 꺼린다. 화가 왕한 계절에 태어나는 것을 꺼린다. 년월에 양인이 있는 경우, 乙亥시는 흉명이 된다.
乾 壬戌 癸卯 甲午 乙亥. 일지가 오술합으로 인수 정의의 술고를 얻으려 하지만 묘목 양인이 먼저 합해 버린다. 묘중에서 투간한 을목에 해수에 앉다. 해오암합한다. 이런 구조를 생사교환(生死交換)이라고 한다. 을사대운, 일간의 장생 해수를 충하는 것이 흉하다. 壬午년, 갑목이 사지를 만나 명주가 사망했다. 이 사주는 부귀가 없다. 원국에서 싫어하는 양인이 전체 사주의 주인(君)노릇을 한다.
乾 己未 甲戌 甲午 甲戌. 일주 甲午가 좌우에 갑술을 거느린다. 甲戌은 갑오의 부하들이다. 甲午는 년의 기미와 합한다. 기미는 귀인 특성을 지닌 비겁고이며 재성이다. 戌未형으로 인해 관을 얻지못한다. 그러나 부는 아주 크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7 23:00
격국이란 단어의 뜻을 모르나 보군요.
@又新 네 님이 말하는 격국좀 설명해주세요
어디 좀 들어봅시다
과연 어떤 격국이 나올지 기대가 됩니다
뻔한 격국론인데 ㅋ
@갑진 격국이란 단어는 분류법이라는 뜻입니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월을 중심으로 분류하면 월령격국론이 되고 일을 중심으로 분류하면 일주격론이 됩니다.
납음을 기준으로 분류하면 납음격국이 됩니다.
격국이란 그냥 보통명사입니다. 만민영선생은 난대묘선서문에서 난대묘선 격국을 언급합니다.
@又新 그건 오성학 시절 이야기이죠
문제는 오성학과 자평학을 분간할 줄 모른다는 점입니다
그러니 번역도 록명신과 일주를 말하면서 혼동 자체로 이해를 못하게 번역한 겁니다
자평학격국법은
연해자편에 실린대로 시작합니다
[전구용신월령]
입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27 23:00
격국의 뜻을 알려줬더니 엉뚱한 소리를 하고 계시는군요.
@又新 격국에 대해 내가 답변했는데 오히려 딴이야기 하시네요..
님이 말한 격국분류는 오성학 시절이야기란 말입니다...
현재 배우는 자평학과 맞지 않아요
전구용신월령이ㅡ맞습니다
@갑진 사주는 월령관점에서도 보고, 일지 관점에서도 보고, 일시의 관점에서도 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면 좋습니다.
월령만 보면 된다는 사람은 그렇게 하면 되고,
일지나 시가 필요한 사람은 일주격국, 일시격국을 참고하면 됩니다.
자평학의 역사가 일지나 시주를 무시하라고 하지는 않지요.
사주해석의 접근법이 달라져야 합니다
재밌게 봤습니다.
앞으로 대기가 될분들이많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