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어한마디
조사정리(2부)
22. の
≪격조사≫
① [체언 + 체언]의 꼴로 다음에 오는 체언이 어떠한 것인가를 자세히 설명한다.
これは わたしの 本です。 〔소유, 소속〕
(이것은 내 책입니다.)
どの 大學に はいりたいですか。 〔장소〕
(어느 대학에 들어가고 싶습니까?)
來年の今日 〔시간〕
(내년의 오늘)
ぼくの 友だちの 朴君を たずねる。 〔동격〕
(내 친구인 박군을 찾아간다.)
② [체언 + の + 용언 + 체언] 의 꼴로 주체나 대상을 나타낸다.
母の 作って くれた おかし (어머니가 만들어 준 과자)
雨の 降る 日は うっとうしい。 (비가 오는 날은 우울하다.)
③ 두가지 이상을 나열하거나, 앞의 용언을 강조할 때 쓰인다.
せまいの きたないのと 文句ばかり 言う。 〔나열〕
(좁다느니 더럽다느니 불평만 하다)
きたないの きたないの, まったく 話に ならない。 〔きたない의 강조〕
(어떻게 더러운지 말도 못할 지경이다.)
④ 체언이나 용언에 붙어 準體助詞로 쓰인다 : ∼의 것, ∼것 (형식명사로 보기도 한다)
あの かばんは だれのですか。 (體言 + の)
(저 가방은 누구 것입니까?)
漢字を おぼえるのが たいへんだ。 (用言 + の)
(한자를 외는 것이 큰일이다.)
≪종조사≫
: 주로 여성이나 어린이가 쓴다.
① 가벼운 단정의 뜻을 나타낸다.
おなかが いっぱいで 何も たべたくないの。
(배가 불러서 아무 것도 먹고 싶지 않아.)
② 질문의 뜻을 나타낸다 (말 끝을 올린다).
あなたは あす 行くの。 (당신은 내일 가요?)
③ 명령의 뜻을 나타낸다 (강하게 발음한다).
テレビなんか 見ないで 勉强するの。
(텔레비젼 따위는 보지 말고 공부해.)
23. ので
앞일이 원인이 되어 뒷일이 발생한다는 기분을 나타냄 : ∼이므로;∼때문에
雨が 降るので 出かけなかった。 (비가 오므로 나가지 않았다.)
ストライキで 電車が 止まったので 遲れた。
(파업으로 전차가 운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늦었다.)
※ [∼ので] 는 객관적인 이유를 나타내며 부드러운 어감이고, [∼から]는 주관적인 이유를 나타내며 강한 느낌을 준다. [から]와는 달리, 앞의 일과 뒷일을 주관적으로 연결시킬 경우에는 쓸 수 없다.
つまらないから やめた方が いいよ。
(시시하니까 그만 두는 것이 좋겠다.)
風が 强いので ほこりが ひどい。
(바람이 세므로 먼지가 대단하다.)
24. のに
① 보통 예상한 일과 반대의 일이 일어남 : ∼한데;∼는데도
あるのに ないと 言う。 (있는데도 없다고 한다.)
一時間も 待ったのに まだ 來ない。
(한 시간이나 기다렸는데도 아직 안 온다.)
② 예기된 일과 반대의 결과가 나왔을 때 불만을 나타냄 : ∼는데;∼텐데;∼련만
あれほど 注意して おいたのに。(그렇게 주의해 두었는데도.)
行けば よかったのに。 (갔으면 좋았으련만.)
☞ 連語로 쓰이는 [のに] 와 구별해야 한다. 이 때의 활용은 [∼하기 위해;∼하는 데] 의 뜻이다.
旅行するのに 必要な 物 (여행하는 데 필요한 물건)
25. のみ
: 오직 그것뿐, ∼만
∼のみならず (∼뿐만 아니라)
知識のみならず 人柄も 見なければならない。
(지식뿐만 아니라 인품도 봐야만 한다.)
學歷のみを 問題にすべきで ない。 (학력만을 문제삼을 일이 아니다.)
君の ことのみ 思う。 (오로지 자네만 생각한다.)
26. は
: 부조사라고 보기도 하고, 이것자체는 격을 보여 주지 않는다고 보기도 한다.
우리말의 주격 조사 [∼는/은]에 해당된다.
さかなは 食べない。 (물고기는 안 먹는다.)
親には 話すべきだ。 (부모에게는 얘기해야 한다.)
會いは したが 話は しなかった。
(만나기는 했으나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
知っては いるが 今は 言えない。
(알고는 있지만 지금은 말할 수 없다.)
そうでは ない。 (그렇지는 않다.)
すぐには ご返事できません。 (당장은 대답 못 드립니다.)
不合理な 話では ある。 (불합리한 이야기이긴 하다.)
27. ば
① 가정, 조건 : ∼면 =∼なら
あと 一時間も すれば 今年も 終わる。
= あと 一時間も するなら 今年も 終わる。
(이제 한 시간만 지나면 금년도 다 간다.)
讀めば 分かる。 (읽어 보면 안다.)
= 讀むなら 分かる.
② (가정형에 붙어서 흔히 앞 뒤에 [も]를 수반하여) 동종 열거 : ∼거니와 ∼도
金も なければ 死にたくも ない。 (돈도 없거니와 죽기도 싫다.)
野球も すれば 勉强も する。 (야구도 하고 공부도 한다.)
③ 어느 사항이 항상 수반되어서 일어나는 조건을 가리킴 : ∼면 =∼と
雪が 降れば 道が すべる。 (눈이 오면 길이 미끄럽다.)
= 雪が 降ると 道が すべる。
<< 참고 >> 조건을 나타내는 조사, ∼ば, ∼と, ∼なら, ∼たら 의 비교
① 완료의 조건절, 명령문 : ∼なら, ∼たら 만 쓰인다.
+-したなら
勉强を 休みなさい。 (공부를 했으면 쉬세요.)
+-したら
② 주절이 권유나 허가인 경우 : ∼と를 못 쓴다.
勉强を したら(すれば) りっばな 人に なる。
(공부를 해야 훌륭한 사람이 된다.)
勉强を するなら 遊んでも いい。 ※ [∼なら]는 허가에만 쓰인다.
(공부를 하면 놀아도 좋다.)
③ 과거의 반복적인 사실의 조건문 : ∼なら를 못 쓴다.
+- あれば
ひまが あったら あそびに いった。 (틈만 있으면 놀러 갔다.)
+- あると
④ 연이은 동작의 조건문 : ∼と만 쓰인다.
彼女を 見ると 泣き出した。 (그녀를 보니까 눈물이 나왔다.)
28. ばかり
① 사물의 정도와 범위 : ∼쯤, 가량
三つばかり ください。 (세 개 정도 주시오.)
② ∼만으로는;∼만 해도
勉强ばかりが 能では ない。 (공부만이 능사는 아니다.)
見たばかりでも むしずが 走る。 (보기만 해도 역겹다.)
※ ∼ばかりが 能では ない :∼하는 것만으로는 안된다;능사가 아니다.
むしずが 走る。 : 신물이 나다; 몹시 역겹다
③ (∼た에 이어져) 한지 얼마 되지 않았음을 뜻함 : 막, 방금
わたしは きのう 日本に 着いたばかりです。
(저는 어제 일본에 도착한 참입니다.)
今 きたばかりだ。 (지금 막 왔다.)
④ ∼에게만 =だけ;∼에서만;∼할 뿐더러
彼女にばかり 好意を 示す。 (그 여자에게만 호의를 보이다.)
反省しないばかりか 惡口を 言い返した。
(반성은 커녕 욕설로 대꾸했다.)
⑤ (∼た + ばかりに 형태로) ∼탓으로
油斷したばかりに 事故を 起して しまった。
(방심한 탓으로 사고를 내버렸다.)
29. へ
① 방향 :
鳥は 山のほうへ 飛んで いった。 (새 산쪽으로 날아 갔다.)
② 도착점 :
國へ 歸って 醫者に なるつもりです。
(조국에 돌아가서 의사가 될 생각입니다.)
③ 동작의 대상 :
これは 母への 手紙だ。 (이것은 어머니에게 (쓴) 편지다.)
30. ほか
∼밖(외)에 : 부정이 따른다.
待つよりほかは ない。(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そう するほか 任方が ない。 (그렇게 하는 수밖에 방법이 없다.)
こう なったからには 謝るほか ない。
(이렇게 된 바에는 사과하는 수밖에 없다.)
この ために ほかならない。 (이 때문임에 틀림없다.)
※ ∼に ほかならない (∼임에 틀림이 없다)
31. ほど
① 개략적인 분량이나 정도를 나타낼 때의 용법.
すみませんが, 千円ほど かして くださいませんか。
(미안합니디만, 천엔 정도 꾸어 주시지 않겠습니까?)
蚊の 淚ほどの 退職金 (쥐꼬리만한 퇴직금)
② 동작이나 상태의 정도를 나타낸다 (비교적인 쓰임).
これほど うれしい 事は ない。 (이처럼 기쁜 일은 없다.)
③ [∼ほど ∼は ない]의 형태로 [그것이 제일이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きょうの 試驗ほど むずかしい 試驗は なかった。
(오늘 시험 만큼 어려운 시험은 없었다.)
④ [∼ば ∼ほど]대개 의 형태로 관계 있는 두 사항 중, 한쪽의 정도가 심해지면 그와 함께 다른 쪽의 정도도
심해짐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勉强すれば するほど 成績が あがる。
(공부를 하면 할수록 성적이 올라간다.)
多ければ 多いほど いい。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32. まで
① 장소나 시간의 한계 :
6時まで 待ちました。
(6시까지 기다렸습니다.)
② 첨가 :
子供にまで 笑われる。
(어린애에게도 비웃음을 당하다.)
33. も
≪계조사≫
① 동류의 열거 : ∼도
野にも 山にも 花が さく。 (들에도 산에도 꽃이 피다.)
あなたが 行けば 私も 行く。 (당신이 가면 나도 간다.)
☞ 아래의 예문들은 [∼일지라도;∼조차;∼까지도]의 의미로 해석하면 좋다.
駟も 舌に 及ばず。
(네 필의 말이 끄는 마차도 혀를 따라 갈 수 없다. 즉 한 번 입 밖에 낸 말은 주워 담을 수 없다는 뜻.)
さるも 木から 落ちる。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私でも 行けますか. (나라도 갈 수 있습니까?)
② 양보 :
三等でも よい。 (3등이라도 좋다.)
③ 긍정문에서는 전면 긍정을, 부정문에서는 전면 부정을 표시 : ∼도;∼조차
どれも ぼくの 物だ。 (어느 것이고 모두 내 것이다.)
何も 知らない。 (아무 것도 모른다.)
だれも できない。 (아무도 할 수 없다.)
④ 감탄이나 강조 : ∼까지도;∼하게도
雪が 一メ-トルも つもった。
(눈이 1m나 쌓였다.)
運惡くも 見つかって しまった。
(운나쁘게도 발견되고 말았다.)
雨が 十日も 降り續いて ようやく やんだ。
(비가 10 일이나 계속 내리더니 겨우 그쳤다.)
≪접속조사≫
① 역접 : ∼지만
語りあいしも どんな 進展も なかった。
(이야기를 주고받고 했지만 어떤 진전도 없었다. )
② ∼라 하더라도, =とも;∼하여도, =ども
遲くも 三日 あれば できる。 (늦어도 사흘이면 된다.)
= 遲くとも 三日 あれば できる。
34. や
≪격조사≫
: 사물을 열거하는 경우에 쓴다
そこには, 本や 雜誌や 新聞などが あるます。
(여기에는 책이랑 잡지랑 신문 등이 있습니다.)
≪접속조사≫
: 어떤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의 표현이다.
ベルが なるや 敎室を 出た。 (벨이 울리자 교실을 나왔다.)
≪종조사≫
① 권유 명령을 나타낼 때 (화자의 의지나 희망을 뜻한다.)
早く しろや。 (빨리 해야지.)
② 독백하듯이 가볍게 말할 때
むずかしくて わからないや。 (어려워서 모르겠는데.)
③ 이름 뒤에 붙여서 사람을 부를 때
朝子や, ちょっと おいで。 (아사꼬야, 잠깐 이리 와.)
35. より
① 출발점 : ∼(으)로부터;∼에서, =から
うちより 驛まで 步きます。 (집에서 역까지 걷습니다.)
= うちから 驛まで 步きます。
☞ [から]와 같은 뜻이지만, [より]가 보다 격식 차린 말씨로서 文語的인 표현이다.
山田より (=야마다로부터) ※ 편지 등에서 발신인을 적을 때 쓰인다.
② 비교의 기준 : ∼보다
步くより 電車に 乘る 方が いい。
(걷는 것보다 전차를 타는 편이 좋다.)
去年より 寒い。 (작년보다 춥다.)
③ (부정을 수반하여) 그 외에는 없다는 한정 : ∼하는 수밖에, =しか
だまって いるよりない。 (잠자코 있을 수밖에 없다.)
= だまって いるしかない。
そうするよりほかに ない。 (그렇게 하는 수밖에 없다.)
④ 수단, 재료 : ∼로
木より つくられた 机 (나무로 만들어진 책상)
36. を
① 동작의 목적 대상 :
來年, 大學に はいる ことを 目標と して 勉强して いる。
(내년, 대학에 들어갈 것을 목표로 하여 공부하고 있다.)
② 경과하는 장소 :
汽車は 東京から 名古屋を へて 大阪へ 向かった。
(기차는 도꾜에서 나고야를 지나 오오사까로 향했다.)
첫댓글 요즘 기초문법 정리 강의가 크게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