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옥같았던 발톱 무좀 드디어 해결했습니다
※미리 알립니다.
이 글은 발톱 무좀으로 인해
3년간 고통받은 사람이,
발톱 무좀 개선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는 글입니다.
5분만 투자하면 읽을수 있는 글입니다.
발톱이 노랗게 보이기 시작할때
무좀인걸 알아차리고
적극적으로 치료를 했었어야했는데..
골든타임을 놓친 나는 꽤나 오랜시간 동안 고생했었다.
수백만원을 들여도
발톱무좀은 재발하기 십상이다.
여지껏 속았다는 것과 함께
충격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으니,
불편하신 분은
뒤로 가기를 눌러주세요.
또한,
광고 절.대 받지않으니
연락 주지 마세요.
저 처럼 발톱무좀으로 고통 받고있는 사람들에게
제 경험과 소중한 노하우를 전달하기위해 쓴글입니다.
무좀,발톱무좀개선 등에 대한
올바른 정보들은 매우 찾기 어렵다.
매번 완치하는 비법이라며
온갖 과대광고가 판을 치고,
실제 효과는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단언컨데,
이렇게 여러제품을 써보고,
경험을 녹여낸 글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을것이다.
한국을 넘어 일본 무좀약까지 직접 사와서 써봤다.
나는 이글을 작성하기 위해서
10편이 넘는 논문들과 학술자료
그리고 다수의 메디컬칼럼을 참고했다
나처럼 이렇게까지
무좀의 원인과 발톱 개선의 원리에 대해서 분석한 사람은 없을것이다.
따라서 이글만 끝까지 읽는다면
발에 수십,수백만원을
안쓰고 아낄 수 있다.
무엇보다
전염성이 강한 무좀으로 부터
가족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
그러니
당신이 무좀으로 인해 고통 받는 사람이라면
이 글을 반드시 집중해서 읽기를 바란다.
내가 이 글을 쓰는 이유
내 이야기를 하자면
나는 나만의 사업체를 꾸리고자
현장에서 일하는
7년차 도장공 이다.
아무래도 직업 특성상
7년동안 안전화를 신고 일하다보니
3년간 발톱 무좀을 달고 살았다.
직업으로 인해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지만,
발톱무좀을 치료해야겠단 생각을 하게된건,
사랑스러운 내 딸아이 때문이었다.
2년전부터 무좀이 점점 더 심각해짐과
동시에 내 무좀이
11개월 된 딸아이한테 옮겨간것이다
병원에 가보니,
가족중에 무좀이 있는분이 있냐고 하더라..
정말 가슴이 철렁했다...
이날부터 어떻게든
무좀을 없애버리기로 결심했다.
강남에서 유명하다는 XX 피부과부터
고가의 발 케어, 먹는 약 ,독한 약, 수입 제품등등
발톱 무좀에 좋다는
제품들은 정말 다 써봤다.
발관리에만 쓴 돈이 350만원이 넘는다.
이렇게 거금을 들였지만
모두 실패했다.
결국 제자리로 돌아오기 마련이였다.
온갖 과대광고가 판을 치고,
효과 없는 제품들이었다.
도저히 안되겠다는 생각과 함께
발톱 무좀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본질적인 문제부터
파헤치기 시작했다.
무좀에 대한 잘못된 상식으로
많은 사람들이 회복은 커녕
더욱 악화시키고만 있다는 것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더욱이나 아이가 있으면
얼른 치료를 시작하길 바란다.
무좀은 패스트감염균이라
한번 때를 놓치면 내 발톱은 물론
가족의 손발톱으로 바로 번져버리게 된다.
이제껏 돈을 쓰며 공부하고
가장 큰 효과를 봤던 노하우를
나와 같은 사람에게 알려,
큰 도움을 받았으면 하는 바람에
이 글을 쓰게 되었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도
올바른 방법으로 발톱을 관리한다면,
누구나 다 효과를 볼 수 있을것이란
확신이 있다.
글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1.발톱무좀의 이유와 발톱 무좀이 개선되는 핵심 치료 3가지
2.발톱무좀에 효과적인 핵심성분 3가지
3.결론, 가장 쉽고 빠르게 발톱무좀 개선하는법
바쁘고 시간이 없는 분들을 위해
3번에 축약하여 기재하였다.
(3번내용은 아무리 바빠도 꼭 보길 바란다.)
1.발톱 무좀의 이유와 발톱 무좀이 개선되는 핵심치료 3가지
발톱무좀이 나는이유는 크게 3가지
1)발의 혈액 순환이 잘안되서
2)발이 숨을 쉴 수 없는 신발을 신어서
3)발이 땀에 젖어있는 경우가 빈번할경우
이3가지 경우가
발톱 무좀이 나는 가장 흔한 이유다.
발톱 무좀은
발톱에 곰팡이가 피는것과 같은 원리다.
출처- 수줍은 의사님 블로그
무좀균은 발톱 각질층 사이사이에서
증식을 하게되는데,
무좀균이 발톱 사이사이에있고,
발톱의 성장속도가 느려
시간이 오래걸리는 편이다.
무엇보다 가장 무서운것은..
발톱 무좀의 전염성이다
출처 - sbs
발톱 무좀은
가족에게도 옮길 수 있고
몸 안에서도 옮길 수 있다.
또한 간지럽다고 긁거나,
만졌던 손으로 얼굴,몸을 만지면 감염 될 수 있다.
전염성에 대해 경각심을 갖지않고있다가,
11개월 된 딸아이에게 옮겨졌을때..세상이 무너지는거 같았다.
당신의 건강뿐만 아니라
가족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하루 빨리 치료하는것을 권장한다.
발톱 무좀이 개선되는 핵심치료 3가지
발톱무좀 치료에는
먹는약, 바르는약, 레이저 치료
3가지가 있다.
발톱 무좀 개선에는 여러방법들이 존재한다.
-치료 성공률-
먹는약:54%
바르는약:53%
레이저 치료:71%
정확하게 따지고 보면
셋다 치료성공률이 거기서 거기다..
먹는약
발톱 무좀 개선 방법의 가장 기본이다.
하지만
무좀균을 없앨때까지
정말 오랜 시간 복용이 필요하여
간에 부담이된다.
참고로 나도,
약을 먹어볼까하고
처방도 받아봤지만
같이 일하던 동료가, 무좀약 먹고
간독성으로 입원한거 보곤
입에 데지도 않았다.
레이저 치료
레이저의 열을 이용해
개선하는 방법이다.
예시사진
레이저 같은 경우에는
보험처리가 안돼서
1회 비용이 4~5만원 가량
비용이 발생하며,
10개월 정도 시간이 소요되다보니,
(비용이 수백만원 깨진다. 비용면에서 아주 부담된다)
바르는 솔루션
나는 개인적으로 바르는것을 적극 추천한다.
비용이 거의 안들고(5만원 이하)
병원에 가지 않아도되고, 부작용이 없다
한국 제품뿐만 아니라 일본에가서 일본 무좀약도 직접 사서 써봤다.
여러차례 노력해서 알게된건
꾸준하게 중요하다라는것이다.
직업 특성상 스케줄이 유동적이고,
비용이 비싼 피부과를 다니는것이 부담스러웠다.
더군다나 1년가까이 하고도
재발이 되니
힘이 빠지더라..
마지막으로 해보자라는 생각으로
시작했던게
발톱에 바르는 솔루션 제품이였다.
<최신 논문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Boni E. Elewski 및 Tracey C. Vlahovic의 "손발톱 진균증: 진단 및 치료의 현재 추세".
(출처: Journal of Drugs in Dermatology, 2018)
H. N. Naveen Kumar, et al.의 "조갑진균증에서 경구용 테르비나핀 및 이트라코나졸 펄스 요법의 효능
및 안전성 비교: 무작위, 이중 맹검, 비교 시험".
(출처: Indian Journal of Dermatology, Venereology and Leprology, 2016)
"발톱무좀에 대한 레이저 치료의 효능: 체계적인 고찰 및 메타 분석" Zhejiang Zhang, et al.
(출처:AmericanPodiatricMedical Association 저널,2016)
"크림에 함유된 2% 부테나핀 및 5% 티트리 오일을 사용한 발톱 조갑진균증의 치료: 이중 맹검, 무작위, 위약 대조 연구" by S. Satchell, et al.
(출처: 미국피부과학회지, 2012)
"조갑진균증 치료를 위한 국소 항진균제: 단일 요법 및 병용 요법에 대한 현재 전략 개요" by Pranita Sarma, et al. (출처: Mycoses, 2020)
이 포스팅은 제품을 무상으로 제공받은 후 솔직한 주관을 적은 것 입니다.
조길연, 원세재, 우태하. 일정 작업장에서 족 부진균증에 대한 관찰. 대피지 1972; 10: 33-37
박소현, 신영민, 문석기, 신동훈, 최종수, 김기 홍 등. 족부백선의 임상 및 진균학적 관찰. 의 진균지 2006; 11: 123-131
민병근, 정병수, 최규철. 피부사상균의 임상적 및 균학적 관찰. 대피지 1984; 22: 604-609
김병수, 서순봉. 백선증의 균학적 및 임상적 관 찰. 대피지 1971; 14: 325-334
원영호, 김승훈, 김성훈. 최근 10년간 피부진균 증의 임상 및 균학적 관찰. 대피지 1987; 25: 753 -760
김기홍, 이천열, 김덕하. 부산 지방의 백선증. 대피지 1986; 24: 263-270
Aly R. Ecology and epidemiology of dermatophyte infections. J Am Acad Dermatol 1994; 31: 21-25
김홍식. 피부표재성 백선의 통계 및 균학적 관 찰. 대피지 1971; 9: 1-4
김종순, 원영호, 전인기. 피부진균증의 임상 및 균학적 관찰 (1988-1990). 대피지 1992; 30: 68 -75
이수경, 최종수, 김기홍. 족부백선의 임상상과 진균학적 연관성. 대피지 1995; 33: 1029-1037
서무규, 성열오, 오수희, 김성화, 최성관, 서순 봉. 소아 족부 및 수부백선에 관찰 고찰. 대피지 1993; 31: 713-719
조백기, 박종갑, 김형옥. 한국의 발톱진균증 환 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의진균지 1998; 3: 115
file:///C:/my.naver?memberNo=51517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