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전소설 주요작품 핵심정리
■ 김시습 - 만복사저포기 [주제] 이승과 저승을 넘나드는 남녀 간의 애틋한 사랑. 시공(時空)을 초월한 사랑 양생(梁生) : 뜨거운 정열을 가지고 진정한 사랑을 하고자 하는 인물. 생사를 초월한 사랑도 마다하지 않음 죽은 여인 : 왜구의 난리 때 정절을 지키기 위해 죽은 처녀의 영혼으로 사랑을 막는 어떠한 장애물도 극복하여 진정한 사랑의 승리를 이룩하고자 하는 정열적 여인
■ 김시습 - 이생규장전 [주제] 죽음을 초월한 남녀 간의 사랑. *자유 연애 사상 이생(李生) : 고루한 유교 교리를 신봉하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우유부단한 인간이었으나, 최랑과의 관계를 통하여 고통스러운 생활 체험을 극복해 나가면서 적극적인 성격으로 변화됨 최랑 : 이생과 대조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진보적인 성격의 소유자. 홍건적의 위협 앞에서도 굳건히 버티며 이생과의 사랑을 성취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사고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여인. 유교 도덕이 강요하는 사회 현실로부터 벗어나 개성적으로 살고 숨쉬려는 인간형
■ 김시습 - 남염부주지 [주제] 유교 이념을 기반으로 한 불교 철리(哲理) 박생 : 과거에 합격 못한 불만 많은 유학자. 뜻과 기상이 고상하여 세력에 굴하지 않고 교재할 때는 성실하고 순박함. 철학적 입장. 새로운 현실 정치 이념 주장(왕도를 고취하고 패도를 배격, 불교를 사도로 보면서도 필요성 인정) 염왕 : 박생이 꿈에서 만난 왕. 정직하고 사심 없는 사람이 폭력이 아닌 덕망으로 정치를 해야 한다는 정치관을 피력함
■ 김시습 - 용궁부연록 [주제] 화려한 용궁 체험과 삶의 무상감. *용궁 배경 - 도교 사상 한생(韓生) : 선비로서 글을 잘해 조정에 이름이 있었고 평판이 좋음. 용왕의 청을 받고 새로 지은 누각의 상량문을 지어 줌 → 용왕의 융숭한 환대 → 꿈을 깸 → 명리를 구하지 않고 명산으로 자취를 감춤
■ 김시습 - 취유부벽정기 [주제] 홍생과 선녀(기자왕의 딸)와의 간절한 사랑. *도교 소설 홍생(洪生) : 송도 부호의 아들로 도가적 경향. 시문에 능함. 친구와 친분이 두터움 *기자왕이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긴 것은 단종이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긴 것과 유사하며, 기자왕의 딸을 사모한 것은 단종에 대한 연모의 정을 표현한 것임
■ 임진록 [주제] 임진왜란의 패배에 대한 설욕 및 민족적 응전의 의지. *군담 소설 대개의 고전 소설은 주인공의 출생에서부터 죽을 때까지의 일생을 일대기적으로 서술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작품은 고전 소설의 보편적인 특징에서 벗어나 임진왜란 당시 주인공의 영웅적인 활약상을 그림. 대체적인 사건이 순차적 전개에 따라 사명당의 초월적<전기적(傳奇的)>인 능력의 발현으로 꾸며짐
■ 박씨전 [주제] 박씨 부인의 영웅적 기상과 재주. 청나라에 대한 적개심과 복수심. *병자호란의 치욕 박씨 부인 : 이시백의 아내. 천하의 박색이었으나 자신의 판단과 결심에 따라 행동하는 능동적 성품을 지닌 여인(→자유롭지 못했던 당시 여성들에게 정신적인 위안). 영웅적 기상과 재주로 호왕(胡王)과 적장을 농락하고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한 애국적인 여인 이시백 : 여자의 현숙한 덕보다는 미색을 추구하는 평범한 인물
■ 유충렬전 [주제] 유충렬의 고난 극복과 영웅적인 행적. *병자호란의 수치심과 그 극복 정신이 배경 유충렬 : 전형적인 영웅상. 자신에게 닥치는 대부분의 고난을 극복하지만 천신의 도움도 많이 받는다. 국가에 목숨을 걸고 충성을 다하는 충신의 전형. *단신으로 호국을 정벌하고 통쾌한 설욕 → 병자호란의 고통과 패배 의식을 소설을 통해 복수함 충렬의 모 : 지조와 절개를 지키는 여인. 의지가 굳셈 정한담과 최일귀 : 간신과 악인의 전형 ← 당쟁에서 패배하여 권세를 잃은 계층의 의식을 대변 유심과 강승상 : 충신의 전형 ← 당쟁에서 패배하여 몰락한 사람들의 소망을 반영
■ 전우치전 [주제] 전우치의 의로운 행동 전우치 : 백성의 고통을 안타까워하고 관리들의 행태에 울분을 갖는 정의로운 인물의 성격(평면적 인물) *고전 소설의 등장 인물은 일반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성격이 변하지 않는 평면적 인물임. 따라서 이 작품도 인물의 심리 변화의 양상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 취하는 행동, 즉 사건의 전개가 중심을 이룸
■ 허균 - 홍길동전 [주제] 적서(嫡庶) 차별 반대. 탐관오리 비판. 해외 이상향 건설. *국문 소설의 효시 홍길동 : 고귀한 혈통, 비정상적 출생, 탁월한 능력, 어려서 버림을 받고 죽을 고비에 이름. 구출 양육자를 만나 죽을 고비를 벗어남. 성장해서 다시 위기에 부딪힘. 위기를 극복하고 승리자가 되는 영웅적 일대기 구조로 이루어진 인물. 비분강개형의 인물 홍판서 : 현실 안주형 인물 춘섬 : 길동의 모. 현실 순응형 인물
■ 김만중 - 구운몽 [주제] 인생무상, 인간적 욕망의 절제, 불법 귀의<불교의 공(空) 사상 중심> 성진 : 촉망받던 육관대사의 수제자로 비범한 인물. 속세에 미련을 두고 속세에 환생하여 팔선녀와 더불어 갖은 영화부귀를 누리지만 그것이 한갓 허망한 꿈임을 깨달음 육관대사 : 성진의 스승 팔선녀 : 성진과 함께 남녀의 정욕을 탐하고 속세를 흠모하다 인생무상을 깨닫는 인물들
■ 김만중 - 사씨남정기 [주제] 처첩 간의 갈등과 사씨의 고행, 권선징악(勸善懲惡) 사씨 : 조선 사회의 현숙(賢淑)한 부인의 상징이며 현모양처(賢母良妻)의 전형(典型) 교씨 : 천성이 간악하고 교활하며 시기심이 강한 악인의 전형. 사씨를 모함하여 내쫓음 유연수 : 사씨의 본남편으로 15세에 장원급제하여 한림학사. 본성은 착하지만 판단력이 없고, 양반 사대부의 가부장적 사회에서 봉건적 사고 방식을 지닌 전형적 인물
■ 박지원 - 허생전 [주제] 무능한 사대부 계층에 대한 비판과 현실에 대한 자각 촉구 허생 : 이용후생(利用厚生) 정신을 추구하는 인물로 경제의 흐름을 간파하고 있으며, 권력자의 허위의식을 비판함. 강직하고 도량이 활달한 성격임 변씨 : 도량이 넓고 허생으로 하여금 포부를 펴게 하고 이완을 만나게 하는 역할을 함 이완 : 어영대장(御影大將). 무능한 사대부의 상징으로 풍자의 대상이 됨
■ 박지원 - 호질 [주제] 양반의 위선과 가식을 비판(북곽 선생). 유굔적 정절에 대한 비판(동리자) 북곽 선생 : 도덕과 인격이 높다고 소문난 북곽(양반 계급)은 '여우' 같은 인간. 온몸에 '똥'칠한 인간이며 끝까지 위선과 허세를 부리는 이중적인 인간 동리자 : 정절로서 열녀라는 칭호까지 받았으나 북곽 선생과 밀회하고 각기 성이 다른 다섯 명의 자식이 있는 위선적인 인물. *겉과 속이 다른 위선적 인간형<표리부동(表裏不同)>
■ 박지원 - 광문자전 [주제] 권모 술수가 판을 치던 당시 양반 사회의 풍자. 신의(信義) 있는 생활 자세와 허욕(虛慾)을 부리지 않는 삶의 태도 광문(廣文) : 종로에서 밥을 빌러 다는 거지. 거지 두목이었을 때 살인 누명을 쓰고 집단에서 쫓겨났을 때도 죽은 거지 아이를 공동 묘지에 묻어 주는 모습에서 광문이 인정 많은 성품을 지닌 인물임을 알 수 있고, 취직한 약방 주인에게 절도 혐의를 받았을 때 구차하게 변명하지 않고 떳떳하게 처신하여 결백이 입증되는 과정을 통해 그가 정직한 인물임을 알 수 있음. 이해(利害)가 얽힌 각박한 불신 사회에서 남을 위해 선뜻 보증을 서 주고, 자신의 분수를 알고 결혼 및 치산(治産)에 연연해하지 않음
■ 박지원 - 양반전 [주제] 양반층의 공허한 관념, 비생산성, 부당한 특권 남용 비판 군수 : 원칙을 존중하면서도 인정이 많다. 매매 증서를 통하여 당시 양반의 허위와 무능, 부패를 해학의 풍자로 폭로하면서, 부자로 하여금 양반 되기를 포기하게 만든 인물이다.
■ 춘향전 [주제] 신분을 초월한 남녀 간의 사랑과 여인의 정절. 불의한 지배 계층에 대한 서민의 항거(탐관오리의 척결과 서민들의 신분 상승 의지). *사상 - 인간 평등, 사회 개혁, 자유 연애, 열녀 불경이부(烈女不敬二夫) 춘향 : 이몽룡에 대하여 순종적이고 관능적이지만, 변학도에 대하여는 저항적이고 도덕적인 열녀의 전형 이몽룡 : 미숙하고 철없는 책방 도령에서 신의 있고 성실하며 성숙한 인간으로 발전
■ 심청전 [주제] 효행의 권장, 인과 응보(因果應報). *전반부는 현실 세계를, 후반부는 비현실 세계(죽음과 환생 모티프)를 다룸. 전반부에서는 비장미와 숭고미가, 후반부에는 효를 통한 극복과 민중의 신분 상승 욕구가 표현됨 심청 : 효녀의 전형 뺑덕어멈 : 행실이 부도덕하고 돈에 눈이 먼 간부(姦婦)로서 악인의 전형
■ 흥부전 [주제] 표면적 주제 - 권선징악(勸善懲惡), 형제 간의 우애. 이면적 주제 - 빈부 간의 격차(화폐 경제의 반영) 놀부 : 도덕성을 망각한 채 재화(財貨)의 획득에 적극성을 보이는 새로운 경제적 인물형 흥부 : 재물과 관계 없이 공동체적 경제 의식을 지닌 도덕적 인간형 *무능력한 흥부, 무식하고 욕심 많은 놀부를 통해 조선 후기 퇴락해 가는 양반들의 모습을 보여 줌
■ 토끼전(별주부전) [주제] 허황된 욕심에 대한 경계, 조선 후기 무능한 집권층에 대한 비판과 풍자 토끼 : 궁핍한 서민상을 대변하여, 허욕과 공명심에 들떠 있는 인물. 신분 상승에의 욕망을 가지고 있으며, 영악하고 임기응변에 뛰어난 인물 자라 : 우직하고 충성스러운 신하의 전형. 언변이 뛰어나 영리한 토끼를 용궁으로 유혹해 데려 오는 임무를 충실히 완수 → 지배 계층의 편에 서서 서민을 괴롭히고 착취하는 인물 *용왕의 죽음에 이르는 병 → 당시 지배 계층이 지닌 권력의 무상함 상징 *능란한 언변과 꾀를 통한 사지(死地)에서 탈출하려는 토끼의 모습 → 지배 계층에 저항하려는 서민들의 생각을 우회적으로 표현
■ 장끼전 [주제] 조선조의 남존 여비(男尊女卑)와 개가 금지(改嫁禁止) 사상에 대한 비판과 풍자 장끼 : 풍채가 좋고 고집이 셈. 폭력적이고 다혈질임. 봉건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가장으로서의 권위와 위신을 지나치게 강조하다 낭패를 보는 인물 까투리 : 남편의 권위에 복종하며 이중삼중의 사회적 제약의 예속하에 있는 불행한 조선 시대의 여인상
■ 운영전 [주제] 남녀 간의 지고지순(至高至純)한 사랑 운영 : 비인간적인 삶에서 벗어나 참된 삶을 살고 싶어하는 나약한 궁녀. 순결하고 뜨거운 정열과 지성을 지닌 여인 김진사 : 정서적이며 감상적인 인물. 운영과의 순수한 사랑의 성취가 현실적 장벽에 가로막히자 운명의 뒤를 따라 죽음으로써 시공(時空)을 뛰어넘는 영원한 사랑을 획득함 안평대군 : 겉으로는 품위 있는 행동을 보이며 도덕군자인 척하지만 밑바닥엔 위선이 깔려 있는 전근대적 사고를 지닌 인물
■ 숙영 낭자전 [주제] 인간과 선녀의 신비한 사랑. *부모와 자식 간의 사랑 선군 : 과거길에 올라서도 숙영이 그리워 두 번씩이나 되돌아와 함께 보낼 만큼 애처가(愛妻家) 숙영 낭자 : 선군만을 사랑하나 간통했다고 시아버지로부터 의심받아 억울함을 참지 못하고 자결함 백상군 : 숙영의 시아버지로 봉건적 가치관의 소유자 *조선 후기 가치관의 변화 - 부모는 효(봉건적 가치관)을 요구하나 자식은 그들끼리 연애로 부모의 허락 없이 결혼하고 부부 간의 애정을 중시(새로운 가치관)
<참고> 수능 출제 고전소설 작품 1994년 1차 : 흥부전 1994년 2차 : 양반전(박지원) / 심청전 1995학년도 : 춘향전 1996학년도 : 홍길동전(허균) 1998학년도 : 구운몽(김만중) 1990학년도 : 춘향가[판소리] 2000학년도 : 사씨남정기(김만중) 2001학년도 : 이생규장전(김시습) 2002학년도 : 토별가[판소리] 2003학년도 : 창선감의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