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형함 :
카멜(Camel), 팔멜(Falmel), 쿠와멜(Kuwamel), 스와멜(Swamel), 토크멜(Tokmel), 프리무스(Primus), 바로멜(Baromel), 리뮬(Remul), 브레이브(Brave) 등 다수
2.2. 소개
[MUSAI 급 경순양함은 지온군의 주력함정으로 1년전쟁 부터 UC0094 까지 널리 이용된 경순양함이다]
지온공국군의 주력 함선으로 자쿠와 함께 지온군의 상징.
[무사이급은 지온공국군의 주력 함선으로 자쿠와 함께 지온군의 상징으로 널리 알려진 함선이다.]
[무사이급은 MS의 운용을 전제로 한 경순양함으로 파푸아급 보급함과의 연대운용을 전제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파푸아급의 물자보급용 파이프로 직접 물자를 보급받을 수 있다. 이는 MS 운용은 상정하지 않았던 연방군의 함선과 비교되는 부분으로 이런 유용성은 1년전쟁 당시 연방군을 상대로 큰 성과를 얻을수 있었다]
MS의 운용을 전제로 한 경순양함으로 파푸아급 보급함과의 연대운용을 전제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파푸아급의 물자보급용 파이프로 직접 물자를 보급받을 수 있다.
[무사이급 순양함의 앞 기수부분은 코무사이라 하며 별도의 연락기로 사용가능.. 특이하게 단곡으로 대기권 돌입능력이 있다. MS 2기를 탑재 가능]
함의 구조는 상부에 함교가 있고 함교의 바로 아래 본체에서 떨어져 있는 다리같은 부분에 각각 열핵 로켓엔진을 탑재하고 있는 형태이다. 격납고는 함선의 후부, 함교의 아래쪽에 있다. 전부 4기의 모빌슈트가 수납되며 그 밖에도 대기권돌입용 캡슐인 코무사이에 2기를 더 실을 수도 있지만 코무사이가 무사이 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해치가 본체에 의하여 막히기 때문에 코무사이에 모빌슈트를 적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무사이급 함의 구조는 상부에 함교가 있고 함교의 바로 아래 본체에서 떨어져 있는 다리같은 부분에 각각 열핵 로켓엔진을 탑재하고 있는 형태이다. 격납고는 함선의 후부, 함교의 아래쪽에 있다. 전부 4기의 모빌슈트가 수납되며 그 밖에도 대기권돌입용 캡슐인 코무사이에 2기를 더 실을 수도 있지만 코무사이가 무사이 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해치가 본체에 의하여 막히기 때문에 코무사이에 모빌슈트를 적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무사이급의 주무장으로 는 2연장 메가입자포 를 6문 장착하며 후기형은 2문을 생략하고 함교가 대신하는 경우도 있다 그외 대형 미사일 런처 2기(총 2문) 소형 미사일 런처 10기(총 10문) 등의 추가무장을 장착한다 무장은 경순양함에 맞게 중무장 보다는 MS 운용을 통한 공격을 중시하는 설계이다.]
[1년 전쟁 중반에는 무장이 강화된 후기 생산형도 건조되었으며 후반에는 건조 속도를 높이기 위해 메가입자포를 1문 생략하고 이런저런곳을 간략화한 '최종 생산형'이 건조되었다. 전자는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에 등장한 페르 귄트(Peer Gynt)가 대표적이며, 후자는 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 속의 전쟁에 등장한 지크프리드(Siegfried)가 대표적이다.]
[무사이급 함선은 포탑 배치가 전면에 집중되어있어 전면에서의 화력은 라이벌인 살라미스급 순양함에 비해 우월하나 대신 측후방은 함포의 사각(死角)지대에 들어간다. 게다가 함포로 대응할 수 없는 사각이 상당히 넓으므로 적 함선이 후방이나 하방, 측면 하부방향으로 공격하면 대응하지 못하거나 함체를 직접 돌려야 하므로 대응속도가 엄청나게 느려지게 된다. 이는 전면에서의 함대 포격전보다는 MS 운용을 전제로 후방에서의 지원포격을 상정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0075년에 1번함이 진수되었으며 높은 생산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1년전쟁은 물론 종전후에도 개수되어 운용되었다. 다만 화력이나 능력이 뛰어나서 장기간 운용된 것이 아니라 MS운용능력과 저렴함으로 인해 운용된 것이라 가면 갈수록 화력과 방어력면에서 격차가 벌어지므로 함선대 함선간의 전투에서도 밀리는 경우가 많았다.
[MS 수납데크의 모습 함교 뒷부분에 누워서 수납되며 총 6기가 탑재된다. 공간은 그리 넓은편이 못된다]
[함교의 모습]
1년 전쟁 중반에는 무장이 강화된 후기 생산형도 건조되었으며 후반에는 건조 속도를 높이기 위해 메가입자포를 1문 생략하고 이런저런곳을 간략화한 '최종 생산형'이 건조되었다. 전자는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에 등장한 페르 귄트(Peer Gynt)가 대표적이며, 후자는 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 속의 전쟁에 등장한 지크프리드(Siegfried)가 대표적이다.
함선의 포탑 배치가 전면에 집중되어있어 전면에서의 화력은 라이벌인 살라미스급 순양함에 비해 우월하나 대신 측후방은 함포의 사각(死角)지대에 들어간다. 게다가 함포로 대응할 수 없는 사각이 상당히 넓으므로 적 함선이 후방이나 하방, 측면 하부방향으로 공격하면 대응하지 못하거나 함체를 직접 돌려야 하므로 대응속도가 엄청나게 느려지게 된다. 이는 전면에서의 함대 포격전보다는 MS 운용을 전제로 후방에서의 지원포격을 상정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때문에 건덕후들 중 설정을 중시하는 사람들은 MS Igloo 1화에서 루움 전역에서 연방군 함대와 라인 배틀을 벌이는 장면을 설정오류라고 무척 깠다는 후문이 전한다.
작중에선 당하는게 일인 함선이지만 사실 생각해보면 우주깡패 화이트 베이스에게 격침당한 무사이급은 많지 않으며 격파장면의 대부분은 대규모 함대전이었던 걸 생각해보면 1년전쟁 기준으로는 생각보다 약한 함선은 아니다. 문제는 이 함선이 우주세기 100년 근방에도 존재했기 때문에 신형 함선에 비해서는 당연하게도 초라해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라이벌인 살라미스급은 무사이보다 훨씬 더 일찍 나와서 V 건담의 150년대까지 현역으로 V 건담 시절에는 미노프스키 드라이버를 달고 대기권 활동도 한다.
[시마함대의 시마전용 무사이의 모습]
지온 우주군의 기본이 되는 함선이며 이에 따라서 무수한 수가 생산되었고 그 중에서도 특히 유명한 것은 샤아 아즈나블의 팔멜이며 이 팔멜은 원래는 단순히 샤아전용 무사이라는 설정만이 존재하다가 후에 설정놀음의 일환으로 팔멜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러나 건담 특유의 중구난방식 설정놀음때문에 도즐 자비가 타던 것을 새로운 함으로 바꾸는 차에 샤아에게 줬다는 에피소드같은 것이 붙었다. 그래도 일단 전용기이기 때문인지 팔멜의 함선 구조는 함교나 함포의 디자인이 다른 무사이와는 다르다.
SD 건담 포스에서는 주인공진영의 전함으로 등장하는데 브릿지가 건담헤드 모양으로 되어있고 이름은 건다무사이...
[편집]
[무사이급은 건담월드의 다른 함선에 비해 매우 작은 함선으로 빠른 스피드를 이용 소규모의 정찰이나 기습용도로 주로 운용되었다]
2.3. 파생형
2.3.1. 후기 생산형
알려진 함선 : 페르 귄트(Peer Gynt), 니벨룽(Nibelung)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에 등장. 전체적으로 무장이 강화되었는데, 2연장 메가입자포가 함수 하단의 코무사이 격납부와 함교 뒷쪽에 각각 1문씩 추가 장착되어 총 5문이되었고, 지구연방군의 모빌슈트를 막아내기 위해 120mm 2연장 대공포 10문도 추가되었다.
2.3.2. 최종 생산형
알려진 함선 : 지크프리드(Siegfried), 발키리(Valkyrie), 빔멜(Wimmel), 키멜(Kimel)
2.3.3. 무사이 改급
알려진 함선 : 비프로스트(Bifrost), 굴토프(Gulltoppr), 드로미(Dromi)
기동전사 Z건담에 등장한 현대화 버전. 지구연방정부의 일부인 지온공화국군에 소속되어 아 바오아 쿠 공방전에서 엑시즈와 맞서 싸웠다.
2.4. 상품화
건프라로는 오직 1년 전쟁 당시의 일반적인 무사이급과 그 리파인 버전만 발매되었다.
완성품으로는 MIA와 코스모 플리트로 발매되었다.
----
<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C%B4%EC%82%AC%EC%9D%B4>에서 삽입
일부내용과 사진은 추가되었습니다.
Wright By Mirageknight (2015.6.10 ver 1.0)
(본 게시물의 권리는 미라지콤프(www.compmania.co.kr) 에 있습니다.)
본 게시물의 상업적 이용과 무단게재를 엄격히 금합니다. 게재를 원할시는
King331@hanmail.net 으로 메일 주시길 바랍니다. 단 개인적 사용하시는건 마음껏 퍼가
셔도 됩니다. 다만 출처는 꼭 밝혀주시길… 틀린내용이나 수정부분의 대한 지적은 언제
나 환영 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