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달래강 원문보기 글쓴이: 달래강
4)어암리
청주군 산내이상면 지역으로 조선영조 후반(1750-176)에는 우암리(牛巖里), 어암리, 지왕리, 방지리로 이루 어져 있었으나 정조22년(1789)경에는 인봉리가 새로이 조성되었다. 1910년 경술국치 직전에는 우암리가 소 암리로 개칭되어 인봉리, 소암리, 어암리, 지왕리, 방지동으로 이루어져 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방지동의 일부를 금관리로 넘겨주고 어암리라 하여 미원면에 편입되었다. 자연부락으로 방마루, 쇠바우, 인 봉, 지왕부락이 있으며 현재는 1,2리로 분구되어 있음. 어암리는 본래 청주군 산내이상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池旺里, 小岩里, 漁尾里와 芳旨里, 印峯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漁尾와 소암의 이름을 따서 어암리라 하였다. 1982년 1월 행정동리분구로 어미, 지왕, 쇠바우를 어암1구로 인봉, 방마루를 어암 2구로 분구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魚尾 : 어암리 서쪽에 있는 마을. ◎방마루(芳답) : 어미 서쪽 博大川 건너 마을. ◎방마루들 : 어미 내 건너 방마루 부근 들. ◎池E : 어미 동북쪽 마을로 옛날에 못이 있었다. ◎쇠바우(小岩) : 어미 동북쪽에 있는 마을로 동리 바위가 소머리 같다고 한다. ◎쇠바우들 : 지왕이 넘어 저수지 밑 들. ◎印輩 : 어미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지형이 도장같이 생겼다 한다. ◎옥녀봉 : 지왕 뒷산봉우리. ◎가마귀봉 : 지왕 뒷산봉우리. ◎왕자봉 : 인봉 뒷산으로 桂院 신선봉에서 내려다 보면 산 형태가 王字같이 생겼다하여 왕자봉이라 한다. |